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교실로 ON 유형별 최신 교육과정 재구성의 실제 (교실로 ON)
교실로 ON 유형별 최신 교육과정 재구성의 실제 (교실로 ON)
저자 : 홍후조^조호제^김자영^민부자^임유나
출판사 : 피와이메이트
출판년 : 2023
ISBN : 9791165194512

책소개

교사들은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가 제시하는 방향과 목표, 각론 구성, 실행 지침 등에 따라 학교교육과정 문서를 개발하며, 이에 따라 수업을 비롯한 학교의 교육활동은 구현된다. 학교교육의 문지기인 교사들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재구성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교교육의 질을 높이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교과, 학습자, 사회라는 교육과정 결정의 세 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하는 교육과정의 유형별 이론들을 탐색하고, 그에 따라 실제로 수업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를 구체화한 책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선생님, 어떤 비법이 있으신 건가요?”



우리 반과 달리 아이들이 특별히 잘 뭉치고, 뭐든 열심히 하는 반이 있어 그 반 선생님께 여쭸다.



“그냥 하는 거예요.”



겸손하게 ‘그냥’이라 하시지만 더 여쭤보면 선생님이 ‘예전에 공부했던 것’, ‘아이들 가르치면서 시행착오로 배웠던 것’ 등이 줄줄이 사탕처럼 나온다. 교사들은 동료교사들과 늘 수업 이야기를 나누고 수업을 돌아보며 구상한다. 그러나 막상 그 속 깊이 있는 원천, 즉 교사가 수업을 하면서 왜 이것을 가르쳐야 하는지,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구현되기를 바라는 교육의 효과나 방향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다.



이 책은 이러한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교사들은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가 제시하는 방향과 목표, 각론 구성, 실행 지침 등에 따라 학교교육과정 문서를 개발하며, 이에 따라 수업을 비롯한 학교의 교육활동은 구현된다. 학교교육의 문지기인 교사들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재구성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교교육의 질을 높이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책은 교과, 학습자, 사회라는 교육과정 결정의 세 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하는 교육과정의 유형별 이론들을 탐색하고, 그에 따라 실제로 수업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를 구체화해 본 것이다.



학문으로서의 교육과정학은 학교를 비롯한 교육기관에서 가르치고 배울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분야이다. 이러한 교육과정은 시대에 따라 교육목표, 교육내용과 활동경험, 교수?학습 방법, 교육평가의 의미와 내용을 달리하며 발전해 왔다. 그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동하는 것이 교과(학문), 학습자(개인과 집단), 사회(산업, 국가, 세계)이다. 이 세 요소는 현대 학교교육제도를 모색한 20세기 초반에는 따로, 최근에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교육과정을 만들어 왔다. 이들은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 정의, 종류, 유파별 기원과 특색 등의 근간이 되고 있으며, 각각 고유한 역사적 기원, 인간관, 사회관, 학교관, 수업관, 평가관을 아우르는 교육과정 관점을 낳았다.



먼저 ‘교과(학문)’는 인류가 축적한 문화유산 중에서 다음 세대에게 물려줄 가치가 있는 것들의 정수(精髓)로, 교육과정의 핵심이 되는 내용을 제공한다. 교과는 ‘학문’이라고 알려진 지식 체계 중 학생을 수련시키는 가치가 있는 것이면서 동시에 교사가 가르칠 수 있고 학생이 배울 수 있는 교수?학습 가능성이 높은 것들만 정련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교과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유형으로 교과중심, 학문중심, 성취중심 교육과정과 그 재구성에 대해 다룬다. 교과의 지식과 내용은 교사와 학생이 만났을 때 주고받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매개체이며, 기본으로 돌아가자고 할 때 맨 먼저 떠올리게 되고, 교육의 효과와 효율을 평가할 때 기준이 되는 매우 강력한 영향력이다. 지식, 내용, 교과서 등을 지나치게 강조하면 교육의 일반목표의 원천인 학습자와 사회의 교육적 요구가 소홀히 될 수 있다.



