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하이데거와 도가의 철학
하이데거와 도가의 철학
저자 : 윤병렬
출판사 : 서광사
출판년 : 2021
ISBN : 9788930621182

책소개

이 책은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의 철학과 도가(道家)의 철학에 대하여 동서 융화철학의 차원에서 접근하여 면밀히 고찰한 연구서이다. 저자 윤병렬 교수는 한국 하이데거학회 회장을 지낸 바 있는 서양철학 연구자이면서, 동양 및 서양의 고대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사유들을 넘나들며 보편학이자 항구성을 지향하는 학문으로서의 철학 연구를 진행해 온 철학자이다.

저자가 탐구한 하이데거의 사유노정은 형이상학과 존재망각에로 전락하지 않은 ‘시원적 사유’를 찾아가는 노력이다. 그 길에서 그는 동양의 노자를 알게 되었고 도가의 사유를 자신의 사유세계에 기꺼이 수용하여 도가의 철학을 자신의 언어로 옮기거나 재창조하였다. 그는 도가에게서 존재망각이나 형이상학 이전의 ‘숙고하는 사유’를 발견하였다. 파크스(Graham Parkes)는 하이데거와 노자의 사유가 ‘예정조화’라도 된 듯 유사성을 보인다고 진단하며, 미국의 한국계 철학자 조가경 교수 또한 그 둘 사이의 ‘신비에 가득 찬 상응’과 철저한 ‘근친성’을, 프리쉬만(B?rbel Frischmann)은 하이데거와 도가 철학의 여러 상응점들을 지적한다. 이 책은 그 신비에 가득 찬 상응이나 예정조화가 무엇인지 다양한 주제들을 중심으로 밝혀 양자 사이에서 동서 비교철학의 차원을 뛰어넘는 동서 융화철학의 면모를 드러낸다.
세계화로 인해 문화와 사상의 교류가 활발히 일어나는 오늘날 동서 융화철학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존재론, 형이상학, 언어철학, 해체적 사유, 인식론 등 각각의 철학적 주제에 대하여 한 장(章) 또는 여러 장을 할애하여 하이데거와 도가 철학의 사유를 세밀하게 살피고 그들의 유사성을 탐색함으로써 그 깊이를 숙고하고 있다. 독자들은 이 책의 논의를 따라가며 도(道)와 존재의 의미, 무(無, Nichts)와 빔(虛, Leere)의 사유, 부정 존재론, 길(道: Weg)의 철학적 의미, 도(道)와 존재의 피시스적 특성, 무위자연(無爲自然)과 초연한 내맡김(Gelassenheit) 등에서 고대 중국의 사상가들과 현대 철학자의 사유의 유사성과 근친성을 직접 목격할 수 있다.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인간성 상실과 문명위기 및 생태계 위기의 원인은 존재망각과 대도상실(大道喪失)에 이은 니힐리즘이 시대를 지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을 통해서 하이데거와 도가의 사유에 다가간 독자들은 오늘날 인류가 처한 문명위기에 대한 분명한 경고메시지와 함께 그 대안과 이정표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의 철학과 도가(道家)의 철학에 대하여 동서 융화철학의 차원에서 접근하여 면밀히 고찰한 연구서이다. 저자 윤병렬 교수는 한국 하이데거학회 회장을 지낸 바 있는 서양철학 연구자이면서, 동양 및 서양의 고대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사유들을 넘나들며 보편학이자 항구성을 지향하는 학문으로서의 철학 연구를 진행해 온 철학자이다.



저자가 탐구한 하이데거의 사유노정은 형이상학과 존재망각에로 전락하지 않은 ‘시원적 사유’를 찾아가는 노력이다. 그 길에서 그는 동양의 노자를 알게 되었고 도가의 사유를 자신의 사유세계에 기꺼이 수용하여 도가의 철학을 자신의 언어로 옮기거나 재창조하였다. 그는 도가에게서 존재망각이나 형이상학 이전의 ‘숙고하는 사유’를 발견하였다. 파크스(Graham Parkes)는 하이데거와 노자의 사유가 ‘예정조화’라도 된 듯 유사성을 보인다고 진단하며, 미국의 한국계 철학자 조가경 교수 또한 그 둘 사이의 ‘신비에 가득 찬 상응’과 철저한 ‘근친성’을, 프리쉬만(Barbel Frischmann)은 하이데거와 도가 철학의 여러 상응점들을 지적한다. 이 책은 그 신비에 가득 찬 상응이나 예정조화가 무엇인지 다양한 주제들을 중심으로 밝혀 양자 사이에서 동서 비교철학의 차원을 뛰어넘는 동서 융화철학의 면모를 드러낸다.

세계화로 인해 문화와 사상의 교류가 활발히 일어나는 오늘날 동서 융화철학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존재론, 형이상학, 언어철학, 해체적 사유, 인식론 등 각각의 철학적 주제에 대하여 한 장(章) 또는 여러 장을 할애하여 하이데거와 도가 철학의 사유를 세밀하게 살피고 그들의 유사성을 탐색함으로써 그 깊이를 숙고하고 있다. 독자들은 이 책의 논의를 따라가며 도(道)와 존재의 의미, 무(無, Nichts)와 빔(虛, Leere)의 사유, 부정 존재론, 길(道: Weg)의 철학적 의미, 도(道)와 존재의 피시스적 특성, 무위자연(無爲自然)과 초연한 내맡김(Gelassenheit) 등에서 고대 중국의 사상가들과 현대 철학자의 사유의 유사성과 근친성을 직접 목격할 수 있다.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인간성 상실과 문명위기 및 생태계 위기의 원인은 존재망각과 대도상실(大道喪失)에 이은 니힐리즘이 시대를 지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을 통해서 하이데거와 도가의 사유에 다가간 독자들은 오늘날 인류가 처한 문명위기에 대한 분명한 경고메시지와 함께 그 대안과 이정표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 5

