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근대 시민의 형성과 대한민국
근대 시민의 형성과 대한민국
저자 : 이승렬
출판사 : 그물
출판년 : 2021
ISBN : 9791186504147

책소개


“진정한 탐험은 새로운 풍경을 찾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눈으로 여행하는 것”이라는 마르셀 프루스트의 명언에 따르면, ‘진정한 역사 탐험은 새로운 눈을 가질 때 가능할 것’이다. 이 책은 식민주의와 민족주의라는 풍경을 넘어서서 자유주의와 의회주의라는 ‘눈’을 통해 한국근대사를 재조명했다.

목차


책머리에 붙여 · 005

서 론 · 021

제1부 개항과 지주 · 031

제1장 조슈의 사무라이 이토 히로부미와 호남의 양반 김성수 · 033
1. 런던의 일본인 관비(官費) 유학생들 · 033
2. 도쿄의 한국인 사비(私費) 유학생들 · 040

제2장 대한제국의 소멸과 국민 형성 · 047
1. 개화파의 시간(1876-1895) · 047
2. 경화사족의 해체 · 068
3. 1907년: 신민의 대두 · 095
1) 기독교 선교와 고종 · 097
2) 독립협회와 대한제국 · 100
3) 상동교회와 상동파 · 110
4) 고종의 강제 양위와 국민의 각성 · 118

제3장 근대 이행 경로들과 한국 · 130
1. 대분기와 동아시아 3국 · 130
2. 동아시아 4국의 분기와 지주 · 142
1) 농업 관료제: 중국과 조선 · 142
2) 새로운 변동 요인들 · 154

제4장 단선적 발전사관들의 적대적 공생관계 · 165
1. 민족사학 · 165
2. 식민지근대화론 · 203

제2부: 제1차 세계대전과 시민적 민족주의 · 215

제5장 해체되는 제국의 시대: 세력균형에서 집단안보로 · 217
1. 발원지 미국 · 217
2. 갈등하는 일본 · 239

제6장 시민적 네트워크와 3·1운동 · 267
1. 도시의 활기 · 267
2. 수하정 3번지 · 287
3. 탈유교와 민족대표 33인 · 296
1) 천도교 15인: 일원적 위계적 관계 · 302
2) 기독교 16인: 다원적 병렬적 관계 · 312
4. 한국에서의 시민: 한·중·일 비교사적 검토 · 342

제3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식민주의 · 365

제7장 식민통치와 외교 · 367
1. 미국과 무단적 제국주의 · 367
1) 한국인과 윌슨 대통령 · 367
2) 일본 자유주의자의 조선자치론 · 381
2. 중추원: 작은 변화의 사례 · 392
1) 신설된 지방 참의와 재지세력 · 392
2) ‘상상된’ 조선의회 · 406

제8장 식민통치와 전쟁 · 412
1. 정당과 군부의 갈등 · 412
2. 조선공업화 대 만주공업화 · 427
3. 온건파의 좌절 · 438

제4부: 지주와 의회, 그리고 분단 · 443

제9장 개항과 지주 · 445
1. 개혁주의 세대의 등장 · 445
1) 김성수와 그의 친구들 · 445
2) 서울·경기의 관료적 지주 대 호남의 진취적 지주 · 471
2. 점진과 온건 · 489
1) 북촌의 [동아일보] 그룹 · 489
2) 타협과 비타협의 경계 · 505
3) 민족주의자들의 차이 · 533

제10장 ‘집단안보’의 국제질서와 분열된 민족주의 · 559
1. 실패한 1차 통합 · 559
1) 루스벨트 대통령의 신탁통치 구상 · 559
2) 남한의 민주파 · 573
3) ‘1948년 질서’ · 599
2. 분단국가와 2차 통합 · 615
1) 통합의 길, 농지개혁 · 615
2) 독재와 반독재 · 629

결 론 · 657
1. 두 개의 정의(正義) · 659
2. 한국에서의 민주주의 경로 · 663
3. 개혁과 점진주의 · 676

참고문헌 · 679

미주 · 725

찾아보기 · 801

〈표와 지도 차례〉
〈표 1〉 중국과 유럽 여러 국가의 1인당 세수
비교(단위: 銀의 grams) · 136
〈표 2〉 중국과 유럽 여러 국가의 총세수(단위: 銀의 tons) · 136
〈표 3〉 중국·영국·프랑스의 연간 1인당
과세액(단위: 銀의 grams) · 139
〈표 4〉 조선과 중국의 국가 능력 비교 · 147
〈표 5〉 미국 하원의원 선거 추이 · 227
〈표 6〉 미국 상원의원 선거 추이 · 227
〈표 7〉 1920,30년대 일본의 총선 및 정당 추이 · 251
〈표 8〉 3·1운동 17인 출신 지역과 경력 · 294
〈표 9〉 3·1운동 33인 출신지역 및 경력 · 363
〈표 10〉 세도정권과 외척의 관계 · 458
〈지도 1〉 3·1운동 제1주 현황 · 344
〈지도 2〉 3·1운동의 확산 · 345
〈지도 3〉 3·1운동 제5주 현황 · 346
〈지도 4〉 3·1운동의 절정 · 347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