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저도 과학은 어렵습니다만 1 (털보 과학관장이 들려주는 세상물정의 과학)
저자 : 이정모
출판사 : 바틀비
출판년 : 2018
ISBN : 9791196250515
책소개
삶이 조금은 편해지는, 생활밀착형 과학 에세이 62편
생화학자이자 서울시립과학관 관장인 이정모가 쓴 62편의 생활밀착형 과학 에세이. 과학적 사고방식으로 세상을 이해하는 방법을 소개함으로써 과학과 친해지면 삶이 조금은 편해지고 여유로워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이를 테면 미꾸라지가 흙탕물을 일으키는 훼방꾼이 아니라 산소를 공급해주는 귀한 존재라는 과학적 사실을 통해 문제 많은 조직에 왜 바른말을 하는 직원이 꼭 필요한지를 지적하고, 작은 꽃들이 큰 꽃보다 먼저 피는 전략으로부터는 빽도 없고 힘도 없는 자들의 연대를, 자신의 것을 버리면서 빛을 발하는 원자와 태양을 통해서는 낮아지는 것의 어려움을 논한다.
먼저 1부 ‘삶의 균형’에서는 장내 세균, 광합성, 늦잠, 중력파, 방귀, 꽃 등 일상에서 쉽게 접하는 것들을 통해 과학 지식이 어떻게 삶의 균형과 맞닿아 있는지를 알려준다. 2부 ‘이보다 더 염치없을 수는 없다’에서는 태극기 집회, 사이비 종교, 도널드 트럼프, 메르스 사태, 존엄사 등의 사회 이슈를 과학자의 시선으로 바라봄으로써 왜 지금 우리가 과학적 태도를 가져야 하는지를 설명해준다. 3부 ‘과학자들이 뭘 안다고 그래’에서는 유사과학, 전자레인지, 독감, 가짜 뉴스, 슈퍼문, 4대강 사업 등을 통해 잘못된 지식을 바로잡아주고 4부 ‘같이 좀 삽시다’에서는 깍두기, 모기, 동물원, 매미, 공룡, 비주류 과학자 등을 통해 공존의 이유와 방법을 모색한다. 5부 ‘조금 더 나은 미래’에서는 우주 이민, 지구온난화, 대멸종, 인공지능 등 최신 과학 이슈를 통해 인류의 미래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던진다.
목차
우리가 체질이라고 생각하는 것도 많은 경우 장내 세균의 결과인 경우가 많다. 비만도 그러하다. 물만 먹어도 살찐다는 말은 100퍼센트 거짓말이다. 하지만 상당히 많이 먹는데도 불구하고 살이 찌지 않는 사람이 있다. 장 속에 살고 있는 특정 세균이 효소와 호르몬 분비를 조절해서 체중과 혈당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장 속에도 세균 종의 다양성이 필요하다. 어떻게 좋은 균만 갖고 살겠는가, 나쁜 균들도 많을 것이다. 좋은 균과 나쁜 균의 힘의 균형이 어디에 있느냐가 중요하다. -16쪽
미꾸라지 한 마리가 웅덩이를 흐리게 하는 게 아니라, 미꾸라지가 더러운 물에서도 버티면서 살아가는 것이다. 직장도 마찬가지다. 미꾸라지 같은 직원이 들어와서 갈등을 일으키는 게 아니라 갈등 요소가 많은 직장에서 직원들이 버티고 있어주는 것이다. 그리고 그 직원은 조직이 썩지 않도록 밑바닥에 산소를 공급해주는 귀한 존재일지 모른다. -24쪽
잠은 신경계를 가진 동물의 특성이다. 그냥 멍하니 낭비하는 시간이 아니다. 온몸이 새로운 세포를 만들고 뇌가 호르몬을 생성하여 다시 하루를 살 수 있도록 정비하는 귀한 시간이다. 오죽 귀하면 우리가 밥 먹는 데보다 자는 데 시간을 더 많이 쓰겠는가. -31쪽
중력파를 어디에 써먹을지 아직은 모른다. 스마트폰에 쓰이는 전자기파도 처음 발견되었을 때는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것처럼 보였다. 당장은 무용해 보여도 언젠가는 우리 삶을 바꾸는 것이 과학이다. -36쪽
물고기 학자들은 물고기가 미끼를 금세 다시 무는 이유는 극도로 굶주렸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몹시 굶주린 물고기는 설사 통증을 느끼더라도 배고픔을 참지 못하고 미끼를 문다는 것이다. 환경이 불확실하면 먹는 게 최고다. 그러니 다시 잡히는 물고기가 있다면 낚시를 그만두고 준비한 미끼를 뿌려줘야 한다. -40쪽
세상에서 가장 작은 원자가 빛을 내는 것이나 세상에서 가장 큰 별이 빛을 내는 것이나 원리는 똑같다. 에너지를 버릴 때 빛난다. 자기의 것을 버리고 작아질 때 빛난다. -60쪽
왜 자연사박물관을 세워서 멸종한 생명을 전시할까? 그들의 실패를 배우기 위해서다. 삼엽충과 공룡을 비롯한 온갖 생명들이 멸종한 이유를 배움으로써 우리 인류가 버텨낼 방법을 찾기 위해서다. -67쪽
