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니체와 장자는 이렇게 말했다 (철학은 어떻게 나다운 삶을 살아가게 하는가)
니체와 장자는 이렇게 말했다 (철학은 어떻게 나다운 삶을 살아가게 하는가)
저자 : 양승권
출판사 : 페이퍼로드
출판년 : 2020
ISBN : 9791190475013

책소개

『니체와 장자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저자는 니체와 장자 두 철학자의 공통점을 니힐리즘(허무주의)이란 코드로 묶었다. 학위논문에서부터 그를 단행본화한 ?노장철학과 니체의 니힐리즘 - 심층심리학에 의한 이해?(2013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그리고 이 책, ?니체와 장자는 이렇게 말했다?로 이어지는 일관된 분석이다. 허무주의란 개인에 간섭하는 절대적 가치체계에 대항하는 자세다. 장자와 니체 또한 절대적 가치를 거부하며 자유인으로 살았었다. 니힐리즘이라는 말은 라틴어로 ‘무’라는 뜻의 니힐nihil에서 나왔다. 니힐리즘은 모든 ‘독단적’ 사고를 해체하려 하며, 니체와 장자는 일체의 권위주의와 우상 숭배를 비판했다. 저자에 따르면, 니체의 유명한 언명 ‘신은 죽었다’의 신은 그저 기독교에서의 신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을 억압하는 모든 절대이념을 가리킨다. 장자 또한 이렇게 말한다. 지배자들의 도덕과 지식, 그리고 법은 힘 있는 자들의 잘못된 행위를 합리화시켜주는 도구에 불과할 뿐이다. 이 모두는 살아 있는 권력을 위해 봉사한다는 것이다. 지배자들은 기본적으로 폭력적인 방법을 통해 권력을 얻었기 때문에, 자기의 부도덕한 행위를 감추기 위해 도덕을 이용한다는 역설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사상의 일란성 쌍둥이, 장자와 니체

“모든 것은 가고 또 돌아온다. 존재의 수레바퀴는 영원히 돌고 돈다. 모든 것은 죽고 또다시 피어난다. 존재의 세월은 영원히 흐른다. 모든 것은 꺾이며 다시 이어간다. 영원히 똑같은 존재의 집이 세워진다. 모든 것은 헤어지며 모든 것은 다시 만나 인사한다.”
-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중 니체의 말, 이 책 67쪽

“생명은 형체가 없는 작용에서 싹터 나오고 죽음은 이 형체가 없는 작용으로 다시 돌아간다. 처음과 끝은 마치 둥근 고리와도 같이 서로 영원히 되풀이 되어 그 끝을 알 수 없다.”
- 「전자방」 중 장자의 말, 이 책 67쪽

니체와 장자의 사상이 놀랍게도 유사한 데 주목해 두 철학자의 아포리즘을 주제별로 엮고, 해설한 책이 페이퍼로드에서 출간됐다. 저자인 대구대 양승권 교수는 노장철학과 니체의 상관성을 연구한 논문, 「노장 사상의 허무주의nihilism 분석 - 니체와 프로이트의 심층심리학depth psychology 방법에 기초하여」로 성균관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이 분야 최초의 전문가다.
기원전 369년에 태어난 장자와 19세기 말에 활동했던 니체는 2천 년이 넘는 시간과 동서양이라는 공간의 차이를 넘어 일란성 쌍둥이처럼 사상을 공유했다. 장자의 사상은 동아시아에서 지배질서를 뒤엎으려는 혁명가들의 사상적 배경이 되기도 했다. 루쉰이나, 쑨원, 마오쩌둥에게 커다란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니체의 사상은 프로이트, 칼 융, 하이데거, 푸코, 들뢰즈, 데리다 등 쟁쟁한 탈근대 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치며 탈근대 철학의 원조로 평가받는다.
이 두 철학의 거인은 똑같이 혼란한 시대를 등장 배경으로 했다. 장자는 전국(戰國), 곧 7웅이라는 유력 제후국이 피비린내 나는 전쟁을 일삼았던 전란의 시대에 태어나 지배자의 철학이 아닌 피지배자의 입장에서 무위의 철학을 논했다. 그는 벼슬에는 관심 없이 거리의 철학자로 평생을 살면서 아무도 울어주지 않는 이들을 위해 대신 울어주려 했다. 니체는 유럽 질서가 재편되는 19세기말 혼돈의 시대를 살아가며 망치를 들고 인간의 자유를 옥죄는 모든 기존 가치를 산산이 조각내려 했던 철학자였다. 그는 피곤하기 이를 데 없는 사회적 압박에서 벗어나 자연 그대로의 본성에 충실하며 만족하는 방법을 설파했다. 남의 호흡에 끌려 다니지 말고 자기 호흡에 맞춰 자신에 충실하게 살라는 방법 말이다. 그러니까, 자기를 사랑할 줄 아는 사람이 타인도 사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남의 기준이 아닌 ‘나의 방식대로’ 떳떳하게 살아가라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과거에 대한 후회와 미련, 그리고 미래에 대한 불안에 떨며 살지 말고 ‘지금 현재의 순간’에 충실하라고 충고하기도 한다.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반성과 성찰 따위는 하지 말라는 것이다.

