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장애인복지론
장애인복지론
저자 : 남연희 이기량 김효선 채인석 김영삼
출판사 : 공동체
출판년 : 20231030
ISBN : 9791167255204

책소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우리나라가 당면한 과제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는 국제기구와 국제협력을 통하여 장애인복지와 관련한 법과 제도 등을 꾸준히 발전시켜 왔다. 오늘날 장애인복지 분야는 가장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장애인복지를 오랫동안 강의하면서 이러한 변화를 느끼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 이후 장애인이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누려야 할 권리를 찾는 스스로의 노력들로 인해, 우리 사회를 지배하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복지의 수준을 높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장애인복지는 전 생애(total life cycle)에 걸쳐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아동, 청소년, 노인복지 등을 포괄하는 폭넓은 지식과 이론 및 실천기술이 필요하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도 다양한 장애종류와 장애정도에 따른 접근방법을 시도해야 하기 때문에 실천영역의 팀별 접근 또는 기관의 상호협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장애인복지를 처음 수강하는 학생들의 경우 기초적인 이해가 부족한 것을 보면서 장애인복지의 다양성과 전문성을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이 책에는 장애인복지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가 필수적으로 인지해야 할 내용을 중심으로 현장에서 전문가로서 역할을 수행할 때 필요한 이론과 실천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이 책을 통하여 대학에서 장애인복지를 배우는 학생은 물론이고, 장애인복지현장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도 필요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기를 바란다. 무엇보다 필자가 희망하는 바는 전문성이 요구되는 장애인복지 분야를 보다 쉽게 입문할 수 있는 입문서가 되기를 바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우리나라가 당면한 과제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는 국제기구와 국제협력을 통하여 장애인복지와 관련한 법과 제도 등을 꾸준히 발전시켜 왔다. 오늘날 장애인복지 분야는 가장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장애인복지를 오랫동안 강의하면서 이러한 변화를 느끼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 이후 장애인이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누려야 할 권리를 찾는 스스로의 노력들로 인해, 우리 사회를 지배하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복지의 수준을 높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장애인복지는 전 생애(total life cycle)에 걸쳐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아동, 청소년, 노인복지 등을 포괄하는 폭넓은 지식과 이론 및 실천기술이 필요하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도 다양한 장애종류와 장애정도에 따른 접근방법을 시도해야 하기 때문에 실천영역의 팀별 접근 또는 기관의 상호협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장애인복지를 처음 수강하는 학생들의 경우 기초적인 이해가 부족한 것을 보면서 장애인복지의 다양성과 전문성을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이 책에는 장애인복지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가 필수적으로 인지해야 할 내용을 중심으로 현장에서 전문가로서 역할을 수행할 때 필요한 이론과 실천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이 책을 통하여 대학에서 장애인복지를 배우는 학생은 물론이고, 장애인복지현장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도 필요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기를 바란다. 무엇보다 필자가 희망하는 바는 전문성이 요구되는 장애인복지 분야를 보다 쉽게 입문할 수 있는 입문서가 되기를 바란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CHAPTER 01 장애인복지에 대한 기초적 이해 13

1. 장애의 개념 13
1) 국제기구의 장애개념 13
2. 장애개념의 변화 19
1) 의학적 모델 혹은 개인적 비극모델 19
2) 사회적 모델 20
3. 각국의 장애개념 20
1) 미 국 21
2) 영 국 23
3) 일 본 24
4) 독 일 25
5) 호 주 26
6) 우리나라의 장애개념 28
4. 장애인복지의 개념과 특성 31
1) 장애인복지의 개념 31
2) 장애인복지의 특성 32
3) 장애인복지의 기본 원칙 33

CHAPTER 02 장애인복지의 역사 37

1. 서구의 장애인복지 37
1) 고대의 장애인복지 37
2) 중세의 장애인복지 38
3) 근대의 장애인복지 40
4) 현대의 장애인복지 41
2.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 50
1) 삼국시대의 장애인복지 50
2) 고려시대의 장애인복지 51
3) 조선시대의 장애인복지 52
4) 일제시대 및 미군정기의 장애인복지 53
5) 근세의 장애인복지 55



CHAPTER 03 장애인복지의 관점과 접근모델 67

1. 장애인복지의 관점 67
1) 의료재활 관점 68
2) 심리재활 관점 69
3) 기능주의(역할이론) 관점 70
4) 심리사회적 관점 71
5) 사회학적 관점 72
2. 장애인복지서비스 접근모델 74
1) 강점중심 접근 75
2) 임파워먼트 접근 78