과학이란 옳고 그름을 가르는 게 아니다. 과학이란 ‘의심을 통해서 잠정적인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108쪽
하나는 삶에 끝이 있다는 현실을 받아들이는 용기이며 다른 하나는 우리가 찾아낸 진실을 토대로 행동을 취할 수 있는 용기다. 이때 우리는 두려움과 희망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지 판단해야 한다. -130쪽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전자제품에서는 전자기파가 나온다. 전자레인지를 두려워하시는 분들이 의외로 헤어드라이어는 거침없이 사용한다. 헤어드라이어에서 나오는 전자기파는 전자레인지에 코를 대고 들여다볼 때 쬐는 전자기파보다 10배가량 에너지가 높다. 전기장판은 말할 것도 없다. 전기장판에 3센티미터 두께의 요를 깔고서 온도를 미지근한 정도로 맞추면 전자레인지에서 30센티미터 떨어져 있을 때보다 10배 정도 높은 전자기파가 측정된다. -145쪽
사람은 결코 완벽한 존재가 아니다. 아무리 꼼꼼하고 현명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의 기억은 완벽하지 않다. 이미 100년 전에 실험으로 확인된 사실이다. -160쪽
슈퍼문은 있어서도 안 되고 있을 수도 없다. 과학자들은 이런 호들갑스러운 말을 하지 않는다. 단지 ‘근지점 보름달’, ‘원지점 보름달’이라는 용어를 쓸 뿐이다. 슈퍼문이라는 말은 1979년 한 점성술사가 처음 썼다고 한다. 그러니까 주술적인 용어다. -163쪽
우주는 크고 장엄하지만 우리 인류는 위대하다. 축구장 300개에 흩어져 있는 볼펜 심 쇠구슬에 살고 있는 인류는 눈에 보이지도 않을 작은 우주선을 쏘아 올려서 공간에 흩어져 있는 다른 점들을 정확히 찾아가고 심지어 다시 돌아오기까지 한다. -173쪽
인간은 가장 비자연적인 동물이다. 아무리 잔인하다고 하더라도 살아있는 소의 내장을 파먹지는 않으며 아무리 배가 고프다고 해서 한배에서 자란 쌍둥이 동생을 잡아먹지도 않는다. 인간사는 기본적으로 계약과 신뢰로 이루어져 있다. 설사 배신이 있다 하더라도 그것은 동물의 왕국에서 일어나는 일에 비하면 배신이라고 할 수도 없다. -187쪽
놀면서 사회를 배우고, 스스로 규칙을 만들며, 위험을 감수하는 것. 이것이야말로 호모 사피엔스의 결정적인 장점이다. -195쪽
한밤에도 매미가 우는 까닭은 도시의 밤이 환해서라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나름대로 합리적인 추론이다. 하지만 추론은 추론일 뿐이다. 과학자들이 실험해봤더니 결과는 달랐다. 빛과 매미의 울음 사이에는 별 관계가 없었다. 매미가 우는 데 결정적인 요소는 온도였다. 울음판의 근육을 움직이는 데는 온도가 중요했던 것이다. 더우면 아무리 캄캄해도 매미는 운다. 최선을 다해서. -216~217쪽
종을 가리지 않고 모든 수컷은 암컷을 꼬시기 위해 이런저런 노력을 한다. 그러나 거의 대부분은 부질없는 짓이다. 지구에 살고 있는 수컷 가운데 죽기 전에 암컷 곁에 한번이라도 가본 개체는 전체 수컷 가운데 4%에 불과하다. 나머지 96%의 수컷은 평생 짝짓기 한 번 못해보고 생을 마감한다. -221쪽
과학은 쉬운 게 아니다. 쉬워서 하는 게 아니라 어렵지만 그 어려움을 극복하고 깨달을 때 그리고 뭔가 새로운 것을 알아내고 만들었을 때 재미가 있기 때문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발견과 지식이 이 세상에 의미가 있기 때문에 한다. 우리는 언제 행복을 느끼는가? 재밌으면서 의미가 있고 또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이 있는 일을 할 때 행복하지 않은가. 여기서 말하는 불확실성이란 애매모호함이 아니다. 될 것 같기도 하고 안 될 수도 있을 것 같은 그 아슬아슬함을 말한다. -262쪽
물고기가 투표를 한다고? 사실이다. 우두머리 물고기가 먹잇감을 정하면 다른 물고기들은 그를 따를지 말지를 지느러미를 이용해 투표한다. 물고기는 알고 있다. 우두머리 한 마리의 결정보다는 민주적 투표에 따른 집단적 결정의 이득이 크다는 사실을. -27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