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새마을운동의 세계화 (사회적 혁신을 통한 공익가치의 창조)
새마을운동의 세계화 (사회적 혁신을 통한 공익가치의 창조)
저자 : 노화준
출판사 : 법문사
출판년 : 2018
ISBN : 9788918102542

책소개

사회적 혁신운동으로 ‘잘 살아보세’라는 새로운 공익가치인 새마을정신이 창발하도록 하는데 성공하였던 새마을운동 과정을 새마을운동정책으로 전환하여 전수할 수 있다고 한다면 이전받는 국가에서는 정책이론과 방법론에 관한 지식을 바탕으로 원래의 새마을정책설계와 정책집행의 원리들을 이해하고 파악해서 각기 자기 나라의 실정에 맞도록 빈곤퇴치를 위한 새로운 사회적 혁신정책으로 발전시키고 집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니즈(needs)에 부응하기 위하여 1970년대 한국의 농촌새마을운동을 성공한 사회적 혁신으로 보고 그러한 사회적 혁신을 성공시켰던 새마을운동추진의 주요 경험들을 정책논리로 전환시켜 용이하게 전수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머리말

1970년대 한국의 농촌 새마을운동은 잘 사는 사회를 만들자는 운동이었다. 여기서 잘 사는 사회란 사람이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춘 사회라 할 수 있다. 지난 1969년 농촌마을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1인당 평균 가처분 소득은 137.78달러로 전국 근로자 1인당 가처분 소득 226.95달러의 60.7%였으며 서울 근로자 1인당 가처분 소득 267.64달러의 51.5%에 불과하였다. 그러므로 1960년대 말과 1970년대 초에 있어서 농촌마을 주민들의 가장 중요한 근본적인 사회적 문제는 만연되어 있고 심화되고 있었던 빈곤문제라고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농촌의 극심한 빈곤상태를 벗어나기 위하여 1970년대 초부터 새마을운동을 추진하기 시작하였으며, 1970년대에 추진하였던 새마을운동의 성공으로 농촌주민들은 근면?자조?협동과 ‘잘 살아보세’라는 새마을정신이 창발하게 되었고, 농촌주민들의 평균적인 소득수준은 크게 향상되었으며, 극심한 빈곤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지난 1970년대 한국의 농촌새마을운동은 심각한 사회문제인 빈곤문제를 새로운 방법으로 해결하였다는 점에서 사회적 혁신이라 할 수 있다. 한국농촌사회가 지난 1970년대 농촌새마을운동을 통하여 극심한 빈곤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했던 빈곤타파의 정책경험들을 극심한 빈곤상태에 처해 있는 많은 인구를 가진 세계의 여러 나라들에서 배우고 싶어 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세계적인 니즈(needs)에 부응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이 연구는 처음에는 새마을운동을 통하여 ‘잘 살아보세’라는 새마을정신이 일어났다고 하는 복잡성과학에서 말하는 창발(emergence)현상에 대한 호기심에서 시작하였으나 극심한 빈곤상태에 처해 있는 수많은 발전도상국가들의 수억 인구가 극심한 빈곤상태에서 하루빨리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는 사명감에서 더 열심히 연구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어떤 한 정책의 세계화란 정책이전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1970년대 한국의 농촌새마을운동을 세계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한국의 농촌새마을운동의 경험을 정책경험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한국에서 1970년대에 성공적으로 추진하였던 농촌새마을운동의 전략과 방법들을 정책으로 전환시켜야 한국에서 1970년대 성공했던 농촌새마을운동정책, 즉 사회적 혁신정책들을 이전해줄 수 있고 이전받을 수 있다.



그러면 왜 한국의 농촌새마을운동의 세계화를 위해서 한국에서 성공했던 사회적 혁신운동을 혁신정책으로 전환시켜야 하는가? 이 원리는 새로운 기술을 모방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인 역설계(reverse engineering)방법을 생각해보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역설계는 혁신적인 완제품을 뜯어보고 똑같이 만드는 모방과정의 한 종류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분해해서 모방하는 것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과학기술적 지식을 바탕으로 분해를 통하여 원래의 설계원리를 파악해내야만 기술개발을 이해하고 창의력을 발휘하여 활용가능한 새로운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는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회적 혁신운동으로 ‘잘 살아보세’라는 새로운 공익가치인 새마을정신이 창발하도록 하는데 성공하였던 새마을운동 과정을 새마을운동정책으로 전환하여 전수할 수 있다고 한다면 이전받는 국가에서는 정책이론과 방법론에 관한 지식을 바탕으로 원래의 새마을정책설계와 정책집행의 원리들을 이해하고 파악해서 각기 자기 나라의 실정에 맞도록 빈곤퇴치를 위한 새로운 사회적 혁신정책으로 발전시키고 집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니즈(needs)에 부응하기 위하여 1970년대 한국의 농촌새마을운동을 성공한 사회적 혁신으로 보고 그러한 사회적 혁신을 성공시켰던 새마을운동추진의 주요 경험들을 정책논리로 전환시켜 용이하게 전수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장 서  론

Ⅰ. 연구의 목적

Ⅱ.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1960년대 농촌사회 빈곤퇴치 정책의 문제점과 사회적 혁신운동의 대두

Ⅰ. 1960년대 한국농촌사회의 빈곤문제와 빈곤퇴치를 위한 정책적 노력 및 실패의 교훈

Ⅱ. 사회적 혁신운동으로서의 새마을운동 태동의 맥락과 시발



제3장 새마을운동의 추진주체와 과정: 통합적 추진모형

Ⅰ. 새마을운동의 통합적 추진모형

Ⅱ. 지역공동체 수준 추진모형



제4장 새마을운동의 전략적 추진과 사회의 재구성을 위한 새마을정책설계

Ⅰ. 정책의 사회구성기능과 새마을운동정책의 설계

Ⅱ.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가는 시스템 동태적 과정과 상응하는 발전적 평가의 유형

Ⅲ. 새마을운동정책의 재설계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발전적 평가의 활용



제5장 새마을사업계획과 집행의 절차와 방법: 공익가치의 창조를 위한 전략적 관리

Ⅰ. 새마을사업계획과 새마을사업의 개발

Ⅱ. 공익가치창조로서의 새마을운동과 새마을사업의 추진모형

: 전략적 관리와 공익가치 창조

Ⅲ. 1970년대 새마을사업의 계획과 새마을사업의 추진협조체제

Ⅳ. 1970년대 새마을사업의 전략적 계획과정과 공익가치의 창조



제6장 정부정책으로서의 새마을사업의 전략적 추진과정

Ⅰ. 새마을사업의 계획과 추진자로서의 새마을담당공무원의 역할

Ⅱ. 새마을운동의 촉진자로서의 새마을지도자 양성과 새마을교육의 과정



제7장 새마을운동 추진과정에서의 자체조직화 동태에 의한 새마을정신의 창발과정

Ⅰ. 새마을운동의 시스템 동태과정과 리더십

Ⅱ. 새마을프로그램의 집행과정에서의 상호작용과 새마을정신의 창발



제8장 결  론

Ⅰ. 트리플 헬릭스 모형과 시스템 통합 모형에 의한 새마을운동의 추진

Ⅱ. 개발도상국의 지역공동체 발전전략과 새마을운동 추진에 주는 시사점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