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유대교와 헬레니즘 1 (기원전 2세기 중반까지 팔레스타인을 중심으로 한 유대교와 헬레니즘의 만남 연구)
유대교와 헬레니즘 1 (기원전 2세기 중반까지 팔레스타인을 중심으로 한 유대교와 헬레니즘의 만남 연구)
저자 : 마르틴 헹엘
출판사 : 나남
출판년 : 2012
ISBN : 9788930086219

책소개

유대교의 다양한 문화적 현상을 역사적 사건들과 연결하여 해석하는 『유대교와 헬레니즘』 제1권. 이 책은 서양고대사와 문화사를 통해 유대교와 기독교 신학의 근간이 되는 토라와 지혜, 묵시사상을 해석하도록 유도한다. 기원전 2세기 중반까지 팔레스타인을 중심으로 한 유대교와 헬레니즘의 만남에 이르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당신의 정치, 군사, 경제, 사회, 문화, 언어, 교육에 관한 방대한 정보를 소재로 삼아 역사학적 상상력으로 역사적 과정들을 재구성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서구문명과 기독교는 동전의 양면과도 같다. 그 기원은 통상적으로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 자체가 복잡한 역사적 배경을 가진 종교·문화사적 개념이기에 그 실체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독일의 저명한 신약성서학자이자 고대유대교 연구의 석학 마르틴 헹엘(Martin Hengel)은 이 거대한 종교·문화사적 기원에 대한 질문들을 이 방대한 저서에서 ‘유대교’와 ‘헬레니즘’이라는 키워드로 풀어낸다.

헬레니즘은 고대 그리스문명에서 발원하여 기원전 4세기 후반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정벌로 형성된 동서양 문명복합체였다. 그런가하면 고대 이스라엘 종교적 전통에서 발원한 유대교는 이 시기 팔레스타인에서 헬레니즘에 대하여 저항과 동화의 과정을 통하여 ‘헬레니즘적 유대교’라는 형태로 틀을 잡아가고 있었다. 저자는 이것이 고대 기독교의 산실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19세기 이후 서구의 종교학과 성서신학의 드넓은 토양을 제공했던 종교사학파의 명제에 대한 결정적인 반론이다. 요컨대, 기독교는 헤브라이즘과 헬레니즘의 혼합주의에서 나온 것이 아니다. 기독교의 모태는 ‘헬레니즘적 유대교’요, 이 시기 유대교의 종파적 개혁운동의 결과이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숨진 후, 그 후계자들인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와 시리아의 셀레우코스 왕국의 틈바구니 속에서 유대인들은 로마의 지원과 국내 하시딤의 지원을 받아 마카베오 항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기원전 143∼63년까지 팔레스타인에서 이른바 ‘유대 성전국가’라는 독립된 왕국을 형성할 수 있었다. ‘세계화’된 헬레니즘에 의해 지중해 연안이 하나의 경제권과 문화권으로 통합되면서 당시 팔레스타인은 헬레니즘 제국들이 추진하는 ‘국가자본주의’에 깊이 편입되고 있었다. 군사와 경제가 혼합된 통치체제는 일상화된 착취체제를 만들어 놓았다. 거대한 국부(國富)의 유출사슬은 예루살렘 중심의 귀족 정치가들에게서 시작되어 가장 말단에 있는 세금관리들에 의해 완결되었다.

그런가 하면 ‘헬레니즘적 유대교’는 당시 통용되던 그리스어 코이네(koin?)를 통해 유대인들의 종교와 삶에 깊숙이 파고들었다. 코이네는 헬레니즘 문화를 세계화하는 가장 실제적인 매체였다. 사람들의 이름은 물론, 교육과 경제, 무역에 이르는 사회와 문화 전반의 관용어(官用語)로 사용되었다. 무엇보다도 문학작품과 역사기술, 더 나아가 구약성서의 그리스어 번역인《70인경》이 번역되고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저자는 유대교의 이러한 다양한 문화적 현상을 세밀한 역사적 사건들과 결부시켜 해석하는데, 고대시대의 비문과 문헌, 구약성서의 정경(政經)과 외경(外經) 등 매우 전문적인 자료들을 통하여 분석한 후, 다시 유대교의 종교사상을 신학적으로 깊이 파고든다. 이 책의 가장 큰 강점은 바로 서양고대사와 문화사를 통해서 유대교와 기독교 신학의 근간이 되는 토라와 지혜, 묵시사상을 해석해내는 데 있다. 현재 우리나라 학계에서 이 시기 팔레스타인의 사상을 이토록 전문적으로 고증해낸 연구서는 없었다. 이 책은 그를 가히 세계적인 석학의 자리로 이끌 만한 깊이를 보여주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추천사 / 김세윤 7
-옮긴이 머리말 15
-제3판 머리말 29
-제2판 머리말 37
-제1판 머리말 39

서론 41

제1부 팔레스타인에서 유대교와
초기 헬레니즘 문명의 만남


제1장 팔레스타인의 역사적 틀: 프톨레마이오스와 셀레우코스 왕조의 전략적 요충지 55
제2장 그리스-헬레니즘적 군무(軍務)와 유대인 77

제3장 헬레니즘적 지배하 팔레스타인의 행정과 세금 97
1.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행정과 과세 조직 97
2.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행정과 유대 성전국가 113
3. 당시 유대인이 평가하는 국가권력 133

제4장 팔레스타인의 무역, 경제, 사회제도에 미친 헬레니즘의 영향 143
1. 헬레니즘 이전시대의 그리스 영향 143
2. 프톨레마이오스 통치영역의 경제적, 사회적 상황 153
3. 프톨레마이오스 통치하 팔레스타인의 경제적 발전 165
4. 팔레스타인의 유대교에 준 영향 191

제5장 요약: 팔레스타인의 비종교적 세력으로서의 헬레니즘 문명 211

제2부 헬레니즘의 문화적 위력과 팔레스타인의 유대인에게 미친 영향

제1장 팔레스타인의 유대교와 그리스어 221
1. 팔레스타인에서 그리스어의 확산 221
2. 그리스식 이름의 확산 230

제2장 그리스 교육과 교양교육, 팔레스타인 유대교 243
1. 헬레니즘과 교육의 영향력 243
2. 팔레스타인의 그리스 교육과 교양교육 및 유대교에 준 영향 258
보설(補說) 1. 유대교 학교의 발전에 대하여 279

제3장 팔레스타인의 그리스 문학과 철학 293
1. 비유대 팔레스타인과 페니키아에 준 헬레니즘의 정신적 영향 293
2. 그리스어로 기록된 팔레스타인의 유대교 문학 309
보설(補說) 2. 헬레니즘시대 유대?팔레스타인의 역사기술 344

제4장 요약: ‘헬레니즘적 유대교’로서 팔레스타인의 유대교 357

-부 록 367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