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대명률직해 : 조선시대 범죄와 형벌의 근간
대명률직해  : 조선시대 범죄와 형벌의 근간 / 김지 ; 고사경 직해  ; 조지만 역해
내용보기
대명률직해 : 조선시대 범죄와 형벌의 근간
자료유형  
 동서단행본
ISBN  
9788957337172 94360
ISBN  
9788957332306 (세트)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chi
DDC  
349.5109-23
청구기호  
349.51 ㄱ881ㄷ
서명/저자  
대명률직해 : 조선시대 범죄와 형벌의 근간 / 김지 ; 고사경 직해 ; 조지만 역해
원서명  
[한자표제] 大明律直解
발행사항  
파주 : 아카넷, 2020
형태사항  
569 p. : 삽화 ; 22 cm
총서명  
규장각 새로 읽는 우리 고전 ; 025
주기사항  
감수: 정도전, 당성
주기사항  
해제수록
주기사항  
2021 세종도서 학술부문
서지주기  
참고문헌(p. 559-562)과 색인수록
주제명-통일서명  
大明律
기타저자  
김지 , 金祉
기타저자  
고사경 , 高士褧
기타저자  
조지만 , 1971- , 趙志晩
가격  
\30,000-기증
Control Number  
bwcl:119419
책소개  
규장각총서 <대명률직해>는 조선시대 형사법의 근간이었던 <대명률직해>의 전체 내용을 개괄하며 일반 독자들이 흥미롭게 접근할 만한 부분을 중심으로 발췌 번역하고 해설을 실었다. 그러나 독자들이 책의 전체적인 내용을 통독할 수 있도록 각 조문의 대략적인 내용을 실어놓았으므로 전통시대 형사법은 어떠한 내용을 담고 있는지를 아는 데는 매우 유용하다.



<대명률직해>란 <대명률>이라는 명나라의 형법을 당시 우리나라 사람들이 한문을 쉽게 읽기 위하여 사용하던 이두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사정에 맞게 번안한 책이다. 그런데 사실 <대명률직해>라는 책의 이름은 조선시대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조선시대 당시로 돌아가서 <대명률>과 관련된 책명을 보면, <대명률>, <대명률서>, <대명률강해>, <대명률부례> 등이 존재하였지만, <대명률직해>라는 명칭은 발견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언제부터 <대명률직해>라는 명칭을 사용했을까?



서적의 명칭으로 <대명률직해>를 처음 사용한 때는 조선총독부에서 전통적인 법전들을 교정하고 활자화하여 간행한 일제강점기로 보는 것이 학계의 공통된 견해다. 이렇게 일제 강점기에 <대명률직해>를 간행한 이후에는 이두가 들어가 있는 <대명률>을 모두 <대명률직해>라는 명칭으로 통칭하였고, 서적 이름으로도 사용하였다. 서울대학교 규장각에서 이 책을 영인하여 출간할 때에도 <대명률직해>라는 명칭으로 하였다. 이 책에서도 기존의 용례에 따라서 <대명률직해>라고 한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163317 349.51 ㄱ881ㄷ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163318 349.51 ㄱ881ㄷ c.2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