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죽음의 미학 (죽음의 미학, 개정판)
죽음의 미학 (죽음의 미학, 개정판)
저자 :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출판사 : 무블출판사
출판년 : 2020
ISBN : 9791197148927

책소개

“창작과 소설 읽기의 전범이 될 현대소설의 백미!”
작가 이문열을 사로잡았던 세계의 명작들, 작가를 꿈꾸는 이들의 필독서!
1996년 처음 출간된 이래 이십여 년간 수많은 독자의 사랑을 받아온 〈이문열의 세계명작산책〉이 새로운 판형과 현대적인 번역으로 다시 독자를 만나게 되었다. 그간 변화해온 시대와 달라진 독서 지형을 반영해, 기존에 수록된 백여 편의 중단편 중 열두 편을 다른 작가 혹은 같은 작가의 다른 작품으로 교체하고, 일본어 중역이 포함된 낡은 번역도 새로운 세대의 번역자들의 원전 번역으로 바꾸어 보다 현대적인 책으로 엮었다. 바뀌거나 더해진 것이 30퍼센트에 달할 정도로, 새로워진 개정판이 되었다. 여기 세련된 장정과 판형으로 소장가치까지 한층 높였다. 지난 이십여 년간 그래왔듯이, 이번 개정판도 수많은 독자들을 세계명작의 산책로로 안내하는 데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엮은이인 이문열 작가는 초판 서문에서 “좋은 소설을 쓰기 위해서는 먼저 마음속에 다양하면서도 잘 정리된 전범(典範)이 있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래서 젊은 시절 작가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던 작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주요 문학잡지의 해외 특집란을 검토해 추린 후, 주제별로 세계의 다양한 나라의 작품들을 엮어내고 각 작품에 대한 해설을 다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았다. 모두를 납득시킬 만한 객관성을 확보하는 데는 별수 없는 미진함이 남을지라도(혹은 그런 것이 불가능할지라도), 작가는 이 선집이 작가 자신의 문학 체험의 한 결산임을 분명히 밝히고, 그의 마음을 사로잡은 문학 체험이 독자들에게도 전해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문열의 세계명작산책〉은 작가를 꿈꾸는 이들에게는 창작의 한 전범이자 기준이 될 것이며, 소설 연구자들에게는 주제별 비교가 가능한 텍스트로서, 그리고 대중 독자들에게는 수준 높은 세계명작들의 풍성한 세계를 접하는 첫 책으로 손색이 없을 것이다. 수록된 소설을 읽는 것만으로도 세계 수준의 문학 교양을 쌓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총 10권으로 기획된 시리즈 중 우선 1권과 2권이 동시 출간되었다. 2권 “죽음의 미학”은 죽음을 주제로 한 중단편 9편을 모았다. 죽음은 우리 모두의 중요한 관심사이다. 누구에게나 어김없이 닥쳐오기 때문이다. 또한 바로 그런 이유로 죽음은 삶을 삶답게 하는 전제가 되는 법이다. 죽음이 찾아온다는 것이 모든 인간의 피할 수 없는 숙명이라면, 다만 모두에게 다른 것은 죽음을 대하는 태도일 뿐이다. 우러를 것인가, 예비하고 다가갈 것인가, 혐오하고 두려워할 것인가, 할 수 있는 한 기피할 것인가. 우리 삶의 무수한 선택이 죽음에 대한 이 선택지에 달려 있다. 그래서 좋은 소설은 자주 죽음의 그림자를 드리워 삶을 이야기한다. 2권에 수록된 9편의 중단편을 통해 문학이 다루는 “죽음의 미학”을 살펴보는 것은 인간 삶의 가장 본질적인 순간들을 체험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스티븐 크레인의 〈구명정〉과 마르셀 프루스트의 〈발다사르 실방드르의 죽음〉을 새로이 번역해 실었고, 기존에 중역했던 헤르만 헤세의 중편 〈크눌프〉는 원전을 재번역해서 수록했다. 그 외에 레프 톨스토이의 〈이반 일리치의 죽음〉, 잭 런던의 〈불 지피기〉, 셔우드 앤더슨의 〈숲속의 죽음〉,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킬리만자로의 눈〉, 샤를 루이 필리프의 〈앨리스〉, 바이올렛 헌트의 〈마차〉와 같은 세계적 문호들의 작품을 문장을 다듬어 새롭게 소개하고 있다. ‘죽음’과 ‘삶’이라는 거대한 주제가 거장들의 손길을 거쳐 독자들에게 ‘미적 체험’으로 다가오는 독특한 순간들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지은이 소개
-레프 톨스토이 : 러시아의 대문호. 1828~1910년. 러시아 남부 야스나야 폴랴나 출생. 1853년 크림전쟁이 발발하여 전쟁에 참여하기도 했는데 이때의 경험은 훗날 그의 비폭력주의에 영향을 끼쳤다. 주요 작품으로는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 『부활』, 「이반 일리치의 죽음」, 「크로이처 소나타」 등이 있다. 오늘날까지도 19세기 러시아 문학을 대표하는 세계적 문호로 인정받고 있다.