‘학습자’는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 학습자의 능력과 소질, 적성을 개발하고 그들의 요구와 진로를 만족시키는 교육적 배려라는 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모든 학생은 각자의 소질, 능력, 장애, 진로희망 등이 다르고, 궁극적으로는 교육받은 학습자가 미래 사회를 만들어간다는 점에서 학습자 탐구에 대한 중요성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이 책에서는 학습자 관련 교육과정 유형으로 경험중심, 인간중심, 인지주의 교육과정과 그 재구성에 대해 다룬다. 개인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달시키는 것은 자유민주주의의 요체이며, 각 사람이 제 갈 길을 찾아 제구실하는 것은 교육의 주요 성과가 된다. 각자에게 맞는 개별화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적극적 지식구성력을 기대하지만, 공교육의 특성상 학급과 같은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개인차에 일일이 대응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사회’는 산업, 국가, 세계 등으로 그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교육에 실용적 기능을 요구한다. 학교교육은 일정한 사회적 틀 속에서 이루어지고 학교를 통해서 길러진 학습자가 사회 속에서 활동한다는 점에서 사회의 교육과정적 의미가 크다. 이 책에서는 사회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유형으로 사회적응, 사회개조, 직업 교육과정과 그 재구성을 다룬다. 자유 자주 독립적인 개인의 창의성과 협력은 사회 발전의 요체이나, 경제의 발전을 앞세워 개인을 도구화하거나 공동체라는 미명하에 전체주의로 흐를 위험성에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다양한 교육활동을 교과, 학습자, 사회라는 준거로 명확하게 구분하기는 쉽지 않다. 즉, 특정 교육과정 유형을 한 가지 관점이나 입장, 기준으로만 분류하기도 어렵다. 세 가지 기준을 종합하려는 노력도 꾸준히 있어 왔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교육과정 유형 중 중핵, 구성중심, 개념기반, 이해중심, 역량중심, IB PYP 교육과정과 그 재구성에 대해 다룬다. 국제 공인 교육과정인 IB PYP는 종합적인 교육과정으로 향후 우리 유?초등학교 교육과정이 지향할 바를 많이 담고 있어 학교교육과정의 실례로 다루었다. 오늘날 교육과정은 매우 종합적으로, 핵심개념에 대한 깊은 이해(deep understanding)와 핵심역량을 익히는 높은 수행(high performance)을 아우르고 있다.



이 책에서는 다양한 교육과정 유형의 기본 관점, 등장 배경, 주요 학자, 의의와 한계, 교육과정 재구성의 방향 등 이론적인 측면을 안내하였다. 각 교육과정 유형에 대한 이론적 탐색은 교실수업의 실제를 구안하는 탄탄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다음으로 각 교육과정 유형의 지향점, 핵심적인 내용, 특징적인 교수?학습 전략, 평가기법 등을 반영한 재구성 사례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기존의 교육과정이나 재구성 관련 서적들이 이론이나 실제 중 어느 한 측면을 다룬 경향이 있다면, 이 책은 이론과 실제를 조화롭게 구성하여 교육과정 유형별 이론이 실제 교실 수업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재구성 사례로 제시한 것이 특징이다. 즉, 시대 변화와 교육과정 결정의 원천(교과, 학습자, 사회)에 따라 어떻게 교육과정 유형을 나누어 접근하는지, 또 이론에서 실제까지 하나로 연결되는 교육과정의 온전한 모습이 무엇인지를 담아내고자 하였다. 교육과정 유형별 재구성 사례는 주로 현장수업 전문가인 선생님들이 집필하여 개발하였다.



흔히, 이론과 실제는 다르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론과 실제는 하나의 연속체선상에 있는 하나의 몸체이다. 좋은 이론은 좋은 실천을 낳고, 뛰어난 실천은 뛰어난 이론을 만드는 바탕이 된다. 교육이론은 알지만 적용력이 없으면 이론가에 머물고, 적용력은 있지만 이론을 모르면 기술자에 불과하다. 이론이 깊으면 현장에 적용하는 관점이 형성된다. 이 책은 이론과 실제를 통합할 수 있는 관점을 형성하여 통합된 모습이 학교 교실 수업에서 구현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펴낸 것이다. 또한, 교육과정 재구성에 능숙한 현장 전문가를 육성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된 것이기도 하다. 교사가 수업을 하면서 왜 이것을 가르쳐야 하는지,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구현되기를 바라는 교육 효과나 방향이 무엇인지를 설정하지 않고 수업을 전개한다면 귀항지 없이 표류하는 배와 같다고 할 수 있다. 저자들의 이러한 교육적 고민에 동의하는 교사들, 또 장차 교사가 되길 희망하는 예비교사들이 이 책을 통하여 이론과 실제를 통합하는 관점을 형성하고, 실제 수업을 통하여 교육자로서 철학을 구현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도움을 주신 박영스토리 노현 대표님, 김한유 과장님, 배근하 차장님 등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이후에 독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한층 수준 높은 책으로 발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023년 8월 저자 일동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부
교육과정 재구성

