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문학에 빠져 죽지 않기 (로쟈의 문학 읽기 2012-2020)
문학에 빠져 죽지 않기 (로쟈의 문학 읽기 2012-2020)
저자 : 이현우
출판사 : 교유서가
출판년 : 2020
ISBN : 9791190277297

책소개


러시아·영미문학에서 한국문학까지
문학의 바다에 빠져 지낸 탐독가
로쟈의 세계문학 강의 비밀장부를 엿보다!

“문학에 처음 눈을 뜨고 책의 세계로 뛰어들던 무렵에 느낀
경탄과 흥분을 나는 아직 잃지 않고 있다.”

세계문학 읽기의 충실한 안내자


읽고 쓰고 강연하기. 이 책 저자의 삶은 이 세 가지밖에 없을 것이다. 이 책은 ‘이현우’라는 본명보다는 인터넷 서평꾼 ‘로쟈’로 더 유명한 저자의 세계문학 서평집이다. 저자는 수많은 인문서와 문학 작품을 읽고 해설을 쓰며, 더러 의심쩍을 때는 원서와 국내의 여러 번역본을 비교해서 비평하고, 직접 번역도 하지만, 그는 러시아문학 전공자이자 도스토옙스키 『죄와 벌』의 주인공 라스콜리니코프의 애칭인 ‘로쟈’를 별명으로 삼았다는 데서 보이듯, 고전을 비롯해 최근 작품들까지도 열심히 찾아 읽고 연구하는 세계문학 전문가이다. 저자는 책머리에서 ‘40년 전 문학을 처음 접했을 때 느꼈던 경탄과 흥분’을 지금까지도 간직하고 있다고 고백했는데, 이번 책에서도 문학 작품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과 성실한 자세는 저자 특유의 문장을 통해 여실히 느낄 수 있다.

이 책은 2012년부터 2020년 2월까지 8년간 쓴 칼럼과 해설을 선별하여 묶은 것이다. 세계문학 서평집으로 보자면, 2012년에 나온 『로쟈의 세계문학 다시 읽기』 후속편이고, 서평집으로 보면 2017년에 나온 『책에 빠져 죽지 않기』의 후속편인 셈이다.

“나는 문학이 인간의 외로움을 달래길 바라지만, 그 무엇도 인간의 외로움을 달랠 수 없다. 문학은 이 사실에 대해서 거짓말하지 않는다. 바로 그 때문에 문학은 필요하다.” 그런 문학이 없다면, 우리는 더 외로울 것이다. _19쪽

목차


책머리에

1. 문학이 필요한 시간

『문학은 어떻게 내 삶을 구했는가』 _문학이 필요한 이유 | 『소설과 소설가』 _소박한 소설가와 성찰적 소설가 | 『나는 어떻게 번역가가 되었는가?』 _세계문학에도 공용어가 있는가 | 『페스트』 『눈먼 자들의 도시』 『새로운 인생』 _새로운 인생은 어떻게 시작되는가

2. 셰익스피어 패러다임

『오이디푸스 왕』 _오만이 부른 파멸 | 『로미오와 줄리엣』 _다시 읽는 셰익스피어 | 『베니스의 상인』 _베니스의 상인이 던지는 질문 | 『햄릿』 _현재진행형 셰익스피어 패러다임 | 『노생거 사원』 _작가 오스틴의 소설 예찬 | 『폭풍의 언덕』 _히스클리프, 사람 말을 끝까지 들어야지! | 『위대한 유산』 _주머니에서 손을 빼고 살아남기 | 『성난 군중으로부터 멀리』 _토머스 하디가 일러주는 사랑의 교훈

3. 거기 그녀가 와 있었다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의 기이한 사례』 _인간의 이중성과 남성 중심 사회의 이중성 | 『더블린 사람들』 _나는 어딘가에 묶인 짐승은 아닌가 | 『젊은 예술가의 초상』 _예술가의 영혼 ‘대장간’을 엿보다 | 『댈러웨이 부인』 _거기 그녀가 와 있었다 | 『1984』 _무산계급이 잊고 있는 말 | 『바다』 _노동계급 출신의 자기 상실 | 『속죄』 _모더니즘으로 리얼리즘 구현하기 | 『칠드런 액트』 _판사는 삶을 어디까지 인도할 수 있는가 | 『넛셸』 _태어나느냐 마느냐, 햄릿적인 태아의 고민 |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_파괴적 시간에 맞서는 인간적 책임 | 『파묻힌 거인』 _노부부의 사랑을 유지시킨 망각의 힘

4. 바틀비라는 우화

『필경사 바틀비』 _‘바틀비’라는 자본주의 우화 | 『벤허』 _사랑의 전제 조건으로서 복수 | 『위대한 개츠비』 _위대한 건 개츠비의 환상 | 『위대한 개츠비』 _첫사랑에게 되돌려진 피츠제럴드의 편지 | 『내가 죽어 누워 있을 때』 _포크너의 미국 남부 가난한 집안 얘기 |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_헤밍웨이의 미국 대공황 사회소설 | 『노인과 바다』 _노인과 청새치의 존재 증명 투쟁 | 『분노의 포도』 _굶주린 남자에게 물린 젖의 의미 | 『세일즈맨의 죽음』 _‘아메리칸드림의 죽음’ 혹은 ‘아버지의 죽음’ | 『파수꾼』 _『앵무새 죽이기』의 뒷이야기 | 『모두 다 예쁜 말들』 _1940년대 말 미국 목장소년의 성장기 | 『포트노이의 불평』 _필립 로스 문학의 탄생 | 『나는 공산주의자와 결혼했다』 _배신의 쾌감이 금지를 대신한 시대 | 『에브리맨』 _보통 사람의 보편적 운명 | 『제로 K』 _ 어떻게 죽을 것인가