-스티븐 크레인 : 미국의 소설가 겸 시인, 신문기자. 1871~1900년. 스물아홉 살의 짧은 삶을 살았지만 생생하고 강렬하며 독특한 방언과 아이러니가 넘치는 글을 썼다. 사회적 고립이나 인간의 두려움 같은 주제에 천착했던 그는 사회적 사실주의 소설과 이미지즘 시의 선구자로 불리며, 헤밍웨이를 비롯한 현대 미국 작가에게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받는다. 주요 작품으로는 『붉은 무공훈장』, 『거리의 여인 매기』 등이 있다.
-잭 런던 : 미국 작가. 1876~1916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출생. 본명은 존 그리피스 체니이다. 형편이 어려운 의붓아버지 밑에서 자란 그는 학교를 제대로 다니지 못한 채 신문 배달, 통조림 공장 직공, 바다표범 잡이 배 선원 등 육체노동과 방랑으로 어린 시절을 보냈고, 18세 때는 감옥에 가기도 했다. 1904년 러일전쟁 특파원으로 일본군을 따라 조선을 방문한 적 있으며, 『잭 런던의 조선 사람 엿보기』라는 책을 출판하기도 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비포 아담』, 『강철군화』, 『달의 계곡』, 『바다의 이리』, 『늑대개』 등이 있다.
-마르셀 프루스트 : 프랑스 작가. 1871~1922년. 파리 근교 오퇴유 출생. 신경성 천식으로 평생 고생한 그는 헌신적인 어머니의 보살핌 속에서 낮에는 잠을 자고, 밤에는 글을 쓰며 사교계를 드나드는 생활을 계속하다 1895년부터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초벌 그림과 같은 자서전적 소설 『장 상퇴유』를 집필하기 시작했다. 1909년부터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본격적으로 집필하며 침거 생활에 들어갔다. 제1차 세계대전 가운데서도 집필을 계속해 1919년 갈리마르 출판사에서 2편 『피어나는 소녀들의 그늘에서』를 출간하고 이 작품으로 공쿠르 상을 수상했다. 그는 죽기 전까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퇴고 작업을 했다고 전해지며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셔우드 앤더슨 : 미국 작가. 1876~1941년. 미국 오하이오 주 캠던 출생. 스무 살 무렵 야간학교를 다니며 독학으로 문학에 눈을 떴다. 플롯 중심의 기존 단편소설 틀을 깨고 청교도적인 금욕주의에서 벗어나 인간을 육체적인 관점에서 묘사하며, 헤밍웨이 등 후배 작가에게 큰 영향을 줬다는 평가를 받는다.1916년 최초의 장편소설 『윈디 맥퍼슨의 아들』을 펴냈고, 연작단편집 『와인즈버그, 오하이오』로 인정을 받았다. 『달걀의 승리』, 『말과 인간들』, 『검은 웃음소리』 등의 작품이 있다.
-헤르만 헤세 : 독일 작가. 1877~1962년. 독일 뷔르템베르크의 칼프 출생. 1946년 『유리알 유희』로 노벨문학상과 괴테 상을 동시에 수상했다. 주요 소설로는 『수레바퀴 밑에서』, 『데미안』, 『싯다르타』, 『나르치스와 골트문트』, 『지와 사랑』 등이 있고, 그 밖에 시집, 우화집, 여행기, 평론, 수상집 등 다수의 작품이 있다.
-어니스트 헤밍웨이 : 미국 작가. 1899~1961년. 미국 일리노이 주 오크 파크(시카고) 출생. 고등학생 때 학교 주간지 편집을 맡아 기사와 단편을 썼고, 제1차 세계대전 중엔 야전병원 수송차 운전병으로 근무하기도 했다. 1921년 스콧 피츠제럴드, 에즈라 파운드 등과 교유하는 등 본격적으로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1952년 『노인과 바다』를 발표해 퓰리처상과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무기여 잘 있거라』,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킬리만자로의 눈』 등의 작품이 있다.
-샤를 루이 필리프 : 프랑스 작가. 1874~1909년. 프랑스 중부 세리이 출생. 파리 시청 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창작 활동에 힘썼다.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소박하고 애정 어린 글을 주로 발표했다. 출세작 『뷔뷔 드 몽파르나스』는 매춘부와 포주, 그리고 그녀를 구하려는 젊은 지식인 사이의 관계를 그린 자전적 작품이며, 그 밖에 『어머니와 아들』, 『페르드리 노인』, 『작은 집에서』 등이 있다.
-바이올렛 헌트 : 영국 작가. 1862~1942년. 영국 더럼 출생. 그녀의 아버지는 예술가 알프레드 윌리엄 헌트, 어머니는 소설가이자 번역가인 마가렛 레인 헌트이다. 활동적인 페미니스트였으며 1908년 여성 작가의 참정권 리그를 창립했고 1921년 국제 펜클럽 창립에 참여했다. 자서전 『하고 싶은 이야기』와 장편소설 『시든 잎의 하얀 장미』, 소설집 『불안한 자들의 이야기』 등의 작품이 있다.
