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민속지식의 인문학
민속지식의 인문학
저자 : 배영동
출판사 : 민속원
출판년 : 2020
ISBN : 9788928514786

책소개

민속지식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의 필요성은 자명해진다. 특히 민속학에서 민속현상을 민속지식이라는 관점에서 연구하는 것은 민속학을 더 원론적인 차원에서 접근할 것을 요청한다. 사람들은 왜 집단을 이루면서 사는가, 특정 집단이 만든 삶의 방식과 형태는 왜 그러해야 하는가, 그들의 사회조직, 시간 배분과 이용, 이야기, 신앙, 의례, 놀이, 예술, 생산활동, 음식, 복식, 주거 등은 왜 그런 형식과 논리를 갖추어 실천되고 있는지에 대한 해명을 필요로 한다. 이런 삶의 여러 요소는 어느 것 하나 우연히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집단 구성원들의 발상과 동의의 과정을 수없이 거치면서 조정되어 축적된 지식의 결과적 형태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1부|민속지식 연구의 시선과 성과 활용



분류적 인지의 민속지식 연구의 가능성과 의의 |배영동|

1. 민속의 기초로서 지식

2. 분류적 인지의 민속지식 실제

3. 분류적 인지의 주체별 차이

4. 분류적 인지의 민속지식 연구 의의



옹기 장인들의 불에 대한 민속지식과 민속분류 |김재호|

1. 지식의 개념과 옹기 장인들의 민속지식

2. 옹기 소성과정과 불의 민속분류

3. 불에 대한 민속분류와 민속지식의 관계

4. 옹기 장인들의 불 분류가 갖는 의의



옹기장인의 옹기제작기술과 전통지식 |김재호|

1. 전통지식의 개념과 선행연구검토

2. 재료 준비과정상의 전통 기술과 지식

3. 성형과정상의 전통 기술과 지식

4. 소성 과정상의 전통 기술과 지식

5. 옹기장인의 전통지식의 범주와 분류

6. 옹기장인의 전통지식이 갖는 특징과 의의



민속지식의 취업 현장 활용을 위한 독일민속학계의 노력과 연구 |이상현|

1. 시작하며

2. 전공학생 취업에 대한 이론적 논의: Volkskunde와 문화분석

3. 전공학생 취업을 위한 방법론: 독일민속학회와 개별 연구소의 활동

4. 마무리



2부|민속지식 인식의 국면과 다양성



민속지식의 세계 인식과 구비문학의 지식 기능 |임재해|

1. 새 지식으로서 민속지식을 포착하는 길

2. 민속학의 열쇠말로서 ‘민속지식’의 자리매김

3. 지식체계의 고정관념을 극복하는 민속지식의 세계

4. 외국지식과 전문지식에 대한 민속지식의 가치인식

5. 오래된 미래의 민속지식과 구비문학의 미디어 기능

6. 구술자료의 네 층위 인식 및 정보와 지식의 분별

7. 구비역사와 구비문학에 담긴 구비철학의 지식 기능

8. 구비문학의 지식 읽기와 해석 역량의 독창성

9. 기억되고 상상된 구비문학 지식의 인문학적 가치

10. 박물관과 도서관을 겸하는 구비문학 지식 기능



탯줄과 출산문화로 본 민속지식의 태아생명 인식 |임재해|

1. 언어적 질문과 탯줄의 문화적 상상력

2. ‘새끼’와 ‘금줄’의 일반화 오류와 금줄문화

3. 탯줄 이전의 태아인식과 ‘3신’ 논의의 비약

4. 삼신본풀이로 본 민속지식의 태아생명 인식

5. 삼신본풀이의 아기받기와 삼 가르기 민속지식

6. 육아 민속지식의 전통과 만나는 애착육아법

7. 새끼와 탯줄에 얽힌 신화적 갈래 인식의 착종

8. 주술적 반어법 ‘새끼’의 몰이해에 따른 착종

9. 민속지식이 포착한 출산문화와 태아생명 인식



여성 민속지식의 전승과 그 소외 또는 순치의 국면 |천혜숙|

1. 민속지식과 여성

2. 여성 민속지식의 전승맥락과 양상

3. 여성 민속지식의 소외 또는 순치馴致의 국면

4. 마무리



1960~80년대 운동권 지식인의 민요 인식과 민속학자의 민중 인식 |이상현|

1. 들어가며

2. 운동권 지식인의 문화운동과 민요 인식

3. 민속학자의 민속전승과 민중 인식

4. 나오며



3부|민속지식의 논리와 전승 원리



한식韓食에 담긴 전승문화적 논리와 지식 그리고 가치 |배영동|

1. 한국문화의 일부로서 한식

2. 한식의 성립과 전형성

3. 한식에 담긴 문화적 논리와 지식

4. 한식에 담긴 문화적 가치

5. 한식 정책은 한식의 문화적 가치 살리기



공동지식의 재현으로서 구술기억의 의미망과 분석 실제 |이영배|

1. 구술기억의 구성 문제와 논제 설정

2. 구술기억의 다중적 의미망과 경향성

3. 기억이 닻을 내린 장소의 속성들

4. 회상을 매개로 형성된 원형기억

5. 망자숭배의 성聖화된 사후기억

6. 기억의 분기分岐와 갈등, 또는 정치

7. 기억의 선별 문제와 경계의 횡단



무속 치병治病의례의 유형과 치병 원리 |이용범|

1. 무속 치병 원리에 대한 관심

2. 무속 치병의례의 유형과 치병 원리

3. 무속 치병의례의 중심 원리

4. 무속 치병 원리의 의의



1899년, 가뭄과 기우제 그리고 전차 폭동 |이진교|

1. 가뭄과 기우제

2. 가뭄의 전개와 사회적 갈등의 심화

3. 전차 폭동과 국행 기우제

4. 사회적 갈등과 봉합의 드라마



참고문헌

찾아보기

글쓴이 소개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