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조용히 다가오는 지방간 NASH를 알다 (병을 알고 증례로 치료를 배우다)
조용히 다가오는 지방간 NASH를 알다 (병을 알고 증례로 치료를 배우다)
저자 : 오카자키 이사오
출판사 : 군자출판사
출판년 : 2018
ISBN : 9791159553912

책소개

「의사와 환자를 위한 대사증후군 시대의 새로운 간질환」을 발간한 것이 4년 전인 2012년 6월입니다. 그 2년 전에 나스시오바라시(那須?原市)에 있는 국제의료복지대학병원의 검진센터와 간질환을 주로 보는 소화기 외래에 주 1회 근무하였는데, 놀라운 것은 BMI 30 이상의 고도비만인구가 많고, 국제적으로 간질환 분야에서 치료가 곤란한 비알코올지방간염(NASH)으로 추정되는 환자가 많다는 것이었습니다. 외과주임교수인 스즈키 유 교수의 협조와 간호부, 검사부, 병리부, 영양관리과 등 여러 부서의 이해, 지원과 응원에 힘입어 3년 전인 2013년 봄에 NASH 교육입원을 설립하게 되었습니다. 이 병은 간경변으로 진행하고, 더욱이 적지 않게도 10%는 간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그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키타자토대학 의료센터 내과 요코모리 히로아키 교수와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면역조직화학적 공동연구를 수행할 것을 윤리위원회에 신청하여 승인을 얻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의사와 환자를 위한 대사증후군 시대의 새로운 간질환」을 발간한 것이 4년 전인 2012년 6월입니다. 그 2년 전에 나스시오바라시(那須?原市)에 있는 국제의료복지대학병원의 검진센터와 간질환을 주로 보는 소화기 외래에 주 1회 근무하였는데, 놀라운 것은 BMI 30 이상의 고도비만인구가 많고, 국제적으로 간질환 분야에서 치료가 곤란한 비알코올지방간염(NASH)으로 추정되는 환자가 많다는 것이었습니다. 외과주임교수인 스즈키 유 교수의 협조와 간호부, 검사부, 병리부, 영양관리과 등 여러 부서의 이해, 지원과 응원에 힘입어 3년 전인 2013년 봄에 NASH 교육입원을 설립하게 되었습니다. 이 병은 간경변으로 진행하고, 더욱이 적지 않게도 10%는 간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그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키타자토대학 의료센터 내과 요코모리 히로아키 교수와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면역조직화학적 공동연구를 수행할 것을 윤리위원회에 신청하여 승인을 얻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과거 3년간에 걸친 활동의 보고서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최종 목적은 NASH 치료로 정상 간으로 회복하는 것입니다. 수년 관찰에서는 거기까지 도달하지 못하였지만, 간생검을 시행하여 병리학적으로 NASH로 진단한 30례의 환자에서 간세포 특이적 ALT 및 담도계 효소로 알려진 γ-GTP가 높았던 환자가 정상치로 회복하고, 복부초음파에서 지방간 소견이 보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또 간 줄기·전구세포의 유도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의 작용 등을 관찰하면서 환자를 치료하였습니다. 깨달은 것은 해외 RCT 유명논문을 이해없이 맹목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저는 치료에 서광을 보았다는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희는 1974년 Nature에 간 collagenase를 발표한 이래 간 섬유화 개선을 목표로 연구하였습니다. 이번 연구에서 요코모리 교수는 세계 최초로 면역전자현미경으로 matrix metalloprotenase-I (MMP-1) 효소가 Caveola에 존재함을 밝혔습니다, NASH에서 섬유화가 관찰되는 증례에서는 MMP-1 발현이 간 전구세포에서 관찰되며, 이는 악화에 관여하였습니다. MMP-1은 설치류에 존재하지 않고, 인간으로의 고등동물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획득되며, 단순한 콜라겐 특이적 분해효소가 아니라 탈분화(dedefferentiation: 미분화세포로의 전환)의 신호로 생각해도 좋은 인상을 갖게 되었습니다. MMP-1의 발현이 간경변·간암으로의 만성화로 이어진다고 생각되었습니다.

환자 진료내용을 일부라도 공개하는 데는 당연히 윤리위원회 심의를 받았고, 환자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배려하였습니다. 환자에게 설명과 동의를 받아 출판하였습니다.

이 책 내용은 일본소화기병학회(협력학회 일본간학회)의 「NAFLD/NASH 진료가이드라인 2014」을 준거하였습니다.

이 책의 출판에 기꺼이 동의해 준 환자분들, 공동연구자인 집필자 여러분, 예방의학 센터, 내과외래, 사무직 모든 분들의 이해와 협력, 출판을 허가해 주신 것에 깊이 감사 말씀을 올립니다. 지금까지 연구를 계속한 것은 가족의 이해가 있었고, 아내에게 이 책을 바치며 깊이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독자 여러 선생님들께는 이 책에 대해 비판과 꾸짖음, 부디 가르침을 부탁드립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I. NASH를 알다
NASH에 대해 알고 있는가?
지방간은 어떤 기전으로 일어나는가?
지방간 형성 기전으로부터 발전한 NASH 유전자 연구
NAFLD와 NASH의 병리소견은 어떻게 다른가?
NASH 특징적인 임상상이 있는가?
NASH 환자의 자연면역·획득면역

II. NASH 교육입원의 개시

III. 경험증례로 보는 진단과 치료 ①
섬유화가 약간 있는 조기 NASH 증례
비만이 없다고 해도 좋은 4증례
BMI 30 이상의 조기 NASH 증례

IV. 경험증례로 보는 진단과 치료 ②
당대사 이상 또는 그 외 합병증을 가지는 NASH 증례
당대사 이상을 나타낸 NASH 증례
기타 합병증을 가지는 NASH 증례
NASH가 아니었던 고 γ-GTP 혈증 2증례

V. NASH 간암 증례

VI. NASH 연구의 현황과 NASH 특이성
간섬유화 연구의 최근 진보
Protease로부터의 섬유화 개선 연구
NASH에서의 간섬유화 기전
NASH 섬유화에서 Proteases 연구현황

VII. NASH 치료는 어떻게 하는가? - 체중조절과 신체활동

VIII. NASH의 약물요법: 약제의 선택, 효과판정을 어떻게 하는가?

IX. NASH로부터의 간암 발생 연구
NASH로부터의 간암 발생 연구
NASH 간암에서 보이는 Protease의 역할

X. 필자 등의 연구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