서브메뉴

본문

교육 공학 탐구
교육 공학 탐구
저자 : 한국교육공학회
출판사 : 박영사
출판년 : 2016
ISBN : 9791130303277

책소개

이 책에는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교육공학의 모습을 이론, 실제, 그리고 그 실천의 현장까지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어서 현재의 한국교육공학의 역량이 집결된 서적으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 같은 길을 걸어 가며 같은 학술적 흥미를 가진 많은 독자들에게 일독을 권해 드린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축사]
하나의 학문분야는 독특한 역사적 배경과 독자적인 탐구대상, 그리고 탐구대상을 연구하는 방법론이 정립되면서 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합니다. 한국교육공학도 그 동안 한국교육개혁의 역사와 함께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씨앗이 발아되기 시작해서 그 동안 다양한 탐구대상에서 독특한 방법론을 활용, 장족의 학문적 발전은 물론 실천적인 교육성과를 거두어 왔습니다. 1963년 이화여대 시청각교육학과를 신설, 1988년 교육공학과로 명칭을 변경한 이화여대 교육공학과와 1983년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가 신설되면서 교육공학은 공식적인 제도권역 안에서 학문적 토대를 구축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외에도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비롯하여 기존 교육학과에 교육공학 전공이 개설되면서 교육공학은 교육학과의 분과학문을 넘어 독자적인 탐구분야로 부각되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1996년 설립된 안동대학교 교육공학과와 관동대학교 교육공학과를 비롯, 2001년 건국대학교 교육공학과 설립되면서 한국교육공학은 명실상부한 학과로 대내외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습니다.
교육공학은 탐구대상으로 학교교육은 물론 기업교육과 사회교육, 평생교육이나 직업교육 등 교육의 전 분야에 걸쳐서 교육방법의 개선과 교육혁신을 주도하는 학문으로 기대 이상의 발전을 거듭해왔습니다. 연구내용과 방법론도 교육공학에 학문적 영향을 주고 있는 심리학과 경영학, 커뮤니케이션학, 설계과학, 인지과학과 뇌과학, 기타 인문사회과학은 물론 공학적 관점과 접근을 융합, 명실상부한 학문적 탐구분야로 자리매김을 거듭해오고 있습니다. 특히 교육공학의 학문적 뿌리라고 볼 수 있는 미디어와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을 넘어 교육패러다임의 혁명적 전환을 가속화시키는 교육 혁신적 노력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술발전과 사회변화의 양상, 그리고 교육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교육공학 자체의 학문적 발전은 물론 교육공학과 다양한 학문과의 접목과 융합을 통해 부단히 변신
을 거듭해왔습니다. 이러한 학문적 발전의 중심에서 한국교육공학회는 중추적인 리더십을 발휘해왔습니다.
한국교육공학회 3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발간되는 이 저서의 발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향후에도 첨단기술 발전의 교육적 적용은 물론 다양한 학문간 융합을 통해 교육문제 해결과 교육공학의 학문적 발전이 이루어지기를 기원합니다. 이 책이 한국교육공학의 위상을 재점검하고 교육의 미래와 미래의 교육을 혁신적으로 변화시켜 한국교육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한국교육공학의 시금석이 되기를 기대하며 더 발전된 미래의 한국교육교육공학의 아름다운 모습을 상상해 봅니다.

