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식민지 시대 민족 계몽 담론과 근대 장편소설의 탈식민성 연구
저자 : 김병구
출판사 : 역락
출판년 : 2017
ISBN : 9791162441121
책소개
서장 / 9
1. 식민지 시대 장편소설과 탈식민주의 9
2. 탈식민주의와 리얼리즘 서사의 식민성 18
3. 사회적 상징으로서의 서사 23
제1부 이광수 장편소설과 제국주의에 대한 동일화의 서사
제1장 ‘민족’을 위한 소명의식과 식민지 지식인의 자기기만 ―'무정' / 33
1. 들어가는 말 33
2. ‘민족을 위한’ 소명의식의 자연화 전략 37
3. 식민지 지식인의 자기기만과 원한의 이데올로기 45
4. 맺는 말 51
제2장 자기희생적 삶과 자기 원한 감정―'재생' / 53
1. 들어가는 말 53
2. ‘자기희생적’ 삶의 자연화 57
3. 자기 원한 감정의 내면화 67
4. 맺는 말 75
제3장 금욕윤리와 양반계급에 대한 원한―'흙' / 77
1. 들어가는 말 77
2. 자기희생적 금욕윤리에 입각한 서사의 인식론적 구조 80
3. 양반계급에 대한 원한의 정서적 구조 90
4. 맺는 말 98
제2부 제국주의에 대한 차이화의 서사―염상섭의 '사랑과 죄', '삼대', '무화과'
제1장 사회주의의 이념적 지평과 여성의 타자화―'사랑과 죄' / 103
1. 들어가는 말 103
2. 사회주의 지향의 지평인물을 매개로 한 정체성 찾기 106
3. 여성의 타자화와 민족적 정체성 회복 욕망 111
4. 맺는 말 118
제2장 식민지 정치 현실의 전체화와 사회주의 이념에 대한 강박―'삼대' / 121
1. 보편주의적 근대를 향한 동일화의 서사:'만세전' 123
(1) 식민지 발견의 여행 123
(2) 표상으로서의 ‘조선’과 보편주의적 근대 지향의 욕망 127
2. 식민 제국 일본에 대한 차이화의 서사:'삼대' 132
(1) 식민지 사회, 그 상징으로서의 ‘가족’ 132
(2) 종족적 민족주의와 민족적 정체성 회복의 욕망 142
3. 맺는 말 149
제3장 자본주의 물신성 비판과 사회주의 이념의 부정―'무화과' / 153
1. 들어가는 말 153
2. 물신화된 자본주의적 욕망이 지배하는 세태 비판 157
3. 사회주의 이념의 부정, 민족적 동일성 회복 욕망의 역설 167
4. 맺는 말 178
제3부 제국주의에 대한 대립적 동일화의 서사―이기영의 '고향', '신개지', '봄'
제1장 식민지 현실의 총체화와 사회주의적 이상향의 억압적 승화―'고향' / 183
1. 들어가는 말 183
2. 지평인물의 설정을 통한 서술의 특권화와 계급 대립의 관계 구조 185
3. 사회주의적 이상향의 억압적 승화 206
4. 맺는 말 214
제2장 식민지 물상화 과정 비판과 금욕 윤리의 역설―'신개지' / 219
1. 들어가는 말 219
2. 금욕 윤리에 의한 식민지 근대화 과정의 비판적 서사화 222
3. 근면 노동을 통한 물상화된 농촌 현실 극복 욕망의 역설 231
4. 맺는 말 242
제3장 개화기 세태 풍속 비판과 문명개화 이념의 역설―'봄' / 245
1. 들어가는 말 245
2. 계몽 이념의 서사화와 그 이데올로기적 효과 250
3. 농촌 공동체 ‘민촌’을 향한 동경의 억압적 승화 259
4. 맺는 말 269
제4부 식민지 시기 민족주의 담론과 탈식민주의
제1장 근대 계몽기 민족주의 형성의 아이러니―신채호의 ‘국수’ 이념을 중심으로 / 275
1. 들어가는 말 275
2. 대립의 정치학, 민족주의와 ‘국수’ 보전의 아이러니 280
3. 민족주의의 형이상학, ‘국수’ 이념과 민족 대서사 구축의 욕망 291
4. 맺는 말 302
제2장 1920년대 문화적 민족주의의 역설―이광수의 ‘민족성 개조론’을 중심으로 / 305
1. 들어가는 말 305
2. 다이쇼(大正) 문화주의, ‘민족성 개조론’의 이념적 근거 310
3. ‘민족 개조’라는 ‘대종교’, 근대 금욕윤리의 정치학 320
4. 맺는 말 333
제3장 고전부흥의 기획과 ‘조선적인 것’의 형성 / 337
1. 들어가는 말 337
2. 고전부흥의 기획과 조선학 운동의 제도화 341
3. 고전부흥 기획의 양가적 의미망 350
4. ‘조선의 얼’과 ‘조선적인 것’에 대한 욕망의 아이러니 357
5. 맺음말 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