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한국 근현대 장시사의 변전과 위상
저자 : 김성조
출판사 : 국학자료원
출판년 : 2018
ISBN : 9791188499731
책소개
장시의 출발시점인 1920년대 장시로부터 가장 활달하게 장시창작이 이뤄지고 있던 80년대까지의 장시는 한국 장시의 중심을 뒷받침하고 있다. 장시 자체가 사회 역사적 현실과 긴밀한 연계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이 시기의 장시들은 당대 집단적 담론의 현장이나 민중적 열망들을 응집하고 있다. 따라서 시인의 시적의도와 창작의지가 보다 강렬하게 표상되어 있다. 192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장시는 한국 장시의 전체적인 맥락을 짚어볼 수 있는 긴 역사성을 안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한국 장시의 전체적인 맥락과 함께 각 시기의 장시들을 동시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한다는데 그 의미를 둘 수 있다. 분석 텍스트로 선택한 장시들은 한국 장시를 대표한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시인의 개성과 함께 각 시기의 특성이 잘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염두에 두고 무엇보다 각 시인들의 작품을 깊이 있게 읽고 분석하는 것에 주력하고자 했다.
목차
책머리에
│제Ⅰ부│ 한국 근현대 장시의 특성과 변전 |15
제1장 서론 |17
1. 장시의 특성과 창작배경 |17
2. 장시의 태동과 그 성립 |23
3. 연구범위와 방향성의 설정 |27
제2장 장시의 개념과 시대성 |33
1. 장시의 개념 |33
2. 시대적 배경과의 상호조건 |43
│제Ⅱ부│ 근대장시의 시적지형과 지속성 |47
|유 엽|제1장 식민공간의 실험적 창작배경과 시적인식(1920~1930) |49
제2장 『소녀의 죽음』의 의미배경과 극적 현실대응 |55
1. 가능성의 탐색과 첫 출발의 의의 |55
2. 시간적 배경과 사건의 암시 |60
3. 공간상징과 ‘전보’의 모순성 |65
4. ‘겨울’의 상징성과 현실대응으로서의 ‘죽음’ |71
|김동환|
제3장 『국경의 밤』의 공간상징과 ‘시간’의 역사성 |79
1. 서사지향과 ‘연애관’의 시적수용 |79
2. ‘국경’의 공간상징과 시간적 배경 |84
3. 세계와의 대립과 갈등의 심화 |91
4. 식민지 현실의 극적재현과 민족의식 |96
|김기림|
제4장 『기상도』의 세계인식의 지형과 극복기제 |105
1. 모더니즘의 수용과 장시의 ‘영분’ |105
2. 세계인식의 두 구도와 ‘태풍’의 발현 |109
3. 태풍의 기습과 문명붕괴의 실제 |116
4. 자아해체의 시간과 ‘폭풍경보해제’의 필연성 |122
제Ⅲ부 현대 장시로의 전환과 확장성 |131
|김상훈|제1장 해방기와 전쟁기의 시적현실과 저항의식(1940~1950) |133
『가족』의 기존체제의 모순성과 투쟁적 대응의식 |139
1. 해방기의 시적인식과 ‘가족’의 탄생 |139
2. 대립적 세계인식과 갈등양상 |143
3. 인물구성의 기능과 그 성격 |148
4. 능동적 ‘여성’의 위치와 투쟁정신 |154
|김종문|
『불안한 토요일』의 전쟁기 시적대응과 불안의식 |163
1. 1950년대와 ‘불안’ |163
2. 생명지향의 ‘행렬’과 죽음의식 |166
3. 존재의 부정과 상처의 재현 |172
4. 자아해체와 미래부재의 공간 |179
|김용호|
『남해찬가』의 역사적 현재성과 민족정신의 구현 |187
1. 민족적 수난기와 극복의지 |187
2. 서사적 배경과 영웅의 시적 수용 |191
3. ‘모해(謀害)’의 대립과 ‘열두 척’의 승전고 |198
4. 연민의식의 발현과 민족정신의 구현 |204
|전봉건|제2장 치유와 극복 그리고 현실변혁의 열망(1960~1970) |213
『춘향연가』의 상흔의 내면화와 극복의 논리 |219
1. 장시의 선택과 미학적 기법 |219
2. 현실과 상상의 공간대비와 갈등요소 |223
3. 에로스적 생명성과 꿈의 소멸 |229
4. 극복의지의 발현과 허무적 ‘피’의 연속 |235
|신동엽|
『금강』의 서술적 주체의 욕망과 시대담론의 형성 |243
1. 현실의 비판적 수용과 시적 성향 |243
2. ‘큰 역사’의 배경과 주체의 성격 |246
3. 억압적 갈등요소와 욕망의 분출 |252
4. 혁명의 좌절과 시대담론의 배경 |257
|김구용|
『구곡』의 역설적 현실인식과 자아정립의 세계 |265
1. 장시의 선택과 난해성의 세계 |265
2. 상처의 환기와 죽음의식 |268
3. 문명의 부조화와 파편화된 자아 |274
4. ‘내일’의 암시와 자아정립의 세계 |279
|신경림|제3장 민중의식의 발현과 미래지향적 가치구현(1980) |287
『남한강』의 민중적 삶의 역동성과 공동체적 대응의식 |293
1. ‘얘기’와 ‘노래’의 시적 배경 |293
2. ‘십년 전’의 연속성과 역설적 ‘흥’의 세계 |297
3. ‘우리’의 인물구조와 사건의 반전 |303
4. 극적상황과 공동체적 대응의식 |309
|송수권|
『새야새야파랑새야』의 혁명정신의 실제와 미래지향적 가치관 |319
1. ‘신(神)’과 ‘새벽’의 의미배경 |319
2. 서사적 갈등과 행위실천의 동력 |324
3. 혁명정신의 극대화와 좌절의 순간 |332
4. 역사의 연속성과 미래구현의 암시 |336
|고정희|
『저 무덤 위에 푸른 잔디』의 ‘어머니’ 이미지와 대동정신의 발현 |343
1. ‘극복’과 ‘비전’의 시정신 |343
2. 현실적 수난자로서의 ‘어머니’ |349
3. 역사적 수난자로서의 ‘어머니’ |356
4. ‘해방’의 동력과 대동정신의 발현 |361
제Ⅳ부 장시의 시문학적 위상 |369
제Ⅴ부 결론 |379
참고문헌 |387
찾아보기 |399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