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근대 한국의 법, 재판 그리고 정의
근대 한국의 법, 재판 그리고 정의
- Material Type
- 동서단행본
- 0015742715
- Date and Time of Latest Transaction
- 20211123113018
- ISBN
- 9788949948508 94910 : \31000
- ISBN
- 9788949947396(세트)
- DDC
- 340.09519-21
- Callnumber
- 340.0951 ㅇ772ㄱ
- Author
- 이승일
- Title/Author
- 근대 한국의 법, 재판 그리고 정의 / 이승일 지음.
- Original Title
- [기타표제]2021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
- Publish Info
- 파주 : 경인문화사, 2021
- Material Info
- xiv, 413 p : 차트 ; 23 cm.
- 총서명
- 한국학 총서 : 근대전환기의 국가와 민 ; 06.
- 대한민국학술원 기증
- Series Added Entry-Uniform Title
- 한국학 총서 : 근대전환기의 국가와 민 ; 06
- Price Info
- \31000기증
- Control Number
- bwcl:118079
- 책소개
-
대한제국의 법과 재판을 통해 돌아보는 오늘날의 민주주의
한국의 법과 재판의 역사는 오래 시간에 걸쳐 완성되어 왔다. 이 책은 갑오?대한제국기 사법제도의 개혁을 거치면서, 한국의 소송제도가 어떻게 변화하였고, 또 법과 소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분석하고 있다.
전근대 시대에는 국가권력을 독점한 소수의 특권계급이 분배의 룰을 만들고 다수의 인민들에게 일방적으로 강요하였다. 그리고 유학이념에 토대를 둔 국가질서를 깨뜨리는 집단적 투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품성을 바르게 하고 양심을 자각하게 만들어 스스로 반성하도록 유도하였다. 유학자들은 덕성의 함양과 더불어 예와 법으로 욕망을 단단히 관리하여야 한다고 인민들을 가르쳤다. 다만, 조선의 통치이념과 규범은 인민들의 전체의사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닌 일방적 강요에 의한 것이었다. 옳고 그름을 떠나 인민들은 이 규율을 깨뜨릴 수 없었다. 한국 역사상 최대의 농민반란이었던 동학농민전쟁은 양반관료들의 수탈과 불법행위에 대한 분노로 출발하였으나, 본질적으로는 부정의를 교정하지 못하는 국가사법시스템에 대한 불만이었다. 그러나 이는 조선왕조의 부정의에 대한 지적은 있었으나 그 주체가 되어 근본적인 개혁을 이루는 데 까지는 가지 못했다.
국가시스템의 완전한 개혁은 19세기 말 한국의 자유주의 개혁가들에 의해서였다. 독립협회를 중심으로 한 개혁가들은 정의의 규율을 선한 지배자 층이 만들어 줄 것을 기대한 것이 아니라, 인민들이 직접 만들어야 하며 그에 대한 책임도 스스로 진다는 주권자 의식을 드러냈다. 더 나아가 대한제국 정부와 벌인 사법투쟁을 계기로, 법과 정의(Justice)가 사법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의 문제라는 점을 깨닫게 되면서 국가를 개조하는 정치개혁 투쟁으로까지 발전하였다. 애국계몽운동기에 접어들면서 개혁가들이 헌법의 제정, 국회의 설립, 삼권분립,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국민국가의 수립을 요구하였던 이유이다. 본서는 이 관점에서 한국의 근대 사법개혁의 역사를 재구성 한다.
Detail Info.
- Reservation
- Not Exist
- My F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