CHAPTER 04 장애유형별 개념 및 특성 83

1. 신체적 장애 84
1) 외부신체의 기능장애 84
2) 내부기관의 장애 101
2. 정신적 장애 107
1) 지적장애인 107
2) 자폐성장애 114
3) 정신장애인 119

CHAPTER 05 장애인과 재활서비스 139

1. 재활의 개념 139
2. 재활의 기초 이론 141
1) 정상화 141
2) 사회통합 143
3) 시민권 운동 144
3. 재활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 147
1) 재활 패러다임 147

CHAPTER 06 재활서비스 분야 153

1. 의료재활 153
1) 개 념 153
2) 대상 및 영역 154
3) 방 법 155
4) 전문종사자 162
2. 교육재활 162
1) 개 념 162
2) 대상 및 내용 164
3) 통합교육 171
4) 특수교육기관 172
5) 순회교육 172
6) 전문종사자 172
3. 직업재활 173
1) 개 념 173
2) 대 상 174
3) 과 정 174
4) 전문종사자 182
4. 사회재활 182
1) 개 념 182
2) 대 상 183
3) 영 역 183
4) 전문종사자 183
5. 심리재활 184
1) 개 념 184
2) 대 상 185
3) 과 정 186
4) 전문종사자 189
6. 재활공학 189
1) 개 념 189
2) 대 상 190
3) 분 야 191
4) 전문종사자 194

CHAPTER 07 생애주기별 서비스 197

1. 생애주기 198
1) 생애주기의 개념 198
2) 생애주기의 중요성 199
3) 장애와 생애주기 199
2. 생애주기별 특징 및 서비스 욕구 200
1) 영유아기(0~6세) 200
2) 학령기(7~18세) 202
3) 성인기(19~59세) 204
4) 노년기(60세 이상) 205
3. 생애주기별 서비스 205
4. 생애주기에 따른 부모 및 가족의 역할 207
1) 영유아기(0~6세) 208
2) 학령기(7~18세) 210
3) 성인기(19~59세) 213
5. 생애주기별 서비스 모델 적용 215

CHAPTER 08 사례관리 219

1. 사례관리의 개념 219
2. 사례관리의 목적 221
3. 사례관리의 특성 222
4. 사례관리의 기능 224
5. 사례관리의 실천원칙 225
6. 사례관리자의 역할 226
7. 사례관리의 구성 228
1) 클라이언트 228
2) 사례관리자 228
3) 사회자원체계 228
4) 과 정 229
8. 사례관리의 과정 229
1) 기관접촉 229
2) 접수(자료수집) 230
3) 사 정 230
4) 목표수립 234
5) 서비스 계획수립 234
6) 계약 및 서비스 실행 238
7) 모니터링 및 평가 240
8) 종결과 결과평가 241
9. 장애인복지시설의 사례관리 방안 242
1) 시설 내적 측면 242
2) 시설 외적 측면 244

CHAPTER 09 장애인과 자립생활 247

1. 자립생활의 개념 247
2. 자립생활의 원리 250
3. 자립생활의 역사 251
1) 미국 자립생활의 역사 251
2) 일본 자립생활의 역사 253
3) 우리나라 자립생활의 역사 254
4. 자립생활의 유형 256
1) 자립생활센터 256
2) 전이자립생활거주센터 257
3) 장기거주센터 258
4) 그룹홈 258
5) 조합형 프로그램 259
6) 활동보조 지원사업 259
5. 자립생활서비스 259
1) 동료상담 260
2) 활동지원서비스 260
3) 교통편의 제공 261
4) 자립생활 기술훈련 261
5) 정보제공과 의뢰 261
6) 권익옹호
7) 주택서비스 263
8) 장비관리, 수리 및 임대 263
6. 자립생활의 현재와 전망 264
1) 우리나라 자립생활 관련 법적 근거 264
2) 우리나라 자립생활 과제와 전망 265

CHAPTER 10 장애인의 인권 269

1. 장애인 인권 269
1) 장애인의 인권과 차별 270
2)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272
2. 장애인권리협약 274
3. 장애인차별금지법 277
4. 발달장애인법 279
5. 장애인의 인권에 관한 주요 쟁점 280
1) 접근권과 이동권 280
2) 학습권 281
3) 여성장애인의 인권 281
4) 정신장애인의 인권 282
5) 지적장애인의 인권 283
6) 시설장애인의 인권 284
6. 장애인 인권 상담 사례 284

CHAPTER 11 장애와 사회서비스 291

1. 사회서비스의 개념 291
2. 사회서비스의 내용 293
1) 장애인활동지원제도 297
2) 전자바우처 사업 304
3. 사회서비스의 성과와 과제 307

■ 참고문헌 309

■ 찾아보기 314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