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나 아렌트, 교육의 위기를 말하다 (학습중심의 시대, 가르침의 의미는 무엇인가?, 2021 세종도서 학술부문)
한나 아렌트, 교육의 위기를 말하다 (학습중심의 시대, 가르침의 의미는 무엇인가?, 2021 세종도서 학술부문)
저자 : 박은주
출판사 : 빈빈책방
출판년 : 2021
ISBN : 9791190105149

책소개

학생중심, 학습중심 교육이 시대적 흐름이 된 지금, ‘교사의 가르침’이 갖는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그리고 진지하게’ 고찰한다. 한나 아렌트가 철학적 인간학의 관점에서 저술한 『인간의 조건』(1958)과 「교육의 위기」(1954)를 기반으로, 교육이라는 활동의 ‘정체’를 인간적 삶의 조건이라는, 시대를 관통하는 거시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진단한다. 그리하여 ‘왜 지금 가르침인가’라는 질문의 답을 찾는다.
한나 아렌트는 보수, 진보와 같은 이론적 프레임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우리가 물어야 할 질문은 ‘교육이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라고 진단한다. 아렌트의 “교육의 본질은 탄생성에 있다”라는 선언과 “교육은 반드시 가르침과 동시에 이루어진다”라는 주장을 바탕으로, 가르침이 갖는 의미에 관한 저자의 학문적 고민과 그것에 대한 나름의 대안을 정리했다. 저마다 고유한 탄생적 존재들이 자신만의 시작을 오롯이 이루며 함께 자랄 수 있는 교육환경이 형성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학생중심, 학습중심 교육이 시대적 흐름이 된 지금, ‘교사의 가르침’이 갖는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그리고 진지하게’ 고찰한다. 한나 아렌트가 철학적 인간학의 관점에서 저술한 『인간의 조건』(1958)과 「교육의 위기」(1954)를 기반으로, 교육이라는 활동의 ‘정체’를 인간적 삶의 조건이라는, 시대를 관통하는 거시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진단한다. 그리하여 ‘왜 지금 가르침인가’라는 질문의 답을 찾는다.

한나 아렌트는 보수, 진보와 같은 이론적 프레임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우리가 물어야 할 질문은 ‘교육이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라고 진단한다. 아렌트의 “교육의 본질은 탄생성에 있다”라는 선언과 “교육은 반드시 가르침과 동시에 이루어진다”라는 주장을 바탕으로, 가르침이 갖는 의미에 관한 저자의 학문적 고민과 그것에 대한 나름의 대안을 정리했다. 저마다 고유한 탄생적 존재들이 자신만의 시작을 오롯이 이루며 함께 자랄 수 있는 교육환경이 형성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추천사
서문

Ⅰ. 들어가는 글

Ⅱ. 포스트모던 시대, 가르치는 일의 어려움
1. ‘새로운 아이들’의 등장 : 자아관의 변천
2. 세계관의 변천
3. 자아와 세계, 무너뜨려야 할 정초인가?

Ⅲ. 한나 아렌트의 자아와 세계개념
1. 탄생성: 자아에 관한 이야기
2. 세계성: 세계에 대한 이야기

Ⅳ. 자아와 세계의 세 가지 관련 방식
1. 노동 : 무세계성
2. 제작 : 사물(결과물) 만들기
3. 행위 : 세계 속에 출현하기

Ⅴ. 한나 아렌트와 「교육의 위기」
1. 「교육의 위기」의 시대적 배경
2. 인간존재의 두 가지 차원과 어른 세대의 두 책임
3. 매개영역으로서의 학교

VI. 행위로서의 가르침
1. 탄생성과 세계성의 매개활동
2. 사적영역과 공적영역의 매개활동

Ⅶ. 가르치기 힘든 시대, 가르침의 회복을 열망하며
1. 가르침 : 교육적 관계의 회복
2. 학습의 ‘내재성’, 가르침의 ‘초월성’
3. ‘고립된 자아’에서 ‘연결된 존재’를 향하여

주석
참고문헌
내용색인
인명색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