5. 두 천치의 지적 편력

『적과 흑』 _근대 소설의 새로운 출발점 | 『고리오 영감』 _라스티냐크와 라스콜니코프라는 갈림길 | 『부바르와 페퀴셰』 _‘두 천치’의 무용한 지적 여행 | 『사포』 _시적 진실과 산문적 진실 | 『비곗덩어리』 _목걸이의 진실과 자본주의 | 『좁은 문』 _제롬과 알리사의 사랑을 막은 것 | 『장 크리스토프』 _로맹 롤랑의 대하소설 | 『야간비행』 _생텍쥐베리의 비행문학 | 『어린 왕자』 _한때 어린이였던 어른을 위하여 | 『이방인』 _알베르 카뮈가 남긴 것 | 『페스트』 _카뮈의 인간에 대한 ‘야심’ | 『전락』 _고해하는 재판관 클라망스의 회한 | 『그리스인 조르바』 _‘그리스인 조르바’는 럼주의 향을 풍긴다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_가벼운 삶이냐 무거운 삶이냐 | 『센트럴 파크』 _기욤 뮈소의 치유 서사

6. 우린 어떤 베르테르를 읽어왔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_우린 어떤 베르테르를 읽어왔나 | 『이탈리아 기행』 _이탈리아 여행에서 찾은 위대한 것 | 『말테의 수기』 _말테는 왜, 무엇을 바로 보고자 했나 | 『베네치아에서의 죽음』 _휴양지에서 만난 아름다운 소년 | 『크눌프』 _고향을 떠나 새 고향을 찾는 방랑자 | 『데미안』 _『데미안』을 읽는 불편함 | 『카프카』 _카프카를 찾아서 | 『소송』 _인간이란 사실이 죄가 될 수 있는가 |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_폐허 속 희망을 본 하인리히 뵐 | 『공중전과 문학』 _전쟁의 폭력에 대한 문학의 책임

7. 역사적 진실과 문학적 진실

『대위의 딸』 _역사를 보충하는 문학적 진실 | 『타라스 불바』 _러시아 전사 집단 카자크의 영웅서사시 | 『루진』 _러시아 잉여인간의 초상 | 『가난한 사람들』 _도스토옙스키의 초기 소설들 | 『백치』 _도스토옙스키와 백치 | 『전쟁과 평화』 _비로소 읽을 수 있게 된 『전쟁과 평화』 | 『전쟁과 평화』 _톨스토이의 역사철학 | 『안나 카레니나』 _가장 위대한 사회소설이 말해주는 것 | 『크로이체르 소나타』 _결혼이란 속임수의 파국적 결말 | 『인형의 집』 _노라는 왜 지금도 무대에 오르는가

8. 사회주의적 영혼은 어디에 있는가

『벚꽃동산』 _과도기 러시아 사회 지배계급의 교체 | 『코틀로반』 _사회주의적 영혼은 어디에 있는가 | 『체벤구르』 _공산주의 마을을 누가 파괴했을까 |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 _이젠 가볼 수 없는 구소련의 하루 | 『어둠 속의 웃음소리』 _동정보다는 조롱의 대상이 된 파멸 | 『롤리타』 _시적 에로티시즘과 심미적 희열의 세계 | 『백년의 고독』 _혁명이 사라진 자리엔 깊은 고독만이 | 『새엄마 찬양』 _“오르가슴이 뭐예요, 아빠?” | 『한밤의 아이들』 _독재권력에 절제당한 신생 인도의 가능성 | 『세컨드핸드 타임』 _세컨드핸드시대의 백과사전 |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_“나는 러시아혁명 100년의 증인이고자 했다”

9.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_나쓰메 소세키 문학의 여정 | 『문』 _문 앞의 소스케와 소세키 | 『만엔 원년의 풋볼』 _오에 겐자부로 문학의 본령 | 『해변의 카프카』 _무라카미 하루키의 카프카 |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 _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는 어떻게 색채를 갖게 되었나 | 『쌀』 _지옥세상에서 사람답게 살아남는 법 | 『사람아 아, 사람아!』 _신영복은 왜 다이허우잉을 번역했을까

10. 아무리 더러운 역사라도 좋다

『무정』 _『무정』을 다시 읽다 | 『무진기행』 _전근대에서 근대로의 이행 | 『윤동주 전집』 _윤동주를 찾아서 | 『거대한 뿌리』 _아무리 더러운 역사라도 좋다 | 『풍경과 상처』 『바람을 담는 집』 『나는 왜 비에 젖은 석류 꽃잎에 대해 아무 말도 못 했는가』 _문학동네 산문집을 떠올리다 | 『테러의 시』 _시민문학과 난민문학 사이 | 『정크』 _루저들의 초상과 정크 소설의 탄생 | 『나는 빅또르 최다』 _최승자는 어떻게 빅토르 최가 되었나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