장자와 니체의 공통 코드, 니힐리즘

저자는 니체와 장자 두 철학자의 공통점을 니힐리즘(허무주의)이란 코드로 묶었다. 학위논문에서부터 그를 단행본화한 ?노장철학과 니체의 니힐리즘 - 심층심리학에 의한 이해?(2013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그리고 이 책, ?니체와 장자는 이렇게 말했다?로 이어지는 일관된 분석이다. 허무주의란 개인에 간섭하는 절대적 가치체계에 대항하는 자세다. 장자와 니체 또한 절대적 가치를 거부하며 자유인으로 살았었다. 니힐리즘이라는 말은 라틴어로 ‘무’라는 뜻의 니힐nihil에서 나왔다. 니힐리즘은 모든 ‘독단적’ 사고를 해체하려 하며, 니체와 장자는 일체의 권위주의와 우상 숭배를 비판했다. 저자에 따르면, 니체의 유명한 언명 ‘신은 죽었다’의 신은 그저 기독교에서의 신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을 억압하는 모든 절대이념을 가리킨다. 장자 또한 이렇게 말한다. 지배자들의 도덕과 지식, 그리고 법은 힘 있는 자들의 잘못된 행위를 합리화시켜주는 도구에 불과할 뿐이다. 이 모두는 살아 있는 권력을 위해 봉사한다는 것이다. 지배자들은 기본적으로 폭력적인 방법을 통해 권력을 얻었기 때문에, 자기의 부도덕한 행위를 감추기 위해 도덕을 이용한다는 역설이다.
저자는 니체의 주요 철학 개념에는 동양철학의 개념이 짙게 녹아들어 있다고 역설한다. 니체의 동양철학에 관한 관심은 고등학교 때부터 싹튼 것이었으며, 특히 인도의 업Karma이나 윤회 사상이 그의 ‘영원회귀’ 개념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장자 또한 모든 현상이 생장과 소멸을 영원히 반복한다고 말했다. 장자는 통상의 ‘죽음’ 개념이 없다고 한다. 죽으면 다른 형태로 변모에 우주 어딘가에 남아 있다. 곧 삶은 죽음의 시작이고 죽음은 삶의 시작이라는 것이다. 장자의 사유는 니체의 영원회귀 사유와 일맥상통한다는 것이 저자의 지적이다.
저자가 니체와 장자 사유의 핵심적 공통점을 아포리즘으로 묶으면서 제안하는 것은 오늘날 절대가치가 사라진 시대의 혼란스런 아노미 상태에서 아예 절대가치, 참가치를 찾지 말자는 것이다. 장자와 니체의 철학에서 삶을 유희할 수 있는 지혜를 찾을 수 있다고 저자는 단언한다.

