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 외군의 외교 군사사
한국 외군의 외교 군사사
저자 : 황병무
출판사 : 박영사
출판년 : 2020
ISBN : 9791130310640

책소개


군사력은 내우(변란)와 외환(침략)으로부터 국가의 안위를 보호하는 능력이다. 한국에는 1882년 임오군란 이후 현재까지(1885-1893, 1949.6.-1950.6. 제외) 외국군이 주둔하고 있다. 조선과 한국 정부는 내우가 발생할 때마다 군사력의 부족으로 외국에 청병(請兵)하여 외군을 차용(借用)했기 때문이다. 외군차용이 한국의 정치, 외교, 안보에 미친 득(得)과 실(失)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한국 외군의 외교·군사사』를 저술했다. 내우가 외환을 불러오고 외환이 내우를 더욱 키운다는 이른바 내우외환의 연계정책을 분석의 틀로 이용했다.

목차


머리말 ⅰ

01 한국의 안보조건: 내우외환의 연계정치 1
1. 국가안전보장의 개념과 국력 1
2. 한국의 안보조건과 지정학 4
3. 내우·외한의 연계: 외군정치의 분석 명제 5

제1부 조선왕조말기 외군차용(外軍借用)의 득(得)과 실(失)

02 임오군란(壬午軍亂)과 외군차용(外軍借用) 15
1. 국내 정세 15
2. 일본의 대조선 외교: 당근과 채찍 22
3. 조선의 사대질서 변형 외교 24
4. 임오군란(壬午軍亂)의 발발과 정치?외교적 파장 27
5. 청국 파병의 동기와 조선 청병의 정치 29
6. 일본의 파병과 청?일 경쟁 34
7. 군란의 정치?군사적 파장 37
8. 임오군란 진압을 위한 외군(外軍)차용의 정책적 의미 43

03 갑신정변(甲申政變)과 일·청군의 개입 46
1. 수구와 개화세력의 반목과 대립 46
2. 조선의 다변 외교와 청?일의 대조선 정책 48
3. 개화당의 정변 모의와 일본의 사주 50
4. 정변 거사 계획과 경과 52
5. 내정 혁신과 3일 천하의 종말 54
6. 갑신정변의 국제적 파장 60
7. 숙위군 강화와 러시아 군사교관 초치 시도 62
8. 영국의 거문도 점령과 조선 배제 64
9. 갑신정변의 패인: 일(日)군차용 66
10. 갑신정변의 정책적 의미 68

04 동학농민봉기와 외군차용 69
1. 왕조(王朝)의 불안 69
2. 양강(청·일)체제하의 러시아 변수 72
3. 동학농민군 봉기 77
4. 외군차용을 둘러싼 쟁론 80
5. 청·일의 공동 파병과 조선 공동 간섭안 85
6. 일본군의 왕궁 침범 92
7. 동학농민봉기와 외군차용의 정책적 의미 98

05 을미사변: 조선 내홍으로 위장한 일군의 왕비 시해 101
1. 조정의 3개 파벌 대립과 친일세력의 위기 101
2. 군제개편: 훈련대·시위대 105
3. 청국의 패전과 일·로 경쟁 108
4. 일본의 조선 내홍으로 위장한 왕비 시해 111
5. 왕궁 사변의 정치와 열강의 개입 115
6. 훈련대 해산과 춘생문 사건 119
7. 을미사변의 정책적 의미 121

06 아관이어(俄館移御): 로?일군의 공동 주둔 123
1. 고종의 밀지와 의병봉기 123
2. 아관이어(俄館移御)의 동기와 과정 126
3. 아관이어(俄館移御)의 목표: 내정개혁과 일군 철수 129
4. 로·일 공동 주둔의 합의 131
5. 로바노프·민영환 합의 135
6. 외군차용을 고려한 환어지 경운궁 137
7. 아관이어의 정책적 의미 139

07 대한제국 종말의 군사?외교사 142
1. 원수부 설치와 정보기관 신설 142
2. 위협관과 군 구조 개선 147
3. 러·일의 각축과 영국 변수 153
4. 한국 밀사 외교를 통한 중립화(中立化)의 기도(企圖) 159
5. 일본의 대한제국 군사력·외교력의 단계적 폐지 정책 163
6. 대한제국의 종말: 내우·외환의 정책적 의미 171

제2부 외군주도의 광복과 6?25전쟁

08 미·소의 분할 점령과 통일 정부 수립의 실패 177
1. 광복군과 임정 승인 외교의 실패 178
2. 미국과 소련의 한반도 분할 점령 187
3. 미·소 점령군과 통일 정부 수립의 실패 196
4. 한국 광복의 국제성과 국내적 요인에 관한 정책적 의미 209

09 6·25전쟁과 정전체제 213
1. 6·25전쟁의 원인 213
2. 6?25전쟁의 발발과 한국의 외군(유엔군)차용 220
3. 중공군 개입과 국지 제한전 228
4. 정전협정 체결과정과 반공포로 석방 242
5. 6·25전쟁과 정전체제의 정책적 의미 252

제3부 한미동맹의 군사?외교사

10 주한미군: 평화보장력, 포기?연루?제한의 전략적 의미 259
1. 남·북한의 동맹조약과 외군 259
2. 주한미군 ‘포기(철수?감축)’와 한국 방위의 한국화 266
3. 한국의 좌절된 핵 개발과 미사일 개발의 제한 279
4. 파병의 군사외교 289
5. 위기관리와 자위권 298
6. 정책적 의미 316

11 사드 배치: 핵 시대 연루의 파장과 한국의 사드 외교 322
1. 사드 배치의 전략적 배경과 과정 322
2. 사드의 군사적 효용성 325
3. 사드 배치의 국내 공론화 327
4. 문재인 정부의 사드 정치와 외교 331
5. 사드 배치와 한?중 갈등 335
6. ‘사드 외교’의 정책적 의미 351

12 북핵 위기: 벼랑 끝의 북미협상과 한국 중재역할의 한계 356
1. 강압 전략의 개념 356
2. 제1차 핵 위기 359
3. 제2차 핵 위기의 전말 382
4. 제3차 핵 위기의 전말 393
5. 정책적 의미 410

13 주한미군의 미래와 한국의 국방과제 414
1. 미국의 확장억제 전략과 태세 414
2. 한국의 북핵 대응 논쟁: 전술핵 배치에서 핵 옵션까지 419
3. 주한미군의 미래와 유엔사 역할 변화의 전망 424
4. 한국 주도의 책임 국방을 향하여 430
5. 정책적 의미 436

참고문헌 438
찾아보기 447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