제1장 서론: 교사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수업을 시작한다.
제1절 교육과정 결정의 세 가지 요소와 그 특징 3
제2절 교육과정 유형별 주요 특징 요약 4
교과 중심 교육과정 유형 4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유형 6
사회 중심 교육과정 유형 8
세 요소의 종합 반영과 최근 교육과정의 경향 10
제3절 교육과정 재구성 19
재구성의 의미 19
재구성의 필요성 21
재구성의 범위와 유형 23
재구성의 기대 효과 24


제2부
교과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재구성

제2장 교과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29
제1절 기본 관점 29
등장 배경 31
주요 학자 및 이론 32
의의 및 한계 34
제2절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 36
교육의 목적과 내용 36
수업 방향과 원리 36
평가 방향 39
제3절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40

제3장 학문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47
제1절 기본 관점 47
등장 배경 48
주요 학자 및 이론 50
의의 및 한계 51
제2절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 52
교육의 목적과 내용 52
수업 방향과 원리 53
평가 방향 55
제3절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56

제4장 성취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64
제1절 기본 관점 64
등장 배경 65
주요 학자 및 이론 66
의의 및 한계 68
제2절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 69
교육의 목적과 내용 69
수업 방향과 원리 70
평가 방향 72
제3절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73
제3부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재구성

제5장 경험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85
제1절 기본 관점 85
등장 배경 86
주요 학자 및 이론 87
의의 및 한계 89
제2절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 90
교육의 목적과 내용 90
수업 방향과 원리 91
평가 방향 92
제3절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95

제6장 인간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102
제1절 기본 관점 102
등장 배경 103
주요 학자 및 이론 104
의의와 한계 106
제2절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 107
교육의 목적과 내용 107
수업 방향과 원리 108
평가 방향 110
제3절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111

제7장 인지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117
제1절 기본 관점 117
등장 배경 118
주요 학자 및 이론 119
의의 및 한계 121
제2절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 122
교육의 목적과 내용 122
수업 방향과 원리 123
평가 방향 125
제3절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126


제4부
사회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재구성

제8장 생활적응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137
제1절 기본 관점 137
등장 배경 138
주요 학자 및 이론 139
의의 및 한계 141
제2절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 142
교육의 목적과 내용 142
수업 방향과 원리 143
평가 방향 146
제3절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147

제9장 직업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155
제1절 기본 관점 155
등장 배경 157
주요 학자 및 이론 159
의의 및 한계 162
제2절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 163
교육의 목적과 내용 163
수업 방향과 원리 164
평가 방향 166
제3절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168

제10장 사회개조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175
제1절 기본 관점 175
등장 배경 176
주요 학자 및 이론 178
의의 및 한계 180
제2절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 181
교육의 목적과 내용 181
수업 방향과 원리 182
평가 방향 184
제3절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185


제5부
최근 강조되는 교육과정 재구성

제11장 중핵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195
제1절 기본 관점 195
등장 배경 196
주요 학자 및 이론 198
의의 및 한계 199
제2절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 200
교육의 목적과 내용 200
수업 방향과 원리 201
평가 방향 202
제3절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204

제12장 구성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211
제1절 기본 관점 211
등장 배경 213
주요 학자 및 이론 214
의의 및 한계 216
제2절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 216
교육의 목적 및 내용 216
수업 방향과 원리 217
평가 방향 218
제3절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220

제13장 개념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229
제1절 기본 관점 229
등장 배경 230
주요 학자 및 이론 232
의의 및 한계 235
제2절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 237
교육의 목적과 내용 237
수업 방향과 원리 238
평가 방향 239
제3절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241

제14장 이해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246
제1절 기본 관점 246
등장 배경 247
주요 학자 및 이론 247
의의 및 한계 252
제2절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 253
교육의 목적과 내용 253
수업 방향과 원리 및 평가 방향 253
제3절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255

제15장 역량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271
제1절 기본 관점 271
등장 배경 273
OECD 교육 2030 276
의의 및 한계 278
제2절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 279
교육의 목적과 내용 279
수업 방향과 원리 280
적용 가능한 수업 모형 281
교육과정 재구성 단계 281
평가 방향 282
제3절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285

제16장 IB PYP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294
제1절 기본 관점 294
IB 교육 294
IB PYP 298
제2절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 302
IB PYP의 탐구 단원 302
제3절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303

참고문헌 312
인명색인 322


용어색인 324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