“과거는 이미 지나가버렸으니 후회한들 아무런 의미가 없다. 미래는 아직 오지 않은 현실이므로 공허한 것일 따름이다. 과거나 미래를 생각함이 없이 생생한 지금, 이 순간의 삶에 머물며 모든 대상을 놀이의 대상으로 삼는 어린아이와 같은 존재가 되어보면 어떤가.”
- 261쪽, 「에필로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프롤로그 ‘서양의 장자’ 니체, ‘동양의 니체’ 장자 5

제1장 삶과 죽음
ㆍ 우리는 행복하다는 사실을 모르기에 불행하다 18
ㆍ 필요를 충족시키는 길은 여러 가지이며 최선의 길은 없다 22
ㆍ 결핍은 충족을 위한 조건이다 26
ㆍ 무관심은 나를 지키는 수단이다 30
ㆍ 고독은 모든 뛰어난 인물의 운명이다 34
ㆍ 세상에 머물러 있는 것은 없다 38
ㆍ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만이 남을 사랑할 수 있다 42
ㆍ 좋은 친구관계란 서로가 스승이 되는 관계다 46
ㆍ 창발성이란 고통을 예술로 승화시키는 능력이다 50
ㆍ 노동에 대한 찬사는 자기를 기만하는 행위다 54
ㆍ 위험하게 살기 vs. 순응하여 살기 58
ㆍ 죽음은 삶의 완성이다 62
ㆍ 시작은 끝인 동시에 시작이다 66
ㆍ 있는 그대로의 자기 삶 자체를 사랑할 수 있는 사람 70
ㆍ 자기 자신을 경멸할 수 있는 자가 초인이다 74

제2장 자기실현
ㆍ 멈춰라, 비워라, 침묵하라 80
ㆍ 흠결이 없는 목걸이에는 영혼이 담기지 못한다 84
ㆍ 우리는 모두 신의 한 속성이다 88
ㆍ 다른 그 무엇도 고려하지 말고, 94 오직 ‘스스로 그러하게’[자연自然] 살자!
ㆍ 나무를 베어낼 순 있어도 나무를 하루아침에 만들 순 없다 98
ㆍ 규정이라는 것은 자신의 시각 앞에 어떤 벽을 만든다 102
ㆍ 우리는 자신을 노예로 만들면서 자유롭기를 바란다 106
ㆍ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은 바로 ‘자기 자신’이다 112
ㆍ 생각나는 것을 믿지 말고, ‘생각나지 않는 것’을 믿어라 118
ㆍ 명상은 내 마음을 가꾸어주는 정원사다 122

제3장 인간과 지성
ㆍ 강한 인간이란 모든 존재를 사랑하는 인간이다 128
ㆍ 인간을 넘어선 ‘인간’, 초인과 진인 132
ㆍ 비천한 자와 거리를 두라 136
ㆍ 다양한 가치를 인정하자 142
ㆍ 허영심 강한 자는 자신을 믿지 못하기에 결핍을 숨긴다 146
ㆍ 권력은 늘 지식과 야합한다 152
ㆍ 도덕 원칙들의 확장은 도덕적인 타락의 증거다 158
ㆍ 일체의 보편적 이념은 의심할 필요가 있다 162
ㆍ 고전은 옛사람의 찌꺼기일 뿐이다 166
ㆍ 옛사람의 흔적을 구하지 말라 172
ㆍ 재능은 이미 나에게 갖춰져 있는 것이다 178
ㆍ ‘옳고 그름’을 넘어 ‘좋고 나쁨’으로 182
ㆍ 지식과 도덕은 생생한 삶의 의지를 약화시킨다 188

제4장 허무주의와 무無
ㆍ 세계는 한바탕의 꿈이다 194
ㆍ 현실은 거짓과 가상으로 창조된다 198
ㆍ 창의적인 거짓, 상반된 가치의 인정은 새로운 가치를 204 창조하는 시금석이다
ㆍ 장자와 니체의 사상은 ‘포스트휴머니즘’의 원조다 208
ㆍ 천 개의 눈으로 세상을 보자 214
ㆍ 합리성과 비합리성을 넘나들자 218
ㆍ 모순을 인정하라. 우리는 모든 것을 맛볼 필요가 있다 224
ㆍ 허무주의는 새로운 가치를 탄생시키는 요람 228
ㆍ 그가 유희하는 한 그는 완전한 인간이다 232
ㆍ 모든 존재는 서로 조화롭게 공존해야 만족에 이를 수 있다 236
ㆍ 자기가 원하는 방식대로 삶을 그려라 240
ㆍ 모든 지류를 품에 안은 거대한 강이 돼라 246

에필로그 마르지 않는 놀이의 샘, 니체와 장자 251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