2016. 5. 17.
김종량
학교법인 한양학원 이사장/4대 한국교육공학회 회장

교육공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모임은 다른 학문에 비해서 대체로 늦은 1985년에 시작되었지만, 초창기부터 세계적 수준의 학문연구를 지향하면서 지난 30년 동안 그 양과 질적인 면에서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온 것으로 생각됩니다. 1985년에 창립된 한국교육공학회는 15년 후인 2000년 이래로 교육공학의 학문적 총본산이라 할 수 있는 미국교육공학회와 공동으로 국제학술대회를 격년제로 개최하고 있으며, 일본의 교육공학회와도 정기적 교류를 해 오고 있습니다. 그로부터 15년이 지난 현재에는 해외에서 개최되는 교육공학 국제학술대회에 많은 한국 교육공학자들이 논문을 발표하고 있는 것은 물론 해외의 대학들에서 많은 한국의 학자들이 교수나 연구자로 참여하여 교육공학 발전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영문학술지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은 벌써 16년째 정기적으로 발행되고 있습니다. 이런 저력으로 미뤄 볼 때, 머지않은 장래에 한국 교육공학 연구는 세계최고의 수준에 이르게 되리라는 예상을 조심스럽게 해 보게 됩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교육공학회 창립 30주년을 기념하여 한국 교육공학 연구의 수준과 연구역량을 보여주는 이 책 “교육공학 탐구”를 발간하게 됨을 교육공학도로서 매우 기쁘고 자랑스럽게 여기며 축하를 드립니다. 이 책의 발간을 통해서 그 간의 학문탐구의 역량을 가늠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뿐만 아니라, 학문 후속세대가 되는 여러 신진 학자들에게 교육공학이라는 학문에 대한 지적 촉매제가 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이 기념 학술서를 발간하기 위해서 탐구주제의 개발과 집필자 선정, 편집과 발간의 업무를 감당한 나일주, 조은순 두 분 편집자들의 노고와 최고 수준의 학문적 역량을 발휘한 집필진에게 심심한 경의를 표하는 바입니다.

2016. 4. 22.
양용칠
안동대학교 교육공학과 교수/제11대 한국교육공학회 회장

한국교육공학회 창립 30주년을 맞아 학계의 현 주소를 성찰하고 미래방향을 고민하는 원고를 담은 기념책자를 발간하게 된 것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30년의 세월은 교육공학회를 양적으로 성장하게 하였을 뿐 아니라 질적으로도 그 수준을 높여주었기에 오늘과 같은 귀한 원고들을 책에 담을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공자께서 나이 삼십이면 이립(而立)한다 하셨습니다. 이처럼 한국교육공학회도 창립 서른 돌을 맞았으니 학문을 주도해오던 서양학계와 교육공학의 발생지인 미국 학계의 연구와 이론에 크게 의존하던 역사를 벗어나, 나름대로 독립된 학문의 기틀을 확립할 시기가 된 것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이 책은 제가 16대 회장으로서 학회 창립 3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추진한 여러 사업 중 가장 핵심적인 사업이었습니다. 이제 제17대 정재삼 회장님께서 결실을 맺어 이 책자를 여러 독자 앞에 내놓을 수 있게 되었으니 회장님은 물론 모든 학회 회원, 직접 참여하신 집필진 및 편집위원장님들과 기쁨을 함께하며 그간의 노고에 심심한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이 책자의 모든 원고가 우리 학회 내부 구성원에게는 교육공학회의 힘을 재확인하고 연구의 방향을 확인해 가는데 기초가 되기를 바라봅니다. 또한 우리 학회가 불혹(不惑)의 나이인 40주년을 맞을 때, 이 기념책자에 실린 귀한 글들이 뿌리가 흔들리지 않는 학문영역을 완성하는 데 있어 밑바탕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봅니다.

