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몽골 구비서사문학과 문화의 상관성 연구
몽골 구비서사문학과 문화의 상관성 연구
저자 : 이안나
출판사 : 민속원
출판년 : 2019
ISBN : 9788928512744

책소개

몽골 유목문화는 말과 운율이 중시되는 청각문화가 중심이 되어, 현장성과 대상과의 공감력을 중시하는 감성문화의 경향으로 그 전통을 이어왔다. 이와 같은 특성은 몽골인의 의식구조, 삶의 방식에 큰 영향을 미쳐 왔으며, 그들의 고유한 특질로 자리해 구전문학과 풍속 등에 반영되어 왔다. 몽골인들은 말은 살아있으며, 말로 전하는 모든 것은 생명력이 있다고 말한다. 자연 생태적이고 유목적인 삶이 미학적으로 형상화된 구전문학은 몽골 유목문화의 다층적 면모를 생동감 있게 보여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문

1장 - 몽골 구비서사문학 속의 인물 모티프와 문화적 의미

01. 몽골 고대서사 문학에 나타난 ‘막내’에 대한 형상과 사회·문화적 의미 고찰
1. 들어가기
2. 막내아들 - 불을 지키는 자
3. 약자의 반전 - 지역의 권력자
4. 막내의 사회?문화적 의미
5. 맺음말

02. 몽골 구비서사문학 속의 어린아이 형상과 그 문화적 함의
1. 들어가기
2. 설화 속의 어린아이 형상 - 상상의 증폭
3. 영웅서사시 속의 어린아이 형상 - 상징의 증폭
4. 어린아이 형상의 문화적 함의
5. 주체적 어린이의 현대적 의미
6. 맺음말

2장 - 몽골 구비서사문학에 나타난 기형 모티프와 문화적 의미

03. 몽골 고대 서사문학에 나타난 기형 모티프와 신성에 대한 알레고리 1-동물 기형을 중심으로-
1. 들어가기
2. 동물 기형 - 신성의 신체 비틀기
3. 나가기

04. 몽골 고대 서사문학에 나타난 기형 모티프와 신성에 대한 알레고리 2-외눈박이의 대장장이 화소를 중심으로-
1. 들어가기
2. 외눈박이와 대장장이
3. 나가기

3장 - 구비서사문학과 민속에 나타난 몽골 유목민의 생활과 문화

05. 몽골 유목민의 ‘중심’에 대한 의식과 생태적 세계관 -창세신화와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1. 들어가기
2. 창세신화 속의 세계중심
3. 주거공간 속의 세계중심
4. 맺음말

06. 몽골 유목민의 색채민속과 그 문화적 함의 -흑백 색채를 중심으로-
1. 들어가기
2. 서사문학 속의 흑백 색채
3. 기층신앙 속의 흑백 색채
4. 생활의례 속의 흑백 색채
5. 맺음말

07. 활쏘기를 통해 본 몽골 신화상의 후흐데이 메르겐의 형상과 성격
1. 들어가기
2. 후흐데이 메르겐의 형상과 성격
3. 맺음말

4장 - 한·몽 구비서사문학과 비교 문화

08. 몽골과 한국의 물 상징성에 대한 비교 고찰 - 구비서사 문학과 민속을 중심으로-
1. 들어가기
2. 창조의 원수原水
3. 생명 탄생의 근원
4. 생명의 원기, 영생수
5. 통과의례와 물
6. 물의 신앙적 의미
7. 물의 정화, 재생, 치유력
8. 장애물, 죽음, 별리別離
9. 맺음말

09. 한국과 몽골인의 영혼관에 대한 비교 연구 -사령死靈을 중심으로-
1. 들어가기
2. 한국과 몽골인의 영혼에 대한 이해
3. 육체혼과 자유혼
4. 세 가지 혼
5. 맺음말

미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