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 근대종교란 무엇인가?
한국 근대종교란 무엇인가?
저자 : 장석만
출판사 : 모시는사람들
출판년 : 2017
ISBN : 9791186502853

책소개


한국근대종교총서(기독교, 불교, 유교, 신종교, 총론) 중 총론편으로, 한국 근대종교의 탄생에 대해 살펴보았다.

목차


Ⅰ. 서론
1. 수원지라는 비유
2. 문제의식과 내용의 윤곽
Ⅱ. ‘렐리기오’와 그 개념 연구사
1. ‘렐리기오(religio)’의 어원과 서구 역사에서 그 의미의 전개
2. 서구의 ‘릴리지온’ 개념 연구사
Ⅲ. 교(敎)의 패러다임에서 종교(宗敎)의 패러다임으로의 전환과 그 배경
1. 일본에서 ‘종교’ 개념의 의미와 그 성립의 역사
2. 중국에서 ‘종교’ 개념의 의미와 그 성립의 역사
Ⅳ. 종교로서의 정체성
1. 한국에서 종교 개념의 정착 과정
2. 한국에서 종교 개념 연구사
3. 교와 종교의 차이성
Ⅴ. 세속 개념의 연구 동향 검토
1. 세속의 연구에서 탈랄 아사드의 중요성
2. 종교-세속 구분에 관한 논쟁
3. 논쟁의 평가
Ⅵ. 한국에서 종교와 세속의 구분선 설정과 그 모호성
1. ‘이(異)’의 영역과 종교-세속의 구분
2. 한국의 전(前)근대 문헌 자료에 나타난 세속이라는 용어
3. 근대성 형성과 종교-세속의 구분
Ⅶ. 초기 개신교 신자의 개종이 지닌 성격
1. 단절의 수사학
2. 지식인의 옥중 개종
3. 1907년 대부흥 운동의 개종
Ⅷ. 동학에서 천도교로의 변화
1. ‘동(東)’의 의미 변화
2. 천도교의 등장
Ⅸ. 불교로의 변신: 1910-1920년대의 전환
1. 문제를 보는 관점
2. 유럽의 부디즘 ‘발견’
3. 한국의 불교 ‘발견’: 조선 시대의 불교
4. 근대적 종교 개념에서의 불교
Ⅹ. 기준점으로서의 3·1운동: 3·1운동 전후의 종교
1. 1919년 3·1운동 이전의 종교
2. 1919년 3·1운동과 종교의 위치
3. 호명(呼名) 체계로서의 종교: 종교적 주체의 등장
4. 종교와 민족의 융합
XI. 문명과 문화의 판도, 그리고 종교 개념과의 연관성
1. 문제 제기
2. 문명과 종교의 연관성
3. 문화 개념 등장과 그 성격
4. 문화-종교 개념의 연관성
XII. 조선총독부의 문화통치와 종교 연구의 의미
1. 문화통치와 종교: 3·1운동 이후-1937년
2. 종교를 연구한다는 것의 의미
XIII. 1937년 백백교(白白敎) 사건의 의미: 유사종교의 모델과 그 정당화
1. 2011년의 일화(逸話)와 1987년의 오대양(五大洋) 사건
2. 백백교의 호출
3. 1937년의 백백교와 그 연대기
4. 백백교의 사건의 의미
5. 종교인의 반응: 어느 기독교인의 관점
XIV. 결론: 종교전통의 정체성 수립 노력은 어떻게 정착되었는가?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