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고유성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고유성
저자 : 최성재|조흥식|한인영|김경미|이영분|윤현숙|유수현|김성천|최혜지
출판사 : 집문당
출판년 : 2013
ISBN : 9788930315968

책소개

한국의 사회복지실천의 고유성을 검토하고 있다. 외국에서 개발된 이론(교과서)의 한국 실천현장에서의 일반화 가능성, 타당도를 정리하면서 한국의 토양에 맞는 사회복지실천(이론)의 토착화를 위하여 교육 지점, 실천적용 지점, 비수용 지점에서의 과제를 도출하였다.



한국사회복지실천의 발전을 위하여 저자들은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설문응답을 검토하여 나름의 대안을 모색하였다. 우선 교육과 현장을 조화시키기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달리’ 가르쳐야 할 것인지를 정리하여 제안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실천 대상에 따른 통합과 초점화(특화)의 이슈를 검토하고, 사회복지사들이 실제로 많이 수행하지만 학교에서는 잘 가르쳐주지 못하는 간접적 실천 및 부수적 역할의 가치와 의미를 재해석하고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으며, 통합적인 시각을 지닌 사회복지사들의 강점을 살려 사례관리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며, 전문직으로서 사회복지사들을 옹호하는 체계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추가적으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요건을 제안하였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한국의 사회복지실천의 고유성을 검토하고 있다.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고유성이라는 주제는 두 가지 차원으로 볼 수 있다. 첫 번째 차원으로 한국사회복지실천에 영향을 주었던 외국의 사회복지실천과 어떤 다른 측면이 있느냐에 관한 ‘토착화’ 차원이다. 한국의 사회복지실천은 구미(歐美)의 표준에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실제로 많은 대학 교수들이 구미(歐美)에서 수학하였고, 거기서 배운 이론을 한국의 학생과 실무자에게 전달해주고, 현장의 사회복지사들이 이를 적용하는 과정으로 이식되어 왔다. 외국에서 얻어온 ‘외래종 씨앗’이 ‘한국적 토양’에서 잘 자라날 것인가? 혹은 ‘한국적 토양’에서 적절한 변이를 이루어낼까? 새롭게 생겨난 ‘자생종 씨앗’으로서 실천지혜와 이론이 과연 생겨날 수 있을까에 대한 의문이었다. 이는 외국에서 개발된 이론(교과서)의 한국 실천현장에서의 일반화 가능성,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한 질문과 인터뷰로 확인을 하였다. 그 가운데 한국에 잘 맞는 부분도 있지만 잘 맞지 않는 부분이 분명히 확인되었고 대안도 논의되었다. 이를 정리하면서 한국의 토양에 맞는 사회복지실천(이론)의 토착화를 위하여 교육 지점, 실천적용 지점, 비수용 지점에서의 과제를 도출하였다.

두 번째 차원으로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고유성이라는 주제는 타 전문직과의 ‘차별성’을 확인하면서 검토되어야 한다는 ‘차별화’ 차원이다. 사회복지직은 대표적인 원조(도움) 전문직이다. 하지만 인간의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도움을 주는 수많은 다른 이름의 전문직이 존재한다. 예를 들자면 의사, 간호사, 상담사, 건강가정사, 공무원 등인데, 이들과 사회복지사는 타인을 위해 일을 하는 인간봉사직이라는 교집합이 있다. 하지만 이들과 사회복지사를 구별해주는 핵심적인 가치와 역량은 무엇인지 확인, 사회복지사만이 가지고 있는 차집합을 가려내는 일은 분명히 필요하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타전문직에 대한 차별성을 확인하면서 정체성 측면, 역할 측면, 관계 측면, 과정 측면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을 도출하여 정리하였다.

