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문양과 패션
문양과 패션
저자 : 유현정
출판사 : 이담북스
출판년 : 2010
ISBN : 9788926816912

책소개

시각적 질감의 하나인 색채에 대한 이미지 연구들은 활발히 이루어져 있는 반면, 문양에 대한 이미지 연구가 매우 미흡하다고 판단, 이미지를 보는 기준의 중요성을 통감하여 연구하고 이 책을 출판하게 되었다.



저자는 형태 심리학의 대표 이론인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에 기초하여 복식에 나타난 문양 이미지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시하고, 문양 이미지 포지셔닝의 기준을 개발하였다. 나아가 20세기 동안과 2000년 이후 서양 패션에 나타난 문양들을 문양 이미지 포지셔닝에 적용하여 문양 이미지 경향을 살펴보며, 패션 트렌드들과 문양 이미지와의 관계까지 확장하여 살펴보았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인류의 모든 조형예술에서 문양은 각 지역, 민족, 시대의 정서와 문화적 성격이 가장 순수하게, 가장 명료하게 함축되어 표현된 집합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문양은 민족의 혼을 담아내는 중대한 의미가 있는 문화유산이며, 시대와 민족을 대신하는 조형기호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문양은 디자인의 3요소인 선, 색채, 재질에는 필수적으로 속하지 않지만 이 세 가지 디자인의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독립적인 디자인으로 볼 수 있기에 다른 디자인 요소들보다도 주의를 환기시키며 시선을 유도하는 힘이 뛰어나 의복의 시각적 효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반영한다.



저자는 이미지와 관련한 연구들에서 동일한 시각적 질감의 하나인 색채에 대한 이미지 연구들은 활발히 이루어져 있는 반면, 문양에 대한 이미지 연구가 매우 미흡하다고 판단, 이미지를 보는 기준의 중요성을 통감하여 연구하고 이 책을 출판하게 되었다. 먼저 문양에 대한 시공간을 모두 파악할 수 있는 포괄적이고 객관적인 시각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그 기준의 근저에는 게슈탈트 이론이 바탕이 되었다. 인간이 바라보는 외부의 객관적 대상은 인간의 정신세계와의 결합으로 실제의 대상과 인지되는 대상의 지각대응은 동일하지 않게 된다. 그 이유는 시각적 디자인 요소들의 개별적 지각이 하나로 통합되어 만들어진 전체적인 영상으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시지각의 해석과정을 바탕에 둔 이미지로서 뇌에 저장된다. 따라서 저자는 형태 심리학의 대표 이론인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에 기초하여 복식에 나타난 문양 이미지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시하고, 문양 이미지 포지셔닝의 기준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복식과 패션에 나타난 문양의 전반을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인 시각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나아가 20세기 동안과 2000년 이후 서양 패션에 나타난 문양들을 문양 이미지 포지셔닝에 적용하여 문양 이미지 경향을 살펴보며, 패션 트렌드들과 문양 이미지와의 관계까지 확장하여 살펴보았다.



이 책은 패션 디자인뿐 아니라 디자인을 공부하는 모든 이들에게 문양의 이해를 돕고, 문양을 객관화할 수 있는 이미지 포지셔닝의 기준을 제시하여 현재와 미래의 디자이너에게 디자인의 경향을 예측하고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침서 역할을 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Part1 문양의 개념 및 기능



1. 용어의 정의 및 개념

2. 문양의 시원 및 기능



Part2 복식에 나타난 문양을 보는 시각



1. 문양에 대한 선행연구

2. 게슈탈트(Gestalt) 시지각 이론

3. 복식에 나타난 문양 이미지를 보는 시각

4. 복식에 나타난 문양 이미지 포지셔닝의 기준 개발



Part3 20세기 서양 패션에 나타난 문양과 문양 이미지



1. 아르누보 스타일기(1900년~1910년)

2. 아르데코 스타일기(1910년~1920년대)

3. 엘레강스 스타일기(1930년대)

4. 뉴 로맨틱 스타일기(1945년~1950년대 중반)

5. 팝 스타일기(1950년대 후반~1970년대 중반)

6. 절충적 스타일기(1970년대 전후~1990년대)



Part4 20세기 서양 패션에 나타난 문양과 이미지 포지셔닝



1. 각 시기별 문양 이미지 포지셔닝

2. 문양 이미지 포지셔닝의 논의



Part5 2000년 이후 문양 이미지의 실증적 연구



1. 문양 이미지의 내용 분석 기준

2. 문양 이미지의 내용 분석과 포지셔닝



Part6 2000년 이후 패션 트렌드 분석과 문양 이미지



1. 클래식룩, 트래디셔널룩: 명료·질서

2. 엘레강스룩, 페미닌룩: 모호·질서

3. 로맨틱룩, 에콜로지룩, 에스닉룩, 빈티지룩: 모호·무질서

4. 팝룩: 명료·무질서

5. 종합적 논의



맺음말

참고문헌

그림 출처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