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한국 초대 교회 공공신학
한국 초대 교회 공공신학
- 자료유형
- 동서단행본
- ISBN
- 9788934118794 93230 : \10,000
- DDC
- 230-22
- 청구기호
- 275.1 ㄹ133ㅎ
- 저자명
- 류준영
- 서명/저자
- 한국 초대 교회 공공신학 / 류준영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2018
- 형태사항
- 215 p. ; 23 cm
- 총서명
- 신학박사 논문시리즈 ; 44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 일반주제명
- 교회 신학[敎會神學]
- 일반주제명
- 한국교회
- 가격
- \10000
- Control Number
- bwcl:112816
- 책소개
-
공공신학이란 무엇인가?
교회를 단순한 세속적 공동체와 같은 것으로 볼 수 없고 교회만이 가진 독자성 자체에서 공공성을 인정하게 된다. 이처럼 공공신학은 이 땅을 살아가는 그리스도의 사람들이 개인의 영혼 구원 문제가 중요한 만큼, 현재 우리 모두가 겪는 다양한 상황과 공공의 문제도 중요하게 다룬다. 사회적 이슈에 실천적으로 반응하고 행동까지 함으로써 교회의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을 소홀히 하지 않는다.
공공신학은 언제 생겨났는가?
공공신학의 근본 관념은 애초에 성경에 내재되어 있었다고 보아야 하고, 이를 신학적 윤리적 차원에서 전개한 구체적인 신학자는 어거스틴을 들 수 있다. 이것이 스코틀랜드, 영국, 미국, 독일 등지에서 시민 종교에 대한 논의로 전개되거나 세속화와 여성 해방 운동을 낳기도 하였다.
한국 교회에 공공신학의 시작을 언제로 볼 것인가?
한국 교회는 구한말 초기 선교사에게서 공공신학의 면모를 보여 준다. 초대 기독교는 19세기말부터 소규모일지라도 기독교 윤리에 기초한 사회 개혁 운동에 앞장섰고, 이후 민족 운동과 관련을 맺게 된다. 이 시기에는 보수나 진보, 신학관에서의 교리적 차이 등 이념적 갈등이 교회 내에 발생할 여지가 전혀 없었다. 오로지 사회 개혁과 민족 운동을 위한 책임에 모두가 공감하며 활기를 지닌 집단일 수밖에 없었다.
이 책은 전반부에서 공공신학에 대한 소개와 기독교사 내에서 공공신학의 출발과 전개를 신학적으로 서술하고, 후반부에서 한국 초대 교회에 활발했던 공공신학을 찾아보고, 근간에 공공신학이 모범적으로 실천되어 교회의 성장에도 기여한 국내외 대표적 사례를 검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