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노인복지론 (노인복지 동향 정책 사회적 변화 등 각 분야를 반영)
노인복지론 (노인복지 동향 정책 사회적 변화 등 각 분야를 반영)
저자 : 이순례 장원태 곽종형
출판사 : 공동체
출판년 : 20231030
ISBN : 9791167255174

책소개

우리나라 고령화 속도가 OECD 국가 중 1위라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수명연장은 인구의 고령화를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이미 2000년을 기준으로 고령화사회로 진입하였고, 65세 이상의 인구가 총인구를 차지하는 비율이 2018년에는 14.3%로 고령사회에 진입하였으며, 2026년에는 20.8%로 이르게 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전 세계에서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우리나라의 급격한 노인인구의 증가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가져오게 되었으며, 우리 사회의 중요한 과제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코앞에 두고 있는 지금, 급격하게 늘어나는 노인인구에 비해 우리 사회가 노인을 위해 계획하고 있는 시설이나 정책은 극히 미미하고 부족한 실정입니다.

이에 따라 노인복지를 바르게 이해하고 시대변화에 맞는 노인복지정책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이러한 시기에 맞춰 대학에서 다년간 노인복지를 강의한 저자들과 현장실무를 담당하는 교수들이 함께 모여 그간의 강의경험과 변화하는 사회경제적 상황을 반영한 노인복지 저서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노인복지 동향ㆍ정책ㆍ사회적 변화 등 각 분야를 반영한 노인복지론을 집필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이 21세기 고령화사회의 당면 과제인 한국의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인복지 수준을 한 차원 높이고, 이론과 현실을 체계화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 대학에서 노인복지론의 교재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문제와 노인복지에 관심을 가진 많은 분들에게도 널리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우리나라 고령화 속도가 OECD 국가 중 1위라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수명연장은 인구의 고령화를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이미 2000년을 기준으로 고령화사회로 진입하였고, 65세 이상의 인구가 총인구를 차지하는 비율이 2018년에는 14.3%로 고령사회에 진입하였으며, 2026년에는 20.8%로 이르게 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전 세계에서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우리나라의 급격한 노인인구의 증가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가져오게 되었으며, 우리 사회의 중요한 과제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코앞에 두고 있는 지금, 급격하게 늘어나는 노인인구에 비해 우리 사회가 노인을 위해 계획하고 있는 시설이나 정책은 극히 미미하고 부족한 실정입니다.



이에 따라 노인복지를 바르게 이해하고 시대변화에 맞는 노인복지정책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이러한 시기에 맞춰 대학에서 다년간 노인복지를 강의한 저자들과 현장실무를 담당하는 교수들이 함께 모여 그간의 강의경험과 변화하는 사회경제적 상황을 반영한 노인복지 저서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노인복지 동향ㆍ정책ㆍ사회적 변화 등 각 분야를 반영한 노인복지론을 집필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이 21세기 고령화사회의 당면 과제인 한국의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인복지 수준을 한 차원 높이고, 이론과 현실을 체계화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 대학에서 노인복지론의 교재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문제와 노인복지에 관심을 가진 많은 분들에게도 널리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PART 1 노인의 이해 및 노년기의 발달과제

Chapter 1 노인의 이해 13
1. 노인의 개념 13
2. 노인의 발달과업 및 특성 15
3. 노인연령의 UN 기준 16

Chapter 2 노화에 대한 일반적 견해 19
1. 노화의 개념 19
2. 노화의 원칙 20

Chapter 3 노년기의 발달과제 및 건강관리 23
1. 노년기의 발달과제 23
2. 노년기의 만성질환 29

PART 2 고령화사회와 노인문제

Chapter 4 현대사회와 고령화 55
1. 세계 인구의 고령화 동향 55
2. 고령사회가 미치는 사회적 영향 57
3. 우리나라의 인구고령화 현황 62

Chapter 5 가족과 노인가구의 변화 65
1. 노년기 가족관계 65
2. 가족부양과 노인가구의 변화 67
3. 노년기의 재혼과 이성교제 70

Chapter 6 사회문제로서의 노인문제 75
1. 노인문제의 개념과 정의 75
2. 노인문제 발생요인 76
3. 노인우울증 77
4. 노인학대 82
5. 노인자살 93
6. 노인범죄 103

PART 3 노인복지정책

Chapter 7 노인복지정책의 기초 115
1. 노인복지의 개념과 목적 115
2. 노인복지의 제도적 기반 116
3. 노인복지의 행정체계 132
4. 노인복지 재정 134

Chapter 8 노인복지 관련법 141
1. 노인복지법 141
2. 고령자고용촉진법 143
3. 노인장기요양보험법 146

Chapter 9 노인복지의 정책 149
1. 노인복지정책의 개념 149
2. 노인소득보장정책 153
3. 노인의료보장정책 172
4. 노인주거보장정책 180
5. 노인장기요양정책 195

PART 4 노인복지실천

Chapter 10 노인복지실천과 기술 205
1. 노인복지실천의 개념 205
2. 노인복지실천의 목적 206
3. 노인복지실천의 기능 및 기본 원칙 207
4. 노인복지실천기술 209

Chapter 11 장기요양보험제도 및 노인복지서비스 225
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개요 225

2. 장기요양보호서비스 내용 230
3.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 및 과제 241
4. 시설복지서비스 245
5. 재가복지서비스 255

Chapter 12 노인교육과 자원봉사 277
1. 노인교육의 필요성 277
2. 노인교육의 방법과 유형 280
3. 노인교육의 발전방안 286
4. 노인자원봉사의 중요성 288
5. 노인자원봉사의 유형과 문제점 288
6. 노인자원봉사의 과제 294

Chapter 13 노인과 죽음 299
1. 노년기 죽음의 의미 299
2. 노년기 죽음의 이론 300

Chapter 14 고령사회와 노인복지의 미래 305
1. 고령사회 노인복지의 주요 쟁점 305
2. 고령사회 노인복지의 과제와 전망 308

■ 부록 313
■ 참고문헌 341
■ 찾아보기 349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