2016. 5. 17.
이인숙
세종대 교수/한국교육공학회 제16대 회장

[편집자 머리말]
이 책은 한국 교육공학회 창립 30주년을 기념하는 책입니다. 30년의 세월은 한 학문의 생성과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짧은 세월일 수도 있지만, 인간으로 말하자면 어린아이가 청년 티를 벗을 정도로 긴 세월이기도 합니다. 지난 30년 동안 여러 학자들이 한국 교육공학을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만들어 놓는 데에 많은 공헌을 하셨습니다. 초대회장으로 학회를 연 이영덕 교수님과 유태영, 호재숙, 김종량, 허운나, 박성익, 김영수, 나일주, 양용칠, 권성호, 김희배, 강명희, 이인숙 교수님 등 학회장으로 봉사해 오신 분들 이외에도 학회의 임원과 회원으로 또 현장과 일선에서 실천가로서, 학생으로서 수많은 분들이 음으로 양으로 교육공학회의 발전과 학문 발전에 공헌하여 왔습니다.
지난 30년 동안 우리나라 교육의 환경과 여건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교육공학은 연구와 실천을 통해 그 변화하는 환경에 많은 응답을 해왔습니다. 학회가 출범한 1985년부터 10년 정도의 기간은 교육공학을 교육계와 산업계에 소개하고 교수설계와 개발의 중요성을 후학들에게 교육하는 시기였 습니다. 이 기간 동안 학교는 물론 기업과 정부, 군 기관 등에서 교수설계의 필요성, 그리고 교수설계의 이론과 실천을 통한 교육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각급 학교에서는 교단 선진화가 진행되기도 하였습니다. 그 후 1996년부터 2005년까지 10년은 컴퓨터 교육과 인터넷 활용교육 등 ICT의 교육적 활용이 크게 화두가 되었던 시절이었습니다. 이 시기에 각급 학교의 교실에는 인터넷 망이 보급되고 다양한 온라인 교육과 원격교육이 시행되었습니다. 또한 사이버대학이 설립되고 각 대학에 교수-학습 센터들이 속속 설치되어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기 시작하였습니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의 10년간은 본격적인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이자 모바일 교육과 묵스로 대변되는 대중 개방교육이 꽃피기 시작하는 시기였습니다. 이동성과 컴퓨팅 능력을 보유한 스마트 기기들이 교육에 도입되면서 스마
트 교육이라는 말이 화두가 되고 학습분석학이 각광을 받으며 학습자의 학습행태를 기초로 한 교육을 시도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교육공학은 그 정체성을 유지하며 서비스의 범위를 학교에서 기업으로 기업에서 군과 정부기관과 각급 평생 교육기관으로, 또 현재에는 학문융합의 사회적 요구에 따라 의약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이 책은 변화하는 교육환경 속에서 그간 이루었던 교육공학 탐구의 방향과 결실을 살펴보고 이에 기초한 향후의 발전방향을 짚어보기 위한 집단지성의 산물입니다. 이 책은 크게 네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첫째 부분은 교육공학의 이론적 구심점을 이루는 교수설계와 학습 그리고 테크놀로지에 관한 세 개의 장들로 구성되었고, 둘째 부분은 교육공학과 관련된 정부, 대학, 평가 등 교육공학의 사회적 연결고리들과 관련된 세 개의 장들로 되어있습니다. 세 번째 부분은 교육공학의 실천과 관련된 장들로서 공개학습자료, 학교교육, 기업 군 정부기관에 관련된 세 개의 장들이고, 마지막 부분은 학문의 융합과 미래의 교육공학을 다루는 두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독자들은 각 장들의 주제와 관련하여 그간의 발전과정과 현재의 상태를 이해하며 미래에 대한 방향을 짐작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교육공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는 이 책이 교육공학의 연구주제를 다양화하고 보다 넓은 안목에서 자신의 연구를 심화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 자리를 통해 편집자들은 그간 이 책이 발간되기까지 수고해 주신 분 여러분들에게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가장 먼저 이 책의 각 장들을 집필해 주신 필자들 한 사람 한 사람에게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지난 30년을 뒤돌아 보면서 현재의 상태를 점검하여 추출한 많은 내용을 짧은 분량의 한 개 장으로 생산해 내는 작업은 상당한 지적 노력과 끈기와 통찰이 필요 했을 것입니다. 편자와의 의
사소통과정에서 인내도 필요하였을 것입니다. 각 장을 집필해주신 필자들에게 다시 한번 경의를 표하는 바입니다. 또한 최초에 이 책의 발간을 결정하고 기획하신 이인숙 한국교육공학회 전임회장님과 이를 추진하고 지원해주신 현임 정재삼 회장님, 이 책의 출판을 흔쾌히 수락해 주신 박영사의 임직원 여러분들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끝으로 이 책의 편집 간사로 수고해 주신 목원대학교의 남민우 교수님, 교정을 보아주신 서울대학교의 박성한, 조성민, 유미나 선생을 비롯한 학생 여러분들에게도 고마움을 전합니다.
인간의 지성사는 한 학문의 분야가 여러 현자들의 혜안과 노력, 그리고 반복적 점검의 결과로 조금씩 발전을 이룩하며 발전해 나간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국내의 교육공학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 올린 지난 30년간의 노력에 대해 이 작은 책자는 이 길에 동참하는 많은 분들에게 그 고마움을 답하는 하나의 기념품이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교육공학의 수준향상이 교육의 수준향상과 직결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사회에서 교육공학에 거는 사회적 기대는 과거 어느 때 보다 더 큰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이 책이 과거를 되짚어 보고 미래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기획을 하기 위한 기초적 지식의 초석이 되기를 바라며 한국교육공학회 출범 30년의 이정표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저희 편자들 또한 이 책의 편집과정을 통해 우리나라 교육공학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 것에 대해 진정으로 감사하는 바입니다.

