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문화유산의 근대와 탈근대
문화유산의 근대와 탈근대
저자 : 정수진
출판사 : 민속원
출판년 : 2021
ISBN : 9788928515820

책소개

문화유산,
문화적 정체성의 표상인가?
문화소비 시장의 상품인가?

그사이 내 연구 관심은 무형문화재에서 유형문화재로 넓어졌고 연구 대상의 시공간 역시 ‘지금 여기’로 확장되었다. 개인적 관심사의 변화라기보다는 오히려 문화유산을 둘러싸고 금세기에 펼쳐진 정치사회적 지각 변동의 징후들을 추적한 결과였다. 이 책에선 그 연구 성과들을 매만져 두 다발로 묶었다. 문화유산의 근대와 탈근대가 그것이다. ‘문화유산의 근대’에서는 일제 강점기부터 현재까지 문화유산에 대한 오랜 사유방식이 자명하게 통용·재생산되는 상황과 국면을 비판적으로 고찰했다. ‘문화유산의 탈근대’에서는 유네스코 체제와 함께 기존 사유방식의 작동 오류, 모순과 이탈의 현장을 천착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머리에

일러두기



1부

_

문화유산의 근대

_



1장 숭례문과 ‘원형’론

_

1. 들어가며

2. 문화유산 보존 원칙의 성립

3. 숭례문의 원형 논쟁

4. 숭례문의 화재와 원형 복원

5. 맺으며



2장 문화재보호 제도와 ‘전통’론

_

1. 문화재와 전통

2. 문화재보호법 이전의 전통론

3. 문화재보호법과 전통론

4. 전통론의 균열과 아이러니



3장 조선 음악가와 ‘조선음악’의 곤경

_

1. 들어가며

2. 조선음악의 권위자

3. 음악적 권위의 정치적 종속

4. 민족음악의 대의와 국악의 위치

5. 맺으며



4장 여성국극은 ‘무형문화재’가 아니다

_

1. 들어가며

2. 창극의 등장과 혼종화

3. 여성국극의 형성과 대중화

4. 여성국극의 쇠퇴와 무형문화재로부터의 배제

5. 맺으며



5장 한국민속예술축제와 무형문화재 제도

_

1. 들어가며

2. 무형문화재의 산실론

3. 경연대회의 비판론

4. 무형문화재 산실론에 대한 비판론

5. ‘민속예술’이라는 예술

6. 맺으며



6장 한국과 일본의 무형문화재 제도와 그 향방

_

1. 들어가며

2. 무형문화재 제도의 성립

3. 민속자료에서 민속문화재로

4. ‘원형原形’과 ‘고도高度’ 사이

5. 문화유산의 정치성



2부

_

문화유산의 탈근대

_



7장 무형문화재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

_

1. 들어가며

2. 무형문화재와 무형문화유산

3. 무형문화재와 ‘추억의 질서’

4. 무형문화재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

5. 맺으며



8장 ‘무형문화유산 협약’의 한국적 수용

_

1. 유네스코 체제와 문화정치학

2. 유네스코 체제와 무형문화유산의 보호

3. 무형문화재의 분법화

4. 무형문화재의 재편

5. 남겨진 문제



9장 유네스코 체제와 아리랑의 ‘관요화官謠化’

_

1. 들어가며

2. 통속민요와 향토민요 사이에서

3. 아리랑의 유네스코 등재

4. 유네스코 등재 이후

5. 맺으며



10장 무형문화유산의 박물관 전시

_

1. 들어가며

2. 박물관과 박물학적 시계視界의 성립

3. 박물관과 문화적 다양성의 상징적 포섭

4. 무형문화유산과 박물관

5. 아리랑의 박물관 전시

6. 맺으며



11장 ‘근대문화유산’의 제도화

_

1. 들어가며

2. 근대문화유산 등록 제도의 성립

3. 근대에 대한 한·일 양국의 엇갈린 시선

4. 근대문화유산의 관광화



12장 근대 문화유산의 탈근대

_

1. 들어가며

2. 근대문화유산의 문화정치학

3. 근대문화유산의 탈정치화

4. 익선동을 통해 본 근대문화유산의 향방

5. 근대문화유산의 탈근대



참고문헌

찾아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