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유교 명상론 (불교와의 비교철학)
저자 : 정은해
출판사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14
ISBN : 9791155500576
책소개
유교 명상론이란 무엇인가
유교에도 명상론이 있는가? 많은 사람들은 이런 의문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런 의문의 해소를 위해서는 먼저 ‘명상론’이라는 용어가 해명되어야 한다. 불교에는 수행론이라는 것이 있고, 유교에는 수양론이라는 것이 있다. 그것들은 모두 ‘인격 완성을 위한 논의’, 곧 부처가 되고 성인이 되기 위한 논의들이다. 최근 자주 언급되는 ‘불교적 명상’이라는 말에서의 ‘명상’은 ‘수행’을 서양적 용어(meditation)로 번역하면서 생겨난 이름이다. 이렇게 보면 수행론이나 수양론은 명상론에 다름아닌 것이 된다. 그런데 좀 더 엄밀하게 보면, 명상론이란 불교의 수행론과 유교의 수양론 속에 들어 있는 ‘마음의 안정 방안에 관한 논의’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명상론은 마음의 안정 방안에 관한 논의로서 인격 완성을 위한 논의인 수행론이나 수양론의 일부분이 된다.
따라서 인격 완성을 위한 수행론과 수양론이 이미 명상론이라는 주장도 가능하고, 인격 완성을 위한 논의의 일부분인 마음의 안정 방안에 관한 논의가 명상론이라는 주장도 가능하다. 필자는 명상론에 관한 저 두 주장을 모두 수용하고 있는데 사실 저 두 주장은 단지 명상이란 개념에 얼마만한 크기의 의미를 부여하는가에 따라 생겨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필자는 저 두 의미 외에 명상론의 또 다른 의미에도 주목하고 있다. 그것은 ‘수행이나 수양에서 의식이 작동하는 방식에 관한 논의’라는 의미이다. 이 책에서 언급되는 ‘명상론’은 일차적으로 ‘수행과 수양에서 의식이 어떻게 작동하는가에 관한 논의’를 의미한다.
왜 명상이나 명상론이 필요한가? 의식은 끊임없이 작동하지만, 그 의식은 대체로 마음의 안정을 위해 작동하기보다 걱정근심과 번뇌망상의 발생을 위해 작동하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이다. 그러면 어떻게 의식이 작동할 때에 마음의 안정이 가능한가? 이 물음에 답하려는 논의가 명상론이다. 마음의 안정을 위해서는 의식을 일상에서와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시키는 일이 필요하다. 그 일이 명상이고, 그 일에 관한 논의가 명상론이다. 명상은 마음의 안정을 위해 필요하고, 명상론은 일상과는 다른 의식의 작동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알기 위해 필요하다.
목차
1부 주자의 명상론
1장 유교 수양론과 불교 수행론
1절 유교 수양론의 특성
2절 중국 선불교의 전개: 십대 선사의 어록
3절 5종선법과 주자와 양명의 수양론
2장 주자 수양론의 현상학적 해석
1절 주자 수양론의 현상학적 해석 가능성
2절 주자 수양론의 5단계
3절 불교 수행론과의 차이
3장 주자 수양론의 불교적 해석
1절 주자 수양론의 변천 동기
2절 만물일체의 기상과 본체로서의 인
3절 주자 수양론의 탈불교화 과정
4절 불교 수행론과의 구조적 유사성
4장 주자의 생사론: 삶의 의미
1절 탄생의 기원
2절 삶의 과정
3절 삶의 주체: 6식론 대 혼백론
4절 삶의 의의
5장 주자의 생사론: 죽음의 의미
1절 죽음의 과정
2절 사후의 존속 방식
3절 업 상속설과 기 연속설의 재해석: 의미 연속설
4절 유교의 생사관: 사이불망
6장 주자의 명상론: 명상의 의미 범위
1절 마음의 수습
2절 미발의 함양
3절 이발의 성찰
4절 도리의 숙고
7장 주자의 명상론: 명상의 심적 경지
1절 명상의 방법과 경지
2절 마음 반성과 상제 대면
3절 명상의 작위와 무위
4절 마음의 유능과 무능
8장 주자의 명상론: 명상적 삶의 경지
1절 인식론적 경지: 활연관통 3
2절 존재론적 경지: 즉물이재
3절 실천론적 경지: 작용즉성
9장 주자학과 하이데거 현상학
1절 인간의 마음 대 현존재
2절 이치 대 존재
3절 경건 대 초연성
4절 활연관통 대 자화사건
5절 4단지심 대 배려
2부 양명의 명상론
10장 양명의 수양론
1절 심학으로서의 유교
2절 수양의 방법과 영역
11장 치양지의 구체적 의미
1절 치지격물
2절 지행합일
3절 발본색원
4절 사상마련
12장 양명의 명상론
1절 양명의 수양론과 명상론
2절 정좌의 의미 범위
3절 명상: 유능을 위한 반성의식의 작동
4절 사구교 논쟁의 명상적 의미
13장 양명학과 후설 현상학
1절 수동적 지각과 능동적 해석
2절 양명학의 현상학적 해석 가능성
3절 양명학의 현상학적 해석의 한계성 9
결론 유교 명상론의 의의
참고문헌
부록 1: 숙고적 명상을 위한 경문들
1. 중용 제1장
2. 대학 제1장
3. 의상의 법성게
4. 반야심경
5. 산상수훈
부록 2: 유교 명상의 실례
1. 호흡 명상
2. 감각 명상
3. 미소 명상
4. 탈색 명상
5. 충서 명상
6. 자겸 명상
7. 미발 명상
8. 숙고 명상
9. 오륜 명상
10. 오상 명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