2016. 5. 15.
나일주 서울대학교
조은순 목원대학교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장 교수설계이론 및 모형

나일주_ 서울대학교 교수



Ⅰ. 교수설계의 의미 및 전개 맥락 1

1. 교수설계의 의미 2

2. 교수설계의 준거 5

3. 현대적 교수설계의 전개맥락 5

Ⅱ. 교수설계의 이론과 모형 7

1. 교수설계 이론의 형성과정 9

2. ADDIE와 전통적 교수설계의 모형 13

3. 교수설계 연구 15

Ⅲ. 우리나라의 교수설계 연구와 미래의 과제 21

1. 교수설계연구의 양적 추이 21

2. 교수설계연구의 미래과제 23



제2장 교육공학과 학습이론

양용칠_ 안동대학교 교수



Ⅰ. 서론 33

Ⅱ. 교육공학의 발전에 미친 학습이론의 영향 34

1. 행동주의 학습이론 35

2. 인지주의 학습이론 38

3. 구성주의 학습이론 41

4. 학습이론이 교수설계에 미친 영향 46

Ⅲ. 학습이론과 교육공학의 발전 전망 49

1. 교육공학의 이론 연구와 학습이론 50

2. 교육공학의 연구방법과 학습이론 51

3. 교육공학의 현장실천에 미칠 전망 53

Ⅳ. 결론 54



제3장 교육공학과 테크놀로지

김현진_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Ⅰ. 교육공학의 맥락에서 테크놀로지의 개념 62

Ⅱ. 테크놀로지와 교육공학의 실천 66

1. 컴퓨터기반 멀티미디어수업 66

2. 웹기반학습 66

3. 이러닝 68

4. 소셜미디어러닝 70

5. 모바일/스마트러닝 71

6. 지능적 첨단 학습 73

Ⅲ. 교육공학과 테크놀로지의 연구동향 75

1. 초기 20년(1985-2005년) : 컴퓨터 기반에서 네트워크 기반으로의 변화 76

2. 최근 10년(2006-2015년) : 이러닝과 웹기반 학습의 교수설계 연구 76

Ⅳ. 교육공학 분야에서의 테크놀로지 미래 79



제4장 교육공학 관련 정부정책

송해덕_ 중앙대학교 교수



Ⅰ. 교육공학 관련 정책의 중요성 87

Ⅱ. 국내 교육공학관련 정책 및 기관 동향 89

1. 교육정보화 정책 89

2. 초중등학교 교실관련 정책 95

3. 교육공학 관련 정책 부서 및 전문 기관 98

Ⅲ. 미래 교육공학정책의 발전방향 100

1. 교육공학 정책의 비전 100

2. 교육공학정책 주요영역 102

3. 교육공학정책 추진 및 운영 기관 104

Ⅳ. 결어 105



제5장 교육공학과 교육평가-대학교육을 중심으로-

서민원_ 인제대학교 교수



Ⅰ. 교육공학과 교육평가의 함수 관계 109

Ⅱ. 교육평가의 교육공학적 접근의 틀 110

Ⅲ. 고등교육평가의 교육공학적 접근과 활용 114

1. 교육공학적 관점에서의 고등교육평가의 발전배경과 과정 115

2. 대학평가체제의 교육공학적 접근과 활용 116

3. 대학평가인정제의 교육공학적 접근과 활용 117

4. 대학기관평가인증제의 교육공학적 접근과 활용 118

5. 학문분야평가의 교육공학적 접근과 활용 119

6. 정부지원 대학평가사업의 교육공학적 접근과 활용 121

Ⅳ. 교육공학과 교육평가의 30년: 전망과 과제 124



제6장 대학교육 혁신과 교육공학

송상호_ 안동대학교 교수

이지현_ 서울대학교 교수



Ⅰ. 고등교육의 방법적 변혁과 교육공학 129

Ⅱ. 고등교육의 대중화, 맥락화, 세계화와 교육공학 134

1. 고등교육의 대중화(사이버대학, 원격대학) 134

2. 고등교육의 사회적 맥락화(역량기반 교육, NCS, 의대, 치대, 법대, 공대) 135

3. 고등교육의 세계화(OER, OCW, MOOC, 이러닝 ODA) 136

Ⅲ. 고등교육의 질관리, 과학화, 첨단화와 교육공학 138

1. 고등교육의 질관리 138

2. 근거기반 고등교육 혁신을 위한 첨단과학화(학습분석학/IR, 뇌과학) 138

Ⅳ.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미래 교육공학의 역할 140



제7장 공개교육자료(OER), 묵스(MOOCs) 그리고 학습분석학(Learning Analytics)

