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담보제도의 연구
저자 : 김형석
출판사 : 박영사
출판년 : 2021
ISBN : 9791130339368
책소개
『담보제도의 연구』는 저자가 지금까지 민법의 담보제도와 관련해 작성했던 공간·미공간의 원고를 바탕으로 구성한 연구서이다. 물론 기존의 연구를 단순히 모은 것에 그치는 것은 아니며, 큰 틀 안에서 내용의 상호 연결관계에 배려하는 수정을 가하였다. 그 과정에서 공간된 논문의 잘못된 부분을 고치고, 이후 법령 개정 사항도 반영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인용된 문헌을 모두 최신의 판본으로 업데이트하는 작업은 그 수고에 비하여 의미가 크지 않다고 판단되어 하지 않기로 하였다. 다만 논문 공간 이후 간행된 연구와 재판례 중에서 유의미한 것은 참조·인용하였고, 개정된 법률로서 곧 시행 예정인 것은 그 내용을 미리 반영하였다.
목차
서 론
Ⅰ. 담보제도를 둘러싼 이익상황 1
Ⅱ. 이 책의 구성 7
제1편 인적담보: 책임제한과 담보목적의 긴장
제1장 보증인 보호와 구상관계
Ⅰ. 도입 11
1. 문제의 제기 11
2. 계속적 보증에 관한 판례 법리 12
Ⅱ. 보증 성립에서 보증인 보호 13
1. 보증 의사의 탐구 13
2. 보증의 방식 16
3. 자유로운 보증의사의 보장 20
Ⅲ. 채권자의 성실의무 30
1. 의의 30
2. 성실의무의 유형 31
Ⅳ. 보증인의 구상 39
1. 수탁보증인의 구상권 39
2. 변제자대위 45
제2장 공동연대보증과 구상관계
[사실관계] 60
[소송의 경과] 61
[대법원의 판단] 63
[판례연구] 65
Ⅰ. 문제의 제기 65
Ⅱ. 대상판결의 검토 69
1. 학설상황 69
2. 일본의 법상황 71
3. 평가 74
제3장 보증과 손해담보: 독립적 은행보증
Ⅰ. 도입 87
1. 손해담보계약과 독립적 은행보증 87
2. 문제의 제기 89
Ⅱ. 손해담보계약의 기능과 구조 90
1. 손해담보계약 특히 독립적 은행보증의 기능 90
2. 손해담보계약의 담보목적과 비부종성 91
3. 요구불 조항 98
Ⅲ. 채권자의 부당청구와 그 원상회복 101
1. 채권자의 청구와 권리남용 101
2. 부당이득법에 의한 원상회복 105
Ⅳ. 구상에 있어서 보증과 손해담보 112
1. 손해담보 의무자의 채무자에 대한 구상권 113
2. 손해담보계약 의무자의 변제자대위 117
제2편 저당권: 사용·수익과 환가이익의 긴장
제1장 환가권으로서 저당권: 과실에 대한 효력을 중심으로
Ⅰ. 문제의 제기 123
Ⅱ. 민법 제359조의 입법취지에 대한 논의 125
1. 통설에 의한 민법 제359조 입법취지의 정당화와 비판 125
2. 다른 법제와의 비교 127
3. 천연과실에 대한 저당권의 효력 133
Ⅲ. 법정과실에 대한 저당권의 효력 143
1. 민법 제359조가 법정과실에 적용되는지 여부 143
2. 천연과실과 법정과실의 경합 148
Ⅳ. 저당권의 효력이 미치는 과실의 취급 150
1. 천연과실 150
2. 법정과실 152
3. 압류 전에 처분한 과실 157
Ⅴ. 저당권의 성질에 대한 재고 158
1. 환가권으로서 저당권 158
2. 근대적 저당권 이론에 대한 의문 163
제2장 근저당권: 부종성이 “완화”된 “특수” 저당권?
