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평가와 개별인정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평가와 개별인정
저자 : 김옥진|김성연|신유림|유강열|이영은
출판사 : 문운당
출판년 : 2014
ISBN : 9791185224633

책소개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평가와 개별인정』은 총 29장으로 구성하여, 건강기능식품의 개요부터 기능성 입증 및 안전성 확보 중요성, 기능성 종류와 바이오마커,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인정에 필요한 실험항목 및 종류,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증을 위한 전략과 실제 등을 살펴본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한 식품이라 정의할 수 있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경우 건강기능식품이 국민건강증진과 만성퇴행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밝혀지면서 국가차원에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기능성 신소재·신물질 연구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한국 또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가진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새로운 기능성을 가진 건강기능식품의 개발은 식품산업에서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대안이라 할 수 있다. 천연생물자원은 추출물 개발을 통하여 10배, 기능성 효능 입증에 의한 건강기능식품 개발을 통하여 수십∼수백 배, 천연물신약 개발을 통하여 수십만∼수백만 배의 부가가치 상승이 일어날 수 있다. 새로운 기능성을 가진 건강기능식품의 개발은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의 개발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기능성 생리활성을 규명할 수 있는 효능평가이다.
현재,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평가학습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교재가 극히 제한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현 상황에서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이해 교육에 적합한 교재를 개발하고자 저자들은 부족한 자료이지만 건강기능식품의 기초지식과 건강기능식품 개발 과정에 가장 중요한 기능성 평가에 대한 내용을 담아 학습교재를 만들고자 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Chapter 1 건강기능식품의 개요
Chapter 2 기능성 입증 및 안전성 확보 중요성
Chapter 3 기능성 종류와 바이오마커
Chapter 4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인정에 필요한 실험항목 및 종류
Chapter 5 '체지방 감소에 도움' 소재의 기능성 시험방법 및 인정기준
Chapter 6 '뼈 관절 건강에 도움'소재의 기능성 시험방법 및 안정기준
Chapter 7 '높은 혈압 감소에 도움' 소재의 기능성 시험방법 및 안정기준
Chapter 8 '혈당 감소에 도움' 소재의 기능성 시험방법 및 인정기준
Chapter 9 '항산화' 소재의 기능성 시험방법 및 인정기준
Chapter 10 '면역기능 개선'소재의 기능성 시험 방법 및 인정기준
Chapter 11 '기억력 및 인지능력 향상'기능성 평가방법 및 인정기준
Chapter 12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도움' 소재의 기능성 시험방법 및 인정기준
Chapter 13 '혈행 가선에 도움' 소재의 기능성 시험방법 및 인정기준
Chapter 14 '장 건강, 위 건강, 소화기능 개선' 기능성 시험방법 및 인정기준
Chapter 15 '성기능 향상에 도움' 소재의 기능성 시험바법 및 인정기준
Chapter 16 '간 건강' 기능성 시험방법 및 인정기준
Chapter 17 '눈 건강' 기능성 시험방법 및 인정기준
Chapter 18 '갱년기 여성 건강' 기능성 시험방법 및 인정기준
Chapter 19 '치아건강' 기능성 평가방법 및 인정기준
Chapter 20 '피부건강' 기능성 시험방법
Chapter 21 '요로건강' 기능성 시험방법
Chapter 22 '피로개선' 기능성 시험방법 및 인정기준
Chapter 23 '배뇨기능기개선' 기능성 평가 방법 및 인정기준
Chapter 24 '전립선 건강' 기능성 평가 및 인정기준
Chapter 25 '혈중 콜레스테놀 감소' 및 '혈중 중성지방 개선' 기능성 시험방법 및 인정기준
Chapter 26 건강기능식품소재의 안전성 평가 항목과 시험법
Chapter 27 기능성 식품 임상시험의 정의와 원칙
Chapter 28 기능성 평가를 위한 임상시험의 과학적 설계
Chapter 29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증을 위한 전략과 실제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