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경영학으로의 초대
경영학으로의 초대
저자 : 김귀곤|김솔|이순희|이주헌|조남신
출판사 : 박영사
출판년 : 20210130
ISBN : 9791130311937

책소개

『경영학으로의 초대』는 〈경영과 경영학〉, 〈경영학의 발달과정〉, 〈기 업〉, 〈경영자〉, 〈경영환경과 전략적 대응〉, 〈미래의 계획: 경영계획〉등을 수록하고 있는 책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뉴노멀 시대
2020년 2월 이후 코로나19(COVID-19)의 전 세계적인 확산과 이에 대응한 각국의 이동제한조치의 영향으로 세계경제는 극심한 경기침체를 겪고 있다. 과거 글로벌 위기는 그 영향이 경기 변동에만 그치지 않고 경제의 구조적 변화를 초래해 왔다.
이에 따라 세계는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정상상태인 뉴노멀(new normal) 시대로 이행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경영환경변화 코로나19 이후 뉴노멀 시대의 경영환경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첫째, 경제주체의 행태 변화가 예상된다. 코로나19라는 보건, 경제 위기를 계기로 가계, 기업, 정부 등 경제주체들의 행태 변화가 나타날 전망이다. 가계는 코로나19 확산과 그 대응과정에서 실업, 소득감소, 경제/사회 활동의 제약을 경험함에 따라 위험회피 성향이 강화될 것이다. 기업은 재고 비용 절감 등 효율성 외에 불확실성에 대비한 복원력, 유연성에 대해서도 과거보다 큰 가치를 부여하게 될 것이다. 정부는 코로나19 대응과정에서 정부의 역할이 확대된 가운데 자국 이익 우선, 사회 안전망 강화 등에 대한 국민의 기대가 높아지고, 이를 뒷받침하려는 정부의 의지도 강화될 전망이다. 둘째, 탈세계화(deglobalization)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금번 위기로 인한 생산차질과 핵심 물자 부족을 계기로 글로벌 공급망의 취약성이 부각됨에 따라, 각국이 자국우선주의 입장에서 보호무역주의, 역내교역, 인적교류 제한을 강화함에 따라 탈세계화 현상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셋째,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될 것이다. 코로나19 위기 대응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비대면 접촉을 통한 경제, 사회 활동이 늘어나면서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될 것이다. 각국 정부도 디지털 경제 전환기의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해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인프라 및 관련 산업에 대해 적극 투자할 전망이다. 넷째, ‘저탄소경제’로의 이행 필요성이 증대될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는 저탄소경제로의 이행이 지연될 수 있으나, 위기 상황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게 되면 감염병 위기와 유사성이 높은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 증대로 저탄소경제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각국의 정책대응이 강화될 전망이다.

뉴노멀 시대에 우린 어떤 생존 전략으로 후일을 도모해야 하는가?
Back to the Basic 중국의 철학자인 유자는 다음과 같은 명언을 남겼다. ‘군자는 기본이 되는 일에 힘을 쓰며, 매사에 기본이 바로 서야 도(道)가 발생한다.’ 영어로는 ‘Back to the Basic’이라는 의미 정도일 것이다. 미래의 예측이 불투명할수록 결국 기본에 충실한 것이 급변하는 시대에 대응하는 최선의 해법이 된다. 미래에 대한 섣부른 예측에 휘둘리지 않고 기업 경영에 필요한 인사조직, 마케팅, 재무, 회계, 전략, 생산관리, 경영정보, 국제경영 등에 대한 상식적이고 기본적인 내용들을 꼼꼼히 챙기고 제대로 실행에 옮겨야 하는 것이다. 국내외 경제 위기나 기업의 흥망성쇠도 결국에는 관행이라는 이름으로 가장한 채 기본을 어기고 행해졌던 많은 일들 때문은 아닐까? 이제는 기업 경영에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들을 하나하나 곱씹어 보며 기업과 경영자의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다시 한 번 재점검할 시기가 도래한 것 같다.
본 「경영학으로의 초대」를 통해 경영학을 전공하여 경영이라는 단어를 처음 접하게 되는 대학생뿐 아니라 어느 정도의 직장 경험을 통해 기업 경영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하다가 다시 경영을 제대로 공부하기 시작한 경영대학원(MBA) 학생, 오랜 시간 현장에서 고객들과 부딪히며 경쟁자들과 여러 규제 하에서 살아남느라 고군분투하고 있는 기업인들, 기업인들이 사회에서 건전한 방식으로 성장하도록 유도하는 제도와 규제를 만드는 정부 관계 당국자들도 본 도서에 나와 있는 상식적이며 기본적인 그리고 어찌 보면 너무도 당연한 ‘경영학의 기본 내용들’을 제대로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본 「경영학으로의 초대」도 어느덧 7판에 이르게 되었다.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것은 모두 다 독자들의 이 책에 대한 애정과 관심에 기인한다. 7판에서는 큰 내용의 변화보다 는 최신의 사례들을 교체 및 추가하는 작업에 중점을 두었다. 본 「경영학으로의 초대」의 저자들은 본서를 사용하는 국내의 여러 학교의 교수님들과 학생들로부터 받은 여러 개선 및 지적 사항을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다음 8판에서는 더욱 완성도 높은 교재를 출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드린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 1 부 경영이란 무엇인가
제 1 장 경영과 경영학
제 2 장 경영학의 발달과정
제 3 장 기 업
제 4 장 경영자
제 5 장 경영환경과 전략적 대응

제 2 부 경영, 어떻게 하는가
제 6 장 미래의 계획: 경영계획
제 7 장 미래의 계획: 전략경영
제 8 장 현재의 실행: 누가 실행할 것인가
제 9 장 현재의 실행: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
제 10 장 과거의 평가

제 3 부 기업의 가치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제 11 장 고객의 이해
제 12 장 제품/서비스의 흐름
제 13 장 사람의 이해
제 14 장 자금의 흐름
제 15 장 정보의 흐름
제 16 장 글로벌화의 이해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