◇옮긴이 소개
-김석희 : 서울대 불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문학과를 중퇴했다. 1988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소설이 당선되며 등단했다. 영어, 불어, 일어를 넘나들며 번역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라마야나』, 『마하바라타』, 『프랑스 중위의 여자』, 『모비 딕』, 『월든』, 『위대한 개츠비』, 『삼총사』, 『로마인 이야기』(15권) 등이 있다. 역자 후기 모음집 『번역가의 서재』를 펴냈으며, 1997년 제1회 한국번역대상을 수상했다
-장경렬 : 서울대학교 영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텍사스대학교에서 영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미로에서 길찾기』, 『신비의 거울을 찾아서』, 『응시의 성찰』, 『코울리지 : 상상력과 언어』, 『매혹과 저항 : 현대 문학 비평 이론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위하여』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내 사랑하는 사람들의 잠든 모습을 보며』, 『야자열매술꾼』, 『아픔의 기록』, 『선과 모터사이클 관리술』, 『젊은 예술가의 초상』, 『라일라』, 『학제적 학문 연구』 등이 있다.
-유두선 : 서울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뉴욕대학교에서 영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영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D. H. Lawrence’s The Rainbow and Women in Love : A Critical Study』가 있다.
-김다은 : 이화여대 불어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불어불문과 석사, 프랑스 파리제8대학교에서 문학박사를 취득했다. 1995년 『당신을 닮은 나라』로 제3회 국민일보문학상을 받으며 소설가로 등단했고, 현재 추계예술대학교 교수로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금지된 정원』, 『푸른 노트 속의 여자』, 『러브버그』, 『초대받지 못한 그림들』, 『작가들의 여행편지』, 『바르샤바의 열한 번째 의자』, 『너는 무엇을 하면 가장 행복하니?』, 『소통 말통』 등이 있다. 또 프랑스어 장편소설 『Le Jardin interdit』, 단편소설 「Imagination dangereuse」, 「Le rat de bibliotheque」 등이 있다.
-천승걸 : 서울대 영문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미국 아이오와대 대학원에서 미국학을 전공했다. 서울대 영문과 교수 및 예일대 객원교수, 아이오와대 객원교수를 지냈다. 2017년 별세했다. 저서로는 『미국소설』, 『미국 문학과 그 전통』, 『미국 흑인 문학과 그 전통』, 옮긴 책으로는 『현대소설과 의식의 흐름』, 『나사니엘 호손 단편선』, 『한때 흑인이었던 남자의 자서전』 등이 있다.
-정서웅 :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독일학술교류처(ADDA) 초청으로 독일 브레멘대학 교환교수, 숙명여대 독어독문학과 교수를 지냈다. 옮긴 책으로 『독일어 시간』, 『콜린』, 『크눌프 로스할데』, 『환상소설집』, 『스퀴데리 양』, 『베네치아와 시인들』 등이 있다.
-진형준 :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문학번역원 원장, 홍익대 문과대학장, 세계상상력센터 한국지회장, 한국상상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상상력이란 무엇인가』, 옮긴 책으로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등이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세계명작산책』 개정판을 내며
『세계명작산책』 초판 서문
머리말

레프 톨스토이
이반 일리치의 죽음
한 속인을 통한 죽음의 성찰

스티븐 크레인
구명정
죽음과 맞서는 인간의 태도 또는 자세

잭 런던
불 지피기
관념이 배제된 죽음의 과정

마르셀 프루스트
발다사르 실방드의 죽음
삶이 죽음의 일부인가, 죽음이 삶의 일부인가

셔우드 앤더슨
숲속의 죽음
삶을 인상적으로 진술하는 방식

헤르만 헤세
크눌프
삶의 최종심

어니스트 헤밍웨이
킬리만자로의 눈
신이 없는 죽음과 감추지 않는 주저흔

샤를 루이 필리프
앨리스
독점욕이 빚어낸 특이한 죽음의 양상

바이올렛 헌트
마차
염세적 세계관을 배음背音으로 한 기상곡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