임철일_ 서울대학교 교수

조일현_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Ⅰ. 공개교육자료 및 대형 온라인 공개 강좌의 운영과 학습분석학의 발달 147

Ⅱ. 공개교육자료와 묵(MOOC)의 발전과 교육공학의 대응 148

1. 공개교육자료와 묵의 특성과 발전 148

2. 묵에 관한 연구 152

3. 묵의 발전과 교육공학적 조망 156

Ⅲ. 학습분석학의 발전과 교육공학 2.0 160

1. 학습분석학의 개념 161

2. 학습분석학의 유형 165

3. 국내 학습분석학 발전 동향 166

4. 학습분석학과 교수설계 모형의 연계 169

5. 교육공학 2.0을 위한 학습분석학 연구 과제 및 이슈 171

Ⅳ. 소결: 학습분석학, 그리고 교육공학 2.0의 비전 174



제8장 유아, 초등, 중등 학교에서의 교육공학 실천

임정훈_ 인천대학교 교수



Ⅰ. 학교교육과 교육공학적 접근 181

Ⅱ. 학교교육에서의 교육공학 실천 탐색 185

1. 탐색을 위한 분석 대상 185

2. 교과영역 및 연구영역 분석 186

3. 연구방법 유형 분석 187

4. 자료분석 절차 및 방법 188

Ⅲ. 학교교육에서의 교육공학 실천 동향 탐색 결과 분석 189

1. 유아교육에서의 교육공학 실천 189

2. 초등교육에서의 교육공학 실천 192

3. 중등교육에서의 교육공학 실천 196

4. 유아교육, 초등교육, 중등교육에서의 교육공학 실천 비교 199

Ⅳ. 학교교육에서 교육공학 접근의 주요 동향과 과제 203

1. 교육공학 학문체계 발전과정과 유사한 학교교육에서의 교육공학 접근 203

2. 교수학습 매체 중심의 교육공학 실천 204

3. 수학, 영어, 과학 등 주지교과 기반의 교육공학 적용 205

4. 실험연구 중심의 연구방법 활용 206

5. 학술지 분포의 다양화: 교육공학적 접근의 저변 확대 206



제9장 기업, 군, 공공기관에서의 교육공학 실천

최성우_ 숭실대학교 교수

송영민_ 공군본부 소령

하영자_ 교육부 중앙교육연수원 교수



Ⅰ. 기업에서의 교육공학 211

1. 기업교육의 현황 211

2. 교육공학의 역할과 활용 213

3. 기업교육에서의 교육공학의 향후 전망 221

II. 군 교육과 교육공학 222

1. 군 교육훈련의 특성 222

2. 군 교육훈련에서 교육공학의 역할 224

3. 군 교육훈련에서 교육공학의 향후 전망 228

Ⅲ. 공공기관 교육과 교육공학 229

1. 공무원 교육의 중요성과 공공기관 교육 현황 229

2. 공공기관에서 교육공학의 역할과 기여 230

3. 공공기관 교육에서 교육공학의 향후 전망 235



제10장 학문융합과 교육공학

유영만_ 한양대학교 교수



Ⅰ. 학문융합과 교육공학의 학문적 발전 243

Ⅱ. 교육공학의 학문융합 유형과 사례 246

Ⅲ. 학문융합과 교육공학의 미래 발전방향 258



제11장 미래 교육환경과 교육공학

조은순_ 목원대학교 교수



Ⅰ. 교육공학의 연구영역과 미래교육 274

Ⅱ.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교육공학의 미래 277

1. 디지털시대 학습자와 교육공학 277

2. 교육공학과 뉴미디어의 접목 279

Ⅲ. 미래 교육환경의 변화와 교육공학 281

1. 미래 교육환경의 교수자와 학습자 281

2. 교육공학적 관점에서 보는 미래교육기관의 역할 282

3. 미래 교육환경에서 교육공학의 역할 285



찾아보기 292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