Ⅰ. 근저당권에 관한 민법 개정안 169
1. 민법 개정작업 개관 169
2. 물권편에 관한 2014년 개정시안 170
Ⅱ. 근저당 개정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172
1. 근저당과 부종성 172
2. 개정안에 대한 의문 176
Ⅲ. 이른바 누적적 근저당 179
1. 이른바 누적적 근저당의 의의 179
2. 학설·판례에 대한 비판 180
3. 해결의 단초 183
제3장 환가권능의 확장: 물상대위와 부당이득
Ⅰ. 문제의 제기 187
Ⅱ. 물상대위에 기한 저당권자의 지위와 부당이득 194
1. 우리나라의 학설상황 194
2. 일본 195
3. 독일 210
4. 스위스 219
5. 프랑스 223
Ⅲ. 해석론의 제안 229
1. 물상대위에 있어서 ‘압류’의 의미 229
2. 물상대위와 부당이득 243
제4장 용익과 환가(1): 일괄경매청구권의 쟁점
Ⅰ. 도입 261
1. 문제의 제기 261
2. 본장의 구성 262
Ⅱ. 일괄경매청구권의 연혁과 입법목적 263
1. 일괄경매청구권 규정의 성립 263
2. 일괄경매청구권의 입법목적과 법정지상권과의 관계 266
Ⅲ. 일괄경매청구권의 요건을 둘러싼 논의 273
1. 토지에 저당권 설정 당시 지상건물의 부존재 273
2. 설정자 자신에 의한 건물 축조? 274
3. 설정자의 건물 소유? 279
Ⅳ. 일괄경매청구권의 내용 282
1. 의무로서 일괄경매청구? 282
2. 일괄경매의 효과 286
제5장 용익과 환가(2): 사용?수익과 방해배제
Ⅰ. 도입 287
1. 저당권 침해의 모습 287
2. 사용·수익과 방해배제 288
Ⅱ. 저당부동산 소유자의 용익권한과 위법성 판단 290
Ⅲ. 재판례에 나타난 몇 가지 사안유형 293
1. 환가목적물에 대한 침해 293
2. 소유자 또는 용익권자의 건축 294
3. 제3자의 불법점유 302
제6장 환가권과 구상권의 조정: 공동저당의 법률관계
Ⅰ. 도입 305
1. 공동저당의 의의 305
2. 민법의 규율 306
3. 본장의 과제 307
Ⅱ. 규정의 연혁과 비교법 308
1. 출발 사례 308
2. 민법 제368조의 유래와 비교 입법례 309
3. 우리 민법에 대한 시사 321
Ⅲ. 공동저당의 실행에 따른 이해관계의 조정 324
1. 공동저당권자의 자유선택권과 그 조정 324
2. 공동저당 부동산이 모두 채무자 소유인 경우 328
3. 공동저당 부동산이 채무자 및 물상보증인 소유인 경우 347
4. 공동저당 부동산이 모두 물상보증인 소유인 경우 359
5. 제3취득자가 존재하는 경우 360
Ⅳ. 총괄적 분석 368
1. 본장의 요약 368
2. 원리적 고찰 369
제3편 동산·채권의 담보:
담보대상의 확장과 채권자평등 사이의 긴장
제1장 “총체적 동원”: 집합동산·집합채권 양도담보의 설정
Ⅰ. 도입 373
Ⅱ. 집합동산의 양도담보 374
1. 점유개정과 특정의 원칙 374
2. 분석론과 집합물론 376
3. 평가와 비판 377
Ⅲ. 집합채권의 양도담보 381
1. 문제의 소재 381
2. 장래채권의 특정과 발생 개연성 382
3. 장래채권의 양도와 양도인 도산 383
4. 집합채권의 양도담보와 대항요건 391
제2장 위기의 도래(1): 양도담보와 강제집행·도산절차
Ⅰ. 도입 396
Ⅱ. 논의상황의 개관과 평가 399
1. 학설 상황 399
2. 판례 402
3. 평가 407
Ⅲ. 강제집행·파산절차에서 동산 양도담보권자의 지위 416
1. 개별 강제집행의 경우 416
2. 설정자 파산의 경우 428
Ⅳ. 강제집행·파산절차에서 채권 양도담보권자의 지위 431
1. 개별 강제집행의 경우 431
2. 설정자 파산의 경우 432
제3장 위기의 도래(2): 소유권유보와 강제집행·도산절차
Ⅰ. 도입 434
Ⅱ. 소유권유보의 구조와 기능 435
1. 학설 상황 435
2. 평가와 비판 436
Ⅲ. 강제집행·도산절차에서의 취급 440
1. 강제집행절차 440
2. 도산절차 441
제4장 위기의 도래(3):
목적물의 부합과 부당이득에 의한 추급
Ⅰ. 도입 445
Ⅱ. 양도담보의 ?담보적 실질?의 고려? 449
1. 수익자의 이득? 449
2. 소유권과 담보권의 차이? 455
3. 형평과 실질의 고려? 461
4. 사후적 사정에 따른 예외 인정? 467
Ⅲ. 동산 부합과 부당이득 : 소유권유보와 양도담보 471
1. 한 선례의 태도 471
2. 대상판결의 경우 478
제5장 입법에 의한 해결?: 등록담보권의 법률관계
Ⅰ. 도입 483
1. 기존 동산·채권담보의 문제점 483
2.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의 제정 485
3. 담보등기 487
Ⅱ. 동산담보권 490
1. 동산담보권의 대상 490
2. 동산담보권의 성립 492
3. 동산담보권의 효력범위 499
4. 동산담보권의 내용 503
5. 동산담보권의 실행 511
6 동산담보권의 소멸 528
Ⅲ. 채권담보권 531
1. 채권담보권의 대상 531
2. 채권담보권의 성립과 등기의 효력 533
3. 채권담보권의 내용 538
4. 채권담보권의 실행 543
Ⅳ. 입법에 대한 평가 545
색 인
판례색인 549
사항색인 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