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도심재생의 미래 (사회적 자본에 답을 묻는다)
도심재생의 미래 (사회적 자본에 답을 묻는다)
저자 : 이권희
출판사 : 한티재
출판년 : 2021
ISBN : 9791190178594

책소개

공동체 회복과 사회적 자본을 바탕으로 그리는
도심재생의 미래

세계의 많은 도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도심재생’ 사업이 국내 곳곳에서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갖가지 갈등과 딜레마가 반복되면서, 도심재생은 과연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돌아보게 만들고 있다. 『도심재생의 미래』는 이십여 년간 도심재생 연구자로서, 또 현장의 전문 컨설턴트로서 연구하고 경험했던 저자가 제안하는 도심재생 딜레마 극복을 위한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자신이 직접 제안하고 참여했던 대구의 도심재생 프로젝트에 대한 실증 분석과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도심재생 과정에서 ‘공동체 복원’과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도심재생에 대한 인식을 바꿔야 한다고 말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2021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공동체 회복과 사회적 자본을 바탕으로 그리는

도심재생의 미래



세계의 많은 도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도심재생’ 사업이 국내 곳곳에서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갖가지 갈등과 딜레마가 반복되면서, 도심재생은 과연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돌아보게 만들고 있다. 『도심재생의 미래』는 이십여 년간 도심재생 연구자로서, 또 현장의 전문 컨설턴트로서 연구하고 경험했던 저자가 제안하는 도심재생 딜레마 극복을 위한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자신이 직접 제안하고 참여했던 대구의 도심재생 프로젝트에 대한 실증 분석과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도심재생 과정에서 ‘공동체 복원’과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도심재생에 대한 인식을 바꿔야 한다고 말한다.



반복되는 도심재생의 딜레마



주민의 이탈, 재정착 실패 등 도심재생 과정에서 나타나는 딜레마는 전국 곳곳에서 반복되고 있다. 그러나 그 극복 방안을 현실과는 다른 곳에서 찾다 보니, 늘 엇비슷한 처방만 내놓는 정책의 실패가 따른다. 공공, 민간, 지주, 주민 간에 나타나는 갈등의 본질이 무엇인지 제대로 들여다보지 않고, 매끈한 고급 빌딩으로 바뀌는 도심의 모습을 도심재생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많다.

저자는 건강한 도시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한 열쇠가 도심 공동화 해소에 있는데도, 지역 환경과 결부되지 못한 채 ‘무늬’만 도심재생인 사업이 반복되는 현실을 성찰할 때라고 말한다. 그리고 도심재생이라는 이름 아래 빚어지고 있는 갈등을 해소하는 방안으로 ‘사회적 자본’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 책에서 저자는 도심재생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용어들을 몇 가지로 압축하여 짚고, 사회적 자본의 쇠퇴와 형성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도심재생의 국내외 사례들, 과거와 현재의 사례, 그리고 진행 중인 예들을 소개함으로써 비교 분석해 학습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도심재생 프로젝트를 직간접적으로 겪은 시민들에 대해 실행한 수년간의 면접조사와 설문조사를 분석하여, 거주민들의 심리적 변화 과정이 도심재생의 딜레마를 푸는 데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된다는 것을 밝힌다. 도심재생에서 가장 큰 부담은 결과물의 효율성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을 제고하는 방법도 상세히 다룬다.



도심재생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현장에서 나온 포괄적이고 풍부한 자료를 질적·양적 측면으로 수렴한 분석 결과는, 도심재생의 결과물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리 해석되며 공여와 수요 주체에 따라 도심재생을 대하는 인식의 차이가 확연하다는 것을 뚜렷이 드러낸다. 저자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심재생의 딜레마가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복잡하게 나타난다고 말한다. 그렇기에 도심재생이 애초에 추구하고자 했던 가치가 무엇인지를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하며, 도심재생의 패러다임을 바꾸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저자는 도시문제 해소의 궁극적 지향점은 공동체 회복에 있다고 말한다. 그 방법론으로 ‘제3의 자본’으로 불리는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주목하고 이에 대한 이론을 소개하면서, 자신이 참여했던 대구의 도심재생 프로젝트를 평가하고 분석한 결과를 가감 없이 실어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되도록 하였다. 이 책에 실린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대한 측정 결과와 분석 사례는 십여 년에 걸친 기초 조사를 토대로 한 최초의 실증 분석으로서, 도심재생과 사회적 자본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 새로운 시각과 아이디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도심재생 관련 정책 입안자나 현장 실무자, 전공 학생들에게도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을 펴내며

프롤로그



제1부 왜 도심 공동체는 해체되는가



1장 역사?문화 자산을 바라보는 다른 시선

역사?문화 콘텐츠의 개념과 활용 | 역사?문화 자산에 대한 세 가지 인식



2장 도심재생과 역사?문화 콘텐츠

도심재생의 개념 | 도심재생의 방향 | 모로코 페즈의 미로 마을 | 통영 동피랑의 벽화 마을 | 대구 김광석길 | 부산 감천문화마을 | 수원 행궁동 마을 | 베이징 스차하이 | 대구 계산동



3장 도심재생의 문제와 도전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에 대한 인식 변화 | 도심재생 패러다임의 변화



제2부 누가 역사?문화 콘텐츠를 재구성하는가



4장 인식 변화의 차원

기초 조사 : 길을 묻다 | 스토리텔링 : 이야기를 듣다 | 자료 수집: 이야기를 묶다 | 주민 인식 변화에 대한 시론적 분석



5장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 방식의 차원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 사례 분석의 틀 |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 사례 분석 결과



제3부 역사?문화 콘텐츠, 어떻게 협력의 콘텐츠가 되는가



6장 사회적 자본의 역할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역사?문화 콘텐츠의 활용 | 도심재생의 딜레마 상황 | 도심재생과 사회적 자본의 연계 | 사회적 자본의 측정 경험



7장 기능적 공동체의 형성

역사?문화 콘텐츠의 활용과 기능적 공동체 | 도심재생과 기능적 공동체 | 기능적 공동체 형성의 측정 경험



8장 협력적 행동의 기초

역사?문화 콘텐츠와 협력적 행동 | 도심재생과 협력적 행동 | 협력적 행동의 측정 경험



제4부 도심재생, 어디로 가는가



9장 도심재생의 과거와 미래

방치된 담배공장 터의 미래 | 다크투어리즘에 대한 단상 | 도심 동물원의 불편한 진실 | 재래시장 진흙 골목길의 변신, 타이캉루 문화거리 | 방직공장 건물에 들어선 상하이 M5예술촌 | 버려진 군수공장과 다산즈 예술구 | 고량주 냄새가 사라진 자리, 지우창 예술촌 | 사회적 자본 형성과 협력적 행동의 과제



에필로그

참고 문헌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