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고려 후기 한문학과 지식인
저자 : 김승룡
출판사 : 지식을만드는지식
출판년 : 2013
ISBN : 9791130411460
책소개
고려 시대를 빛낸 한문학 작가를 꼽으라면 누가 떠오르는가? 이규보, 이제현, 이색이 전부인가? 고려 후기를 ‘신흥사대부’라는 이름으로 모두 설명할 수 있을까? 이 책은 고려 후기 한문학을 다양한 각도에서 탐구한다. 신흥사대부론에 대한 회의로 시작해 그간 공백기로 남아 있던 ‘원간섭기’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기존 연구의 시야를 확대하고 더 앞선 논의로 이끄는 출발점이다.
목차
머리말 | 다시 집어 든 화두, ‘고려’
제1부 고려 시대를 읽는 시각의 모색
1 가문: 고려 전기 인주 이씨 가문의 문한고
‘혈연’과 문학적 특질
이자연계의 문한적 국면
이자연(李子淵, 1003∼1061)
이정(李?, 1025∼1077)
이의(李?, ?∼?)
이자량(李資諒, ?∼1123)
이자현(李資玄, 1061∼1125)
이자상계의 문한적 국면
이예(李預, ?∼?)
이오(李?, ?∼1110)
이지저(李之?, 1092∼1145)
가문의 형성과 현세주의적 창작 경향
2 국가: <동명왕편>의 서사시적 특질과 국가의식
하나의 의문, 시(詩)와 자주(自註)의 형식적 결합
서사시적 특질과 주(註)의 기능
역사적 제재를 통한 집권 통치층에 대한 비판의식 표출
사실(史實)의 진실성 강화와 숭고화
3 민족: 고려 중기 민족 현실과 지식인 이규보의 모색
고려 중기 현실과 지식인 이규보
<동명왕편>: 중국과 비견되는 고려의 문화전통
농민시: 현실 비판과 체제 안정의 사이에서
이규보를 다시 읽기 위한 화두, 자유에 대한 욕망
4 인문: 최자의 인문정신과 비평의식
≪보한집≫에 대한 정신사적 해명
인문화성(人文化成): 인정인륜에 대한 긍정적 시선
정즉의야(情卽意也): 정감의식에 대한 자각적 이해
‘동인시학(東人詩學)’의 계통적 연구 필요
5 고전: ≪보한집≫의 고전화 전략과 그 문화사적 의미
‘보(補)’와 ‘한(閑)’의 의미
시학비평의 기준 ‘두보’
고려시학의 이상형 ‘이규보’
시학을 경유한 이질자 포용과 그 문화사적 의미
6 경계: ≪삼국유사≫, 그 경계의 사유들
다양하고 중층적인 텍스트, ≪삼국유사≫
노힐부득과 달달박박: 단절과 포용
세파의 질긴 인연
함께와 넘어
일상적 삶의 상징
도화녀와 비형랑: 삶과 죽음
아름다움을 탐하는 고대인
정절과 선택
복사꽃, 복숭아나무, 도화녀
복숭아[桃] 신앙
자유를 갈망하는 욕망의 형상
박염촉의 죽음: 순교와 국가
국가주의의 폭력
순교의 정치학
죽음, 그 우울한 징조들
흰 피의 전략
김현과 호녀: 사랑과 욕망
사랑과 진실
고귀한 희생정신의 소유자 ‘호녀’
자살, 사랑의 대가인가
선택, 그리고 자유
그리고 현재는?
끝없는 접면의 생성과 창조를 위해
7 여성: 고려 후기 지식인의 아내 이야기
가족(아내)을 마주한 변명
논의의 전제: 딸/아들, 젠더화
무신집권기: 말 없는 가난한 아내
원간섭기: 헌신하는 어머니, 그리고 재배치
아내에 새겨진 세족의 욕망
8 가난: 고려 후기 가난에 대한 몇 가지 시선
가난의 세 가지 의미
돈에 대한 두 가지 생각, 의천과 임춘
한시 속 가난에 대한 시선들
경제적 결핍
상대적 불평등
삶을 관조하는 프리즘
지식인의 안락
이념적 형상 전통이 된 ‘가난’
9 미학: 권근의 <악기> 재구성과 악리 해석
≪예기천견록≫ 편찬
<악기> 절차고정(節次考定)과 존경융통(尊經融通)
심성(心性)과 천인일리(天人一理)
사상과 문학의 고리, 미학사유
제2부 연구사적 성찰과 방법적 원간섭기
1 고려 후기 작가 연구의 현황과 과제
고려 한문학의 가능성
작가 연구의 연대기적 성찰
문제 도출과 해결 방안 모색
다시 새롭게 시작하면서
2 원간섭기 고려 한시사 이해를 위한 전제
방법적 ‘원간섭기’
실리적 대원 태도와 문명의식
새로운 지식인상 모색
곤궁을 지키는 내성적 지식인
정치적 전범이 되는 군자형 지식인
중행(中行)하는 청렴한 지식인
세상을 고민하는 영웅적 지식인
한시 주제의 몇 가지 국면
제 몫과 오도를 추구하는 삶
동지적 연대를 통한 예제(禮制)의 실현
애상과 달관의 정조로 채색된 시물(時物)
새로운 담론의 필요성
3 이장용의 오도의식과 애상적 시 세계
13세기 후반 정치공간과 이장용
대원자세의 현실적 성격
오도의식과 문교기획
애상의 정감: 선경과 현실의 갈등
현실과 명분의 경계에 선 지식인
4 이승휴의 ≪빈왕록≫과 자성적 현실 인식
원과의 강화에 대한 재평가
≪빈왕록≫의 동국의식과 대원관
≪제왕운기≫의 교열과 비평
자성적 우민의식
실(實)의 취향과 현실적 태도
5 천책의 백련결사와 연사시의 정감
천책과 백련결사(白蓮結社)
왕정복귀와 현실적 대원자세
연사시(蓮社詩)의 창작과 정감
현실 초극의 염원
6 고려 후기 청주 곽씨 가문의 시 세계
시각으로서의 ‘세족’
곽예의 시 세계
완곡한 현실비판의 시선
생명의 경계 추구
곽운의 시 세계: 귀거래(歸去來)의 심회와 청(淸)의 희구
세족적 신흥사대부의 가능성
부록 | 원간섭기 고려 한시산문 일람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지은이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