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신라기와연구 (불국토를 바라던 신라인의 예술적 숨결, 기와)
신라기와연구 (불국토를 바라던 신라인의 예술적 숨결, 기와)
저자 : 김유식
출판사 : 민속원
출판년 : 2014
ISBN : 9788928506347

책소개

『신라기와연구』는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 기와 문양의 변천 과정을 분석하여 도입과 발전, 쇠퇴 과정 그리고 신라 기와가 독창성 있게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본 책이다. 기와를 생산한 장인, 생산 관련 시설을 짚어보고 특히 암막새와 수막새, 푸른 유약을 입힌 기와, 특수기와, 기왓가마터에 관해 알 수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불국토를 바라던 신라인의 예술적 숨결, 기와



신라기와는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에 걸쳐 왕경 경주의 건물에 사용된 기와를 지칭한다. 기와는 건축물의 가장 위쪽에서 하늘과 맞닿으며 신과 인간의 세계를 구분하는 경계선으로, 옛 사람들은 다양한 문양이 새겨진 기와로 건축물을 장식하여 위엄을 드러냈다. 기와는 국가·지역 또는 시대에 따라 문양과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하고 발전하며 소멸하여, 그 시대의 사회상과 당시 사람들의 생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경주의 여러 유적지에 흩어져 있는 기와조각들은, 파편일지라도 그 유적의 나이를 짐작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통일신라시대 기와는 신라인들이 이상적인 불국토를 현실세계에 나타내고자 건축물을 아름답게 장엄하였던 결정체이다. 우리들은 기와를 통해 신라시대 조상들의 예술정신을 오늘날에도 만나볼 수 있고, 또한 동아시아 최고의 경지에 이른 장인들의 예술혼을 느낄 수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제1장 서론

1. 연구사 검토

2. 관련 사료 검토

3. 신라 기와 연구의 문제점



제2장 신라 기와의 원류

1. 중국 남북조시대의 기와

2. 중국 수·당시대의 기와

3. 고구려의 기와

4. 백제의 기와



제3장 신라 기와의 형식적 특징과 양식의 변천

1. 세부현상과 형식적 특징

2. 시기별 양식의 특징

3. 편년



제4장 신라 기와의 생산체계와 대외교류

1. 생산체계

2. 대외교류



제5장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찾아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