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미네르바 인문 읽기와 쓰기 (인간과 문명)
미네르바 인문 읽기와 쓰기 (인간과 문명)
저자 : 미네르바 교양대학 교재편찬위원회|유경한
출판사 : HUINE
출판년 : 2017
ISBN : 9791159011733

책소개

세계화 시대에 필요한 융.복합적 사고 능력과 창의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고전인문 읽기와 글쓰기를 연계하여 구성하였다. 동.서양의 고전 작품들을 통해 인류가 문명을 이루어 나가는 과정에서 정신적 발전을 이룬 사상적 토대를 조명 및 분석하고 미래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탐구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주, 인간, 철학, 역사, 예술, 문학, 정치, 경제 등 다양한 분야의 고전 인문학의 원전을 읽으며 분석과 토론을 통해 논리적이면서 창의적인 사고 능력을 기를 수 있다. 글쓰기 작업을 통해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고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함으로써 비판적 사고능력과 합리적 소통능력을 키워갈 수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급변하는 세계정세 속 디지털 기술의 눈부신 혁신에 힘입어 지식혁명이라 불리는 지식기반사회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새로운 지식창출이 요구되는 사회에서 앞으로 다가올 미래사회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준비해야 하는 것들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때입니다.



이 책은 세계화 시대에 필요한 융.복합적 사고 능력과 창의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고전인문 읽기와 글쓰기를 연계하여 구성하였습니다. 동.서양의 고전 작품들을 통해 인류가 문명을 이루어 나가는 과정에서 정신적 발전을 이룬 사상적 토대를 조명 및 분석하고 미래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탐구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우주, 인간, 철학, 역사, 예술, 문학, 정치, 경제 등 다양한 분야의 고전 인문학의 원전을 읽으며 분석과 토론을 통해 논리적이면서 창의적인 사고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글쓰기’ 작업을 통해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고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함으로써 비판적 사고능력과 합리적 소통능력을 키워갈 수 있습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문



제1장 우주와 인간 15

들어가는 말 17

1. 갈릴레오와 망원경: 존 캐리의 『지식의 원전: 다빈치에서 파인만까지』 22

2. 우리의 지구가 죽어가고 있다: 존 캐리의 『지식의 원전: 다빈치에서 파인만까지』 27

3. 우주적 차원의 감응: 존 헨더슨의 『중국의 우주론과 청대의 과학혁명』 38

4. 우주 속의 인간이해: 블레즈 파스칼의 『팡세』 47



제2장 인간과 철학 61

들어가는 말 63

1. 사람다운 삶: 공자의 『논어』 67

2. 동굴의 비유: 플라톤의 『국가』 75

3. 행복과 탁월성: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윤리학』 80

4. 타자와 죽음: 톨스토이의 『주인과 하인』 89



제3장 역사의 본질 101

들어가는 말 103

1. 역사의 본질은 무엇인가: 마르크 블로크의 『역사를 위한 변명』 107

2. 역사의 법칙이나 원리가 존재할 수 있는가:

칼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114

3. 서양 역사의 기원: 헤로도토스의 『역사』 123

4. 동양 역사서술의 전범: 사마천의 「임안에게 드리는 답장」 130



제4장 예술과 상상력 139

들어가는 말 141

1. 미메시스론: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145

2. 예술가의 창조적 정신: 박지원의 「영처고서」 151

3. 꿈, 도취, 상상력: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의 『비극의 탄생』 154

4. 예술, 테크놀로지, 매체: 발터 벤야민의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159



제5장 문명과 종교 169

들어가는 말 171

1. 문명에 관한 담론: 정수일의 『문명담론과 문명교류』 175

2. 다원적 문명론: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188

3. 종교의 기원과 역할

미르치아 엘리아데의 『성과 속』 194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토템과 타부』 199



제6장 자본주의와 시장 211

들어가는 말 213

1. 경제문제의 본질은 무엇인가 217

로버트 L. 하일브로너, 윌리엄 밀버그의 『자본주의 어디로 와서 어디로 가는가』

2. 자본주의의 형성과 발전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229

김수행의 『자본론 공부』 234

3. 시장경제의 대안

로버트 L. 하일브로너, 윌리엄 밀버그의 『자본주의 어디로 와서 어디로 가는가』 241



제7장 정치이데올로기와 민주주의 251

들어가는 말 253

1. 정치이데올로기

한나 아렌트의 『전체주의의 기원 2』 258

최인훈의 『광장』 266

2. 민주주의 정치제도의 이념과 원리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 273

장 자크 루소의 『사회계약론』 282



제8장 동아시아 문명과 한국 301

들어가는 말 303

1. 동아시아 문명의 사상적 기원

유가의 덕치주의: 『맹자』 308

법가의 법치사상: 『상군서』 311

2. 유교국가 조선

율곡의 「동호문답」 319

다산의 「원목」과 「탕론」 322

3. 전통의 균열과 일본근대화의 양면성

후쿠자와 유키치의 『학문의 권장』 326

후쿠자와 유키치의 탈아론 331

4. 동아시아의 미래와 역사화해

유용태박진우박태균의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2』 335



부록 인문강좌 보고서 쓰기 347

들어가는 말 349

1. 주제 정하기 353

2. 자료 찾기 361

3. 개요 짜기 366

4. 초고 쓰기 370

5. 수정하기 385

6. 인용, 주석, 참고문헌 387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