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와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와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
저자 : 윤인진
출판사 : 이담북스
출판년 : 2010
ISBN : 9788926809822

책소개

이주 노동자의 결혼과 그들의 자녀에 대한 연구를 담은『한국인의 이주동자와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 다문화사회로 점점 더 변화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사회의 위험성과 갈등의 측면과 다문화사회에 대해 자세히 알고 준비할 수 있도록 다문화사회에 대해 안내한 책이다. 한국인의 외국인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다문화사회, 국민정체성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과 태도를 경험적인 사회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다문화사회에서 한국인이 외국인 및 이민자와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윤인진 저자와 그의 연구팀은 이주노동자의 한국경제 및 사회에 미친 영향과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조사는 사회조사 전문기관인 (주)리서치21이 2008년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전국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2009년 2월 17일 고려대학교에서 개최된 제4회 아시아인권포럼에서 발표되었고, 이후 수정/보완 작업을 거쳐 '이주노동자의 한국경제 및 사회에 미친 영향과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로 제출되었다.

다문화시대에서 다수집단과 소수집단 간에 공존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 조치와 국민의식의 변화가 뒤따라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저서에서는 이주노동자와 다문화사회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태도를 경험적으로 조사하고, 다문화적 소수자집단(이주노동자, 여성 결혼이민자, 다문화가정 자녀, 이주아동)의 실태를 파악하며, 이들의 권리와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한 정부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점을 모색하고 있다. 끝으로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고 다수집단과 소수집단이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머리에

01 서 론
1. 다문화사회로의 진입과 사회문제
2. 연구 목적과 필요성
3.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
4. 연구의 기대효과 및 활용

02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1. 이론적 논의
2. 주요 개념
3. 선행연구 검토
4. 요약

03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과 태도
1. 조사개요
2. 인구사회학적 특성
3. 분석결과

04 한국인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과 태도
1.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대한 태도
2. 소수인종집단에 대한 태도
3. 이주민에 대한 권리부여 인식
4. 외국인 이주자와 소수자들과의 사회적 거리감
5. 한국인의 국민정체성
6. 한국인의 국가 자부심

05 다문화적 소수자집단의 실태와 공존의 모색
1. 다문화정책의 방향
2. 다문화적 소수자집단 지원정책
3. 소결

06 결론
1. 요약
2. 결론
참고문헌
부 록
색 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