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무정부 사회 (세계정치에서의 질서에 관한 연구)
무정부 사회 (세계정치에서의 질서에 관한 연구)
저자 : 헤들리 불
출판사 : 나남
출판년 : 2012
ISBN : 9788930085670

책소개

세계정치에 질서는 존재하는가?

세계정치에서의 질서에 관한 연구『무정부 사회』. 이 책은 1997년부터 1985년까지 옥스퍼드대학 국제관계학 교수를 역임한 저자 헤들리 불의 저서로, 국가들이 하나의 국제사회를 형성한다는 견해를 매우 정교하게, 그리고 설득력 있게 그린 책이다. 국제관계론 분야에서 ‘영국학파’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는 이 책은 국가들 간의 복잡한 관계를 단순히 ‘국가들의 체제’로만 보지 않고, 하나의 국제사회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세계정치에서 질서의 개념부터 세계정치에서 질서가 어떻게 유지되는지, 현대 국제체제에서의 질서의 의미와 세계질서로 가는 대안적 경로 등을 세세하게 짚어냈다. 또한 국제정치를 분석하는 다양한 관점과 개념적 도구들을 일목요연하게 소개하고, 국제관계에 관한 근대의 이론들을 역사적 사실들과 함께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국가들이 하나의 국제사회를 형성한다는 견해를 매우 정교하게, 그리고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또한 기존의 안이한 입장들을 뒤흔드는 능력, 설명의 명쾌함, 글의 날카로움과 지적 엄격함 때문에 국제정치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교재로 꼽힌다.
《무정부 사회》는 주장이 명쾌하고 문장이 명료하여 오늘날 고전 반열에 오른 책이다. 이 책은 국제관계론 분야에서 ‘영국학파’의 걸작으로 평가된다. 국제관계에 대한 영국적 접근의 독창성은 국가들간의 복잡한 관계를 단순히 ‘국가들의 체제’로만 보지 않고, 하나의 국제사회를 형성하는 것으로 본다는 데 있다.
헤들리 불(Hedley Bull, 1932~1985)의 저작에 나타난 방법과 접근법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가치가 있다. 그는 제대로 된 학문적 연구를 하려면, 알쏭달쏭한 보편적 사회과학자의 연구방법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언어적?문화적?역사적 지식이 있어야 함을 보여준다. 그런 지식이 있어야 시간과 장소에 따라 국제사회와 세계사회에 대한 다양한 이해가 존재한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불의 국제관계론은 미국의 사회과학인 ‘국제관계’ 그 이상의 것이다. 그의 견해가 미국과 유럽 이외의 지역, 예를 들면 남미와 일본에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이 책은 현대 국제체제를 이해하는 하나의 접근방법이 될 수 있다. 현대 국제체제에서는 경제적 상호의존이 불가피하고, 공통의 규칙과 제도가 촘촘한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으며, 핵전쟁 위험 때문에, 또한 경제적 상호의존에서 발생하는 충돌은 전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점 때문에 무력의 효용은 감소하고 있다. 또한 현대 국제체제에서도 국가는 여전히 주요한 행위주체이다. 문화적 다양성으로 ‘문명간의 전쟁’으로까지 치달을 것 같지는 않지만 국제사회의 견고성에 의문이 생기고, 종종 국제사회의 규칙에 대한 다툼이 생긴다. ‘국제레짐’ 이론가들이 탐구해온 이기적 행위자들간의 협력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저자가 이 책에서 제기한 문제와 분석틀은 세계정치에서 질서문제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
국제관계는 ‘무정부적’ 성격을 지녔고, 세력균형을 평화보장의 중요한 ‘제도’라고 보는 점에서 저자는 현실주의 전통에 서 있다. 그러나 동시에 국가간 이해(利害)관계의 조화가 가능한 ‘사회’를 형성하고 있다고 보는 점에서 이상주의 요소도 내포하고 있다. 또한 규칙과 제도들의 중요성을 인정한다는 점에서는 제도주의와 유사하다. 문화?인식?정체성 등의 인지적 요인들을 중요하게 고려한다는 점에서는 구성주의와 비슷하다. 현 시점에서 보면, 이러한 ‘종합적’ 관점은 새로울 것도 없고, 보기에 따라서는 모호하기까지 하다. 스탠리 호프만이 지적한 것처럼, “마키아벨리적 또는 홉스적 견해를 가진 사람들이 보기에는 ‘그로티우스적’이고, 칸트적 또는 세계시민주의적 견해를 가진 사람들이 보기에는 국가중심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이 분야의 교과서로 널리 사용되는 이유는 국제정치를 분석하는 다양한 관점과 개념적 도구들을 일목요연하게 소개하고, 국제관계에 관한 근대의 이론들을 역사적 사실들과 함께 체계적으로 정리하였기 때문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ㆍ옮긴이 머리말 5
ㆍ제3판 머리말 15
ㆍ제2판 머리말 41
ㆍ머리말 51

