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민속지식의 인문학
민속지식의 인문학
- 자료유형
- 동서단행본
- ISBN
- 9788928514786 93380 : \42000
- DDC
- 398-23
- 청구기호
- 390.0951 ㅇ153ㅁ
- 서명/저자
- 민속지식의 인문학 / 안동대학교 대학원 민속학과 BK21 사업팀 기획
- 원서명
- [기타표제]2021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
- 발행사항
- 서울 : 민속원, 2020
- 형태사항
- 490 p. : 삽화(일부천연색) ; 24 cm
- 주기사항
- 글쓴이: 배영동, 김재호, 이상현, 임재해, 천혜숙, 이영배, 이용범, 이진교
- 주기사항
- 2021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 도서임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473-486)과 색인(p. 487-490) 수록
- 입수처
- 대한민국학술원 기증
- 일반주제명
- 민속학
- 일반주제명
- 민속 문화
- 일반주제명
- 한국 민속
- 기타저자
- 배영동 , 1961- , 裵永東
- 기타저자
- 김재호
- 기타저자
- 이상현 , 1959- , 李相賢
- 기타저자
- 임재해
- 기타저자
- 천혜숙
- 기타저자
- 이영배 , 1970- , 李永培
- 기타저자
- 이용범 , 1960- , 李龍範
- 기타저자
- 이진교 , 1973- , 李鎭敎
- 기타저자
- 안동대학교 대학원
- 가격
- \42000-기증
- Control Number
- bwcl:118124
- 책소개
-
민속지식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의 필요성은 자명해진다. 특히 민속학에서 민속현상을 민속지식이라는 관점에서 연구하는 것은 민속학을 더 원론적인 차원에서 접근할 것을 요청한다. 사람들은 왜 집단을 이루면서 사는가, 특정 집단이 만든 삶의 방식과 형태는 왜 그러해야 하는가, 그들의 사회조직, 시간 배분과 이용, 이야기, 신앙, 의례, 놀이, 예술, 생산활동, 음식, 복식, 주거 등은 왜 그런 형식과 논리를 갖추어 실천되고 있는지에 대한 해명을 필요로 한다. 이런 삶의 여러 요소는 어느 것 하나 우연히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집단 구성원들의 발상과 동의의 과정을 수없이 거치면서 조정되어 축적된 지식의 결과적 형태이다.
פרט מידע
- הזמנה
- לא קיים
- התיקיה של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