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한국의 근대 형상과 한국학 (비교 역사의 시각)
저자 : 김경일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출판년 : 2020
ISBN : 9791158666378
책소개
AKS 사회총서 22권. ‘한국적인 것’에 관한 질문은 오랫동안 존재해왔다. 콘텐츠의 종류를 막론하고 한국적인 것, 한국다움, 한국의 가치와 이념 그리고 문화 등을 설명하고자 하는 노력은 꾸준히 이루어져왔고, 이러한 노력의 정점에는 한국에 관한 지식 체계로서 ‘한국학’이 있다.
현재 한국학은 대학의 독립적인 학문 분과체제를 중심으로 자리 잡았으나, 한국학의 기원과 발전은 한국만의 독자적인 영역에서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국학은 서구열강의 정치적 이해관계와 국제관계 아래 독자적인 정치력을 발휘하지 못했던 역사적인 특수성 속에서 연구되어 왔다.
이 책은 이러한 특수성 속에서 일어난 한국사회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그 과정에서 성립된 여러 한국학의 개념과 변천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한국이라는 지역적으로 국한된 공간 안에서 한국인들이 겪은 역사와 고유한 문화에 내재된 전통, 한국인의 자아인식 등을 상세히 살피는 한편, 한국학의 성립과 성격을 비교사의 관점에서 파악하기 위해 미국의 사례를 집중 검토했다.
목차
1장 서론
2장 한국 근대 형상의 기원
1. 서구의 시각
2. 국민성의 단초와 조선인관의 형성
3. 한국인에 의한 한국관의 세 유형
4. 식민 지배 권력의 인식
3장 조선학의 형성과 실천
1. 식민지 지식의 계보
2. 조선학의 형성과 배경
3. 조선학의 흐름과 쟁점
4. 조선학의 주변성과 자아정체성
5. 가치의 문제와 민족주의
6. 민족주의를 넘어서
4장 비교 시각과 자국 연구
1. 미국에서 지역연구의 기원과 발전
2. 미국의 정체성과 미국학의 역사
3. 미국 국가 정체성의 내용과 방법
4. 미국학의 쟁점과 특성 및 한계
5장 미국학과 미국의 정체성 논쟁
1. 미국의 정체성에 대한 두 가지 사례
2. 단절과 변화, 사회의 연대와 집단의 강조
3. 연속과 불변, 성취와 개인주의의 표상
6장 한국의 전통과 민족, 민중
1. 한국의 전통과 고유성, 한국적인 것
2. 전통의 효용
3. 전통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대두
7장 근대 주체성의 등장과 전통의 변용
1. 근대화와 주체성
2. ‘한국적인 것’과 전통의 대상
3. 민족주의와 전통의 이용
4. 방법으로서의 전통: 본질주의와 역사주의
8장 한국학의 성립과 모색
1. 한국학 성립의 배경
2. 성립의 시기와 ‘국학’의 부흥
3. 한국학 개념의 경합과 한국의 특수성
4. 한국학과 국가의 개입
5. 한국학의 개념 정의: 대상, 가치와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