한국사회복지실천의 발전을 위하여 저자들은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설문응답을 검토하여 나름의 대안을 모색하였다. 우선 교육과 현장을 조화시키기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달리’ 가르쳐야 할 것인지를 정리하여 제안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실천 대상에 따른 통합과 초점화(특화)의 이슈를 검토하고, 사회복지사들이 실제로 많이 수행하지만 학교에서는 잘 가르쳐주지 못하는 간접적 실천 및 부수적 역할의 가치와 의미를 재해석하고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으며, 통합적인 시각을 지닌 사회복지사들의 강점을 살려 사례관리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며, 전문직으로서 사회복지사들을 옹호하는 체계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추가적으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요건을 제안하였다.

한국의 사회복지실천 전반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실천 영역에 속한 연구진이 참여해야 했다. 연구진들은 사회복지실천이 이루어지는 대표적 실천의 장을 8분야로 나누어 논의하기로 하였다. 우선 대표저자인 서울대 최성재 교수는 연구 전반을 관리하면서 노인복지분야(3장 3절)를 집필하였다. 아동 및 청소년복지분야(3장 2절)는 이화여대 한인영 교수가, 장애인복지분야(3장 4절)는 숭실대 김경미 교수가, 가족복지분야(3장 5절)는 건국대 이영분 교수가 맡아서 집필하였다. 또한 의료사회복지분야(3장 6절)는 한림대 윤현숙 교수가, 정신보건사회복지분야(3장 7절)는 숭실대 유수현 교수가, 지역사회복지분야(3장 8절)는 중앙대 김성천 교수가, 공공행정분야(3장 9절)는 서울여대 최혜지 교수가 맡아 집필하였다. 이렇게 각 분야에 전문성과 애정을 가지고 있는 저자들이 꾸려지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계획을 마련하고, 종합논의와 최종결론(1-2장, 3장 1절, 4-5장)을 정리하는 일은 서울대 조흥식 교수가 진행하였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장 서론

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2절 연구목적



제2장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고유성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1절 두 가지 조망-토착화와 차별화의 연구 모형

2절 토착화 논의

1. 사회복지 분야

2. 인접학문 분야

3절 차별화 논의

1. 외부 전문직과의 차별성

2. 사회복지 분야 간 차별성



제3장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분야별 고유성

1절 연구주제 및 방법론

1. 연구주제

2. 연구방법론

2절 아동?청소년복지

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상황

2. 교육의 실천에의 적용

3. 한국 사회복지사의 고유 역할

4. 대안과 전망

3절 노인복지

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상황

2. 교육의 실천에의 적용

3. 한국 사회복지사의 고유 역할

4. 대안과 전망

4절 장애인복지

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상황

2. 교육의 실천에의 적용

3. 한국 사회복지사의 고유 역할

4. 대안과 전망

5절 가족복지

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상황

2. 교육의 실천에의 적용

3. 한국 사회복지사의 고유 역할

4. 대안과 전망

6절 의료사회복지

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상황

2. 교육의 실천에의 적용

3. 한국 사회복지사의 고유 역할

4. 대안과 전망

7절 정신보건사회복지

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상황

2. 교육의 실천에의 적용

3. 한국 사회복지사의 고유 역할

4. 대안과 전망

8절 지역사회복지

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상황

2. 교육의 실천에의 적용

3. 한국 사회복지사의 고유 역할

4. 대안과 전망

9절 공공행정

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상황

2. 교육의 실천에의 적용

3. 한국 사회복지사의 고유 역할

4. 대안과 전망



제4장 사회복지실천 고유성에 대한 논의

1절 토착화 논의

1. 교육 지점

2. 실천적용 지점

3. 비수용 지점

2절 차별성 논의

1. 타 전문직과의 차별성

2. 사회복지실천 분야 간의 차별성



제5장 결론: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사회복지학에 대한 함의

1절 고유성 논의

1. 토착화 논의

2. 차별성 논의

2절 한국 사회복지실천 고유성의 대안과 전망

1. 교육과 현장의 조화

2. 사회복지사의 고유 역할 모색

3.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요건 모색

3절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사회복지학에 대한 함의

1. 사회복지교육에 주는 함의

2.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주는 함의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