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이주민의 에스니시티와 거주지역 분석
이주민의 에스니시티와 거주지역 분석
저자 : 성공회대학교 노동사연구소
출판사 : 이담북스
출판년 : 2011
ISBN : 9788926828847

책소개

한국 사회에서 이주노동자가 차지하는 위상에 대해 고찰하는 『이주민의 에스니시티와 거주지역 분석』. 이 책은 한국과 본국 사회에서 동시에 경계인의 위상을 지니는 이주노동자들이 직면하는 문제들을 살핌으로써 정책적 지원과 현실의 괴리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성공회대 노동사연구소의 연구진은 현실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발견되는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사회과학의 가장 기본적인 책무라는 자세를 가지고 이주 노동자의 정착화 경향에 대한 조사 연구에 착수했다. 이 조사 연구의 결과 확인된 핵심적 사실은 한국에서도 국내 노동시장의 수급 관계를 조절하는 보완적 노동력으로 도입된 외국인 이주 노동자 집단의 정착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국내 이주 노동자는 이미 집단 거주지역을 형성하고 독자적인 사회적 네트워크를 조직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네트워크는 후속 이주를 촉진하는 통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체류 자격의 합법성 여부와 관계없이 장기 체류한 이주 노동자들은 본국과 유지하고 있는 사회적 네트워크가 약화되고 있으므로 돌아가기 어려운 조건에 놓이게 된다. 이와 함께 이주 노동자들은 한국과 본국 사회에서 동시에 경계인의 위상을 가지게 되었다.
세계화되어 가고 있는 한국 사회는 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보편적 가치관에 입각한 정책 기조에 입각한 외국인 정책을 수립해야 하는 단계에 도달하고 있다는 사실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회과학 연구에서도 외국인 이주 노동자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가 사실은 한국 사회에서 은폐되어 있던 병리적 현상이 반영되고 있다는 사실에 입각한 분석 시각이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 문

01 한국의 이주노동자와 다문화 담론
_ 이종구

제1장 문제의 제기: 이주민과 사회통합
제2장 이주노동자의 기능과 위상
제3장 이주노동자의 정착 실태: 시각과 자료
제4장 조사 연구의 결과와 함의

02 재한(在韓) 중국동포의 에스니시티 변용
-서울의 서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_ 이종구·임선일

제1장 중국동포의 에스니시티
제2장 에스니시티와 이주민의 이론적 검토
제3장 에스니시티의 유형과 사례
제4장 에스니시티 변용 과정과 사회적 네트워크
제5장 마무리

03 중소제조업의 인력수급과 이주노동자
-마석가구공단를 중심으로-
_ 박준엽

제1장 머리말
제2장 연구방법
제3장 마석공단 및 공단 내 사업체들의 특성
제4장 지역노동시장의 상황과 이주노동자
제5장 외국인력의 도입과 관련한 정책과제
제6장 맺는말

04 한국사회 이주민의 문화변용
-구로의 중국동포와 마석공단의 이주노동자-
_ 임선일

제1장 서론
제2장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제3장 문화충격과 문화변용
제4장 마무리

05 귀화 조선족의 정체성과 국적의 탈신성화
_ 김현선
제1장 머리말
제2장 연구쟁점 및 방법
제3장 한국 국적제도와 조선족의 국적취득 현황
제4장 조선족의 정체성과 국적의 탈신성화
제5장 맺음말

06 기독교 선교와 이주노동자
-구로와 남양주를 중심으로-
_ 권진관

제1장 머리말: 이주노동자와 사회선교
제2장 이주 선교의 현장
제3장 외노선교와 과제와 지도력
제4장 마무리: 이주노동자 운동과 사회선교의 과제

07 한국인의 시선
-경기도 마석 가구공단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의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_ 박경태

제1장 머리말
제2장 집단 거주를 둘러싼 논의들
제3장 연구의 설계
제4장 연구의 내용
제5장 마치며

08 다문화 사회 실현을 위한 과제
_ 이종구
다문화 사회 실현을 위한 과제


조사 연구의 내용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