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광해관리 GIS
광해관리 GIS
저자 : 최요순|서장원|김성민
출판사 : 씨아이알
출판년 : 2019
ISBN : 9791156107330

책소개

광해 GIS 전문가가 되기 위한 가이드, 친절한 광해 GIS 입문서

광해란 광산 개발 과정에서 수행된 토지굴착, 암석의 파 ? 분쇄, 운반, 선광 등의 결과로 인해 발생하는 지반침하, 오염수 배출, 폐석 유출, 산림 훼손, 먼지 날림, 소음 및 진동 등의 피해를 의미한다. 휴광 또는 폐광된 광산지역에는 광해를 유발할 수 있는 다수의 요인들이 그대로 방치되어 있기 때문에 휴 ? 폐광산지역의 환경 복원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휴 ? 폐광산지역의 환경 복원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환경 ? 사회 ? 경제적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복원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수치갱내도, 지형지적도, 광산지질도, 식생도, 항공사진 등 다양한 도면자료들과 속성자료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할 수 있는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은 휴 ? 폐광산지역의 환경 복원 계획 수립의 의사 결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공간정보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한국광해관리공단에서 전국 폐탄광지역에 대한 수치갱내도 구축, 휴 ? 폐 금속광산에 대한 지형지적 복합도 작성, 광산 지반침하지에 대한 지반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수질실태 조사지점에 대한 조사 내역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광해 관리를 위한 공간정보 인프라 구축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또한 광해방지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광해의 유형 및 광해 관리 업무의 특성에 따라 GIS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유용한 의사 결정 지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GIS 활용 기술들을 다수 개발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해 관리 업무에서 GIS의 활용은 여전히 저조한 실정이다. 광해 관리 업무에서 GIS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자료, 방법은 충분히 갖추어졌으나, 이를 운영하기 위한 사람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지난 십여 년간 광해 관리를 위한 GIS 활용 기술들을 개발해온 저자들은 개발된 기술들이 실질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광해 관리 GIS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진 인력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왔다. 그리고 대학의 학부, 대학원 과정의 교재로 활용되거나 광해 관리 실무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광해 관리 GIS 전문교재 발간의 꿈을 꾸게 되었다. 그리고 그동안 저자들이 개발했던 광해 관리를 위한 GIS 활용 기술들의 기본적인 내용을 독자들이 GIS 소프트웨어 실습을 통해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이 책을 집필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광해 GIS 전문가가 되기 위한 가이드, 친절한 광해 GIS 입문서



광해란 광산 개발 과정에서 수행된 토지굴착, 암석의 파.분쇄, 운반, 선광 등의 결과로 인해 발생하는 지반침하, 오염수 배출, 폐석 유출, 산림 훼손, 먼지 날림, 소음 및 진동 등의 피해를 의미한다. 휴광 또는 폐광된 광산지역에는 광해를 유발할 수 있는 다수의 요인들이 그대로 방치되어 있기 때문에 휴.폐광산지역의 환경 복원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휴.폐광산지역의 환경 복원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환경.사회.경제적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복원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수치갱내도, 지형지적도, 광산지질도, 식생도, 항공사진 등 다양한 도면자료들과 속성자료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할 수 있는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은 휴.폐광산지역의 환경 복원 계획 수립의 의사 결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공간정보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한국광해관리공단에서 전국 폐탄광지역에 대한 수치갱내도 구축, 휴.폐 금속광산에 대한 지형지적 복합도 작성, 광산 지반침하지에 대한 지반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수질실태 조사지점에 대한 조사 내역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광해 관리를 위한 공간정보 인프라 구축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또한 광해방지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광해의 유형 및 광해 관리 업무의 특성에 따라 GIS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유용한 의사 결정 지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GIS 활용 기술들을 다수 개발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해 관리 업무에서 GIS의 활용은 여전히 저조한 실정이다. 광해 관리 업무에서 GIS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자료, 방법은 충분히 갖추어졌으나, 이를 운영하기 위한 사람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지난 십여 년간 광해 관리를 위한 GIS 활용 기술들을 개발해온 저자들은 개발된 기술들이 실질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광해 관리 GIS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진 인력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왔다. 그리고 대학의 학부, 대학원 과정의 교재로 활용되거나 광해 관리 실무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광해 관리 GIS 전문교재 발간의 꿈을 꾸게 되었다. 그리고 그동안 저자들이 개발했던 광해 관리를 위한 GIS 활용 기술들의 기본적인 내용을 독자들이 GIS 소프트웨어 실습을 통해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이 책을 집필하였다.



▶ 출판사 서평

이 책은 광해 방지 사업에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접목시켜 그 활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 책은 학부생의 교재뿐만 아니라 GIS의 전문 인력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좋은 가이드서가 될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CHAPTER 01 광해 방지와 GIS

1.1 서 론

1.2 광산 재해의 유형과 방지

1.3 지반침하

1.4 광산배수 및 수질오염

1.5 토양오염 및 토양침식

1.6 산림 훼손

1.7 사면붕괴

1.8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광해 통합 평가



CHAPTER 02 수치갱내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가시화

2.1 무엇을 배우는가?

2.2 이론적 배경

2.3 GIS 실습

2.4 확장해보기

2.5 요 약



CHAPTER 03 지구화학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가시화

3.1 무엇을 배우는가?

3.2 이론적 배경

3.3 GIS 실습

3.4 확장해보기

3.5 요 약



CHAPTER 04 지반침하에 의한 광해 분석

4.1 무엇을 배우는가?

4.2 이론적 배경

4.3 GIS 실습

4.4 확장해보기

4.5 요 약



CHAPTER 05 광산배수에 의한 광해 분석

5.1 무엇을 배우는가?

5.2 이론적 배경

5.3 GIS 실습

5.4 요 약



CHAPTER 06 토양오염에 의한 광해 분석

6.1 무엇을 배우는가?

6.2 이론적 배경

6.3 GIS 실습

6.4 확장해보기

6.5 요 약



CHAPTER 07 광물찌꺼기에 의한 광해 분석

7.1 무엇을 배우는가?

7.2 이론적 배경

7.3 GIS 실습

7.4 요 약



CHAPTER 08 산림 훼손에 의한 광해 분석

8.1 무엇을 배우는가?

8.2 이론적 배경

8.3 GIS 실습

8.4 확장해보기

8.5 요 약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