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국제질서 변화와 유엔의 평화·안보 거버넌스
국제질서 변화와 유엔의 평화·안보 거버넌스
저자 : 정은숙
출판사 : 선인
출판년 : 2019
ISBN : 9791160682465

책소개

글로벌 거버넌스를 위한 최상위 기구가 제2차 세계대전의 참화를 뒤로 하고 연합국이 주도해 1945년 창립한 유엔(United Nations)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저서는 2018년 세종연구소 종합연구의 일환으로 탄생했다. 세종연구소가 수석연구위원들에게 자신이 발표한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한 권의 책으로 발간토록 장려한 결과이다. 주제를 가급적 “국제평화와 안보” 거버넌스 영역으로 정하여 유엔과 유엔체계의 역할과 활동을 살펴보고, 거버넌스 갭을 지적하며 더불어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론



제1부│유엔, 어제와 오늘

제1장 국제관계이론 시각에서 보는 유엔

제2장 연합국의 국제평화 의지와 유엔탄생

제3장 유엔과 유엔체계 구조

제4장 유엔의 다양한 활동과 전담조직

참고문헌



제2부│유엔 평화·안보주체로서 안전보장이사회와 사무총장

제1장 유엔안전보장이사회와 강대국정치: 구조·절차·개혁논의

제2장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개혁논의와 한일관계

제3장 독일과 일본, 유엔안보리 진출 노력

제4장 비유엔행위자의 군사적 제재와 유엔안보리의 향방

제5장 이라크 전후복구와 유엔의 역할: 유엔효용론인가, 유엔무용론인가

제6장 2018년 영면에 든 제7대 유엔사무총장 코피 아난: 업적과 유엔의 과제

제7장 반기문 제8대 유엔사무총장 재선 (2011)

제8장 제9대 유엔사무총장 선출과정 조망: 글로벌 리더십 발굴을 위한 새 노력

제9장 다자주의 퇴조 속 구테흐스 제9대 유엔사무총장 취임: 난민, 북한핵, 미국-유엔관계

참고문헌





제3부│유엔 평화유지활동의 지평

제1장 유엔평화유지활동 도전과 응전: HIPPO와 A4P

제2장 제2세대 유엔평화유지활동의 특징, 현황, 정치

제3장 통합형 유엔평화유지활동: 코소보 사례를 중심으로

제4장 한국·중국·일본의 유엔평화유지활동 참여: 배경, 동인, 전망 비교

제5장 한국군의 국제평화유지활동: 배경, 성과, 도전

참고문헌



제4부│유엔과 인권의 국제화

제1장 유엔인권위원회와 러시아의 체첸군사작전

제2장 밀로셰비치, 유엔특별형사재판소 피고가 되기까지

제3장 인도주의적 군사개입, 시행착오의 여정

참고문헌



제5부│글로벌 비전통 안보위협과 유엔의 과제

제1장 글로벌 비전통 안보위협: 유엔과 한국의 기여 요소

제2장 세계화와 글로벌 테러리즘: 현상과 유엔중심 대응

제3장 국제테러리즘의 패러다임 전환과 유엔안보리의 대응

제4장 이슬람국가(IS)의 파리시내 테러: 내전, 테러, 난민 복합성

참고문헌



제6부│유엔헌장 제7장과 안보리의 제재

제1장 유엔 타깃제재, 북한·중국·러시아, 국제정치이론

제2장 유엔의 대북 비확산 제재: 2013년 잠정평가

제3장 유엔의 대북제재와 수출통제

제4장 유엔 타깃제재의 영향과 실효성

참고문헌



제7부│P5의 유엔 밖 상호견제 구도와 국제질서 동향

제1장 유엔창설 70주년, 시리아·우크라이나 유감

제2장 시리아 유혈사태와 러시아, 그리고 현실주의 국제정치

제3장 크림반도 위기와 국제질서의 향방

제4장 트럼프 시대 미러관계 전망

제5장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경제제재: 중국·러시아의 기업과 개인

제6장 웨일즈 NATO 정상회의: 러시아, IS, 안보강화

제7장 뮌헨안보회의의 전통·비전통 안보 의제

제8장 브렉시트, 유럽과 국제안보에의 함의

제9장 오리무중(五里霧中) 속 솔즈베리 독극물 사건: 21세기형 전통·비전통 안보의 혼재

제10장 중·러 주도 상해협력기구 정상회의: NATO와의 국제안보 시각차

제11장 두 차례에 걸친 중·러 해상연합-2015: 배경, 내용, 의미

제12장 중·러 정상의 타쉬켄트와 북경 회동: ‘신실크로드,’ ‘남중국해,’ 그리고 ‘사드’

제13장 샹그릴라 대화와 미·중경쟁: 아시아안보의 현주소

참고문헌



결론



부록

1. 유엔헌장 제6장(분쟁의 평화적 해결)

2. 유엔헌장 제7장(평화위협, 평화파괴, 침략행위에 대한 조처)

3.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결의문 제1718(2006)호북한 제1차 핵실험에 대한 제재결의문



찾아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