제1장. 세계화 시대에서의 동서 융화철학?-?서구에서의 노자 … 15
1. 하이데거와 도가(道家)의 동서 융화철학 … 15
2. 동서 문화 교류를 위한 후설 현상학의 기여 … 31

제2장. 하이데거와 도가(道家) 철학의 근친성 … 43
1. 하이데거와 노자의 사유 세계 … 43
2. “신비에 가득 찬 상응” … 46
3. 하이데거와 도가(道家) 사이의 상이성(相異性) … 52
1) 불안과 죽음의 실존적 문제 … 52
2) 우주 생성론의 문제 … 55
3) 정치와 사회 및 윤리적인 문제 … 56

제3장. 도(道)와 존재의 존재 방식 … 63
1. 도(道)의 존재 방식 … 63
2. 척도로서의 도(道) … 77
3. ‘존재’의 존재 방식 … 86

제4장. 무(無)와 빔의 존재론 … 99
1. 하이데거와 도가(道家)에서의 무(無) … 99
2. 무(無)의 존재 위상 … 116

제5장. 무위자연(無爲自然)과 초연한 내맡김(Gelassenheit) … 119
1. 도가의 “무위자연” … 119
2. 하이데거의 ‘초연한 내맡김’ … 128

제6장. 도(道)와 존재와 인간 … 147
1. 도(道)와 존재와 인간의 위상 … 147
2. 하이데거에게서의 “퇴락-존재(Verfallen-sein)” … 159
3. 장자에게서의 “물(物)에 얽매인 존재로서의 인간” … 167

제7장. 도·존재·피시스(Physis) … 175
1. 피시스(physis)의 세계 … 175
2. 피시스와 자연(自然)에 내재된 법칙 … 186
3. 피시스와 도(道)의 운동과 항존성 … 196

제8장. 하이데거와 도가에서의 부정 존재론 … 205
1. 부정 존재론의 역사 … 205
2. “현상학적 해체”로서의 부정 존재론 … 216
3. 하이데거의 부정 존재론적 사유 … 223
4. 하이데거의 사유에서 긍정 형식의 존재론 … 230
5. 노자의 부정 존재론적 사유 … 232
6. 노자에게서 긍정 형식의 존재론 … 236
7. 부정 존재론에서 긍정 존재론으로 … 239

제9장. 시원적 사유(das anf?ngliches Denken)와 형이상학 … 247
1. 형이상학의 역사와 하이데거의 탈형이상학 … 247
2. 전통 형이상학과 니힐리즘 … 254
3. 하이데거와 도가(道家)의 시원적 사유 … 261

제10장. 도와 존재의 언어철학 … 277
1. 현대의 언어철학과 하이데거의 언어 사유 … 277
1) 언어철학 서론 … 277
2) 언어분석철학과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 … 280
3) 비트겐슈타인과 하이데거 및 노자에게서 “말할 수 없는 것” … 286
4) 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언어철학 … 289
5) 영·미와 프랑스의 현대 언어철학에 잔존하는 근대성 … 292
6) 하이데거의 시원적 언어 사유 … 296
2. 하이데거의 전기 언어 사유 … 299
3. 하이데거의 후기 사유와 존재 언어 … 304
4. 노자와 하이데거의 언어 사유 … 315
5. 시적인 언어와 존재의 경험 … 330
6. 시인은 신의 성스러운 사제인가??
-?고대 그리스적 기원에서 사제로서의 시인 … 335
1) “사유하는 시인”과 “시작(詩作)하는 철인” … 335
2) 존재개현(Seinser?ffnung)으로서의 시작(詩作) … 340
3) “궁핍한 시대”에 신의 사제로서의 시인 … 345
4) “신의 성스러운 사제”로서의 시인의 사명과 소명 … 350
5) 고대 그리스적 기원에서 헤르메스적 사자(使者)로서의 시인 … 359
7. 노자의 “시작(詩作)하는 사유” … 366

제11장. 도와 존재의 길(Weg)을 트는 사유 … 371
1. 도(道)와 도에서 발원하는 언어의 시원성 … 371
2. 길을 트는 도(道)와 언어 … 375
3. 「들길」에서 듣는 존재의 소리 … 385

제12장. 하이데거와 도가의 해체적 사유 … 399
1. 하이데거의 해체적 사유 … 399
2. 해체 개념을 둘러싼 논쟁 … 407
3. 도가의 해체적 사유 … 415

제13장. 근대 인식론의 딜레마와 그 대안?
-?장자와 하이데거 및 플라톤의 위상학적 인식론 … 433
1. 근대의 인식론과 위상학적 인식론의 개요 … 433
2. 장자, 하이데거, 플라톤의 반-근대 인식론 … 435
3. 하이데거의 전기 사유에서 존재이해 … 442
4.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에서의 인식론적 모델 … 463
5. 장자에게서의 위상학적 인식론 … 475
1) 물(物)의 세계와 인식론 … 475
2) 진지(眞知)에 이르는 길 … 487
6. 인식론에 대한 결론적 성찰 … 494

맺는말 … 497
참고문헌 … 501
찾아보기 … 517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