서론 55

제1부 세계정치에서 질서의 성질

제1장 세계정치에서 질서의 개념 63
1. 사회생활에서의 질서 63
2. 국제질서 69
3. 세계질서 87

제2장 세계정치에 질서는 존재하는가 91
1. 국제사회의 관념 93
2. 국제사회의 현실 117
3. 국제사회의 한계 131

제3장 세계정치에서 질서는 어떻게 유지되는가 133
1. 사회생활에서 질서의 유지 133
2. 근대국가에서의 질서 138
3. 원시 무국가 사회에서의 질서 141
4. 국제사회에서의 질서 149
5. 기능적 설명과 인과적 설명 161

제4장 세계정치에서의 질서 대 정의 163
1. ‘정의’의 의미 165
2. 질서와 정의의 양립가능성 175
3. 우선순위의 문제 185

제2부 현대 국제체제에서의 질서

제5장 세력균형과 국제질서 195
1. 세력균형 195
2. 세력균형의 기능 204
3. 세력균형의 오늘날의 적실성 213
4. 상호핵억지 220
5. 상호핵억지와 세력균형 226
6. 상호핵억지의 기능 229

제6장 국제법과 국제질서 235
1. 국제법의 성질 235
2. 국제법의 실효성 249
3. 국제질서에 대한 국제법의 공헌 254
4. 국제법의 한계 256
5. 현대 국제법 261
6. 국제법의 주체 271
7. 국제법의 범위 273
8. 국제법의 법적 근원 278
9. 국제법학자의 역할 281

제7장 외교와 국제질서 285
1. 외교 285
2. 외교의 기능 297
3. 외교의 오늘날의 적실성 301

제8장 전쟁과 국제질서 317
1. 전쟁 317
2. 근대 국가체제에서의 전쟁 320
3. 오늘날의 전쟁 324

제9장 강대국과 국제질서 337
1. 강대국 337
2. 강대국의 역할 344
3. 오늘날의 강대국 372

제3부 세계질서로 가는 대안적 경로들

제10장 현대 국가체제에 대한 대안 377
1. 국가체제에 대한 대안 377
2. 국가체제를 넘어서 397

제11장 국가체제의 쇠퇴? 그리고 각종 장려정책 409
1. 체제이지만 사회는 아닌 형태 409
2. 주권국가들은 존재하지만 체제는 아닌 형태 412
3. 세계정부 414
4. 신중세주의 417
5. 세계정치체제 434

제12장 국가체제의 낙후성? 443
1. 평화와 안전보장 444
2. 경제적ㆍ사회적 정의 451
3. 인간과 환경 457
4. 국가체제와 세계질서 460

제13장 국가체제의 개혁? 463
1. 강대국 협조체제: ‘키신저 모델’ 463
2. 범지구적 중앙집권주의: 급진적 구세주의 모델 468
3. 지역주의: 제3세계 모델 473
4. 혁명: 마르크스주의적 모델 481
5. 국제사회의 전망 487

제14장 결 론 491

ㆍ옮긴이 해제 495
ㆍ찾아보기 503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