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문학의 논리
한문학의 논리
저자 : 정요일
출판사 : 일조각
출판년 : 2009
ISBN : 9788933705568

책소개


본격적인 한문학 · 한문 문법 이론 연구서

한문학의 이론을 비롯한 한문학 작가와 작품에 대한 연구의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고, 한문과 한문학의 학습 과정에서 터득한 한문 문법의 논리와 전통 인문학으로서 한문학의 문화 이론적 활용 방안 등을 제시한다.

1부에서는 한문학 연구의 기본 논리와 연구 방향에 대해 이야기 한다. 문학 본질논류 용어로서의 ‘意’와 ‘氣’의 개념을 설명하고, 2부에서는 본격적으로 한문학의 이론과 연구의 실제에 대해 살펴본다. 「도산십이곡발」과「정언묘선서」에 나타난 시가관과 역대 유가의 문학론이「도산십이곡발」과「정언묘선서」에 끼친 영향 등을 알아본다.

목차


머리말

1부 漢文學 硏究의 基本 論理
漢文學 硏究의 方向
1. 서론 2. 연구 장르 범위 확대의 필요성 3. 자료 해석의 정확성 4. 선비정신 연구의 중요성 5. 결론

文學 本質論類 用語로서의 ‘意’와 ‘氣’의 槪念
1. 서론 2. ‘意’와 ‘氣’의 개념 3. 결론

天機論의 槪念과 意義
1. 서론 2. ‘天璣’의 개념과 ‘天璣論’의 의의 3. 결론

2부 漢文學의 理論과 硏究의 實際
退溪의 「陶山十二曲跋」과 栗谷의 「精言選序」에 나타난 詩歌觀
1. 서론 2.「도산십이곡발」과「정언묘선서」에 나타난 시가관 3. 역대 유가의 문학론이「도산십이곡발」과「정언묘선서」에 끼친 영향 4. 결론

大家의 詩法
1. 서론 2. 大家의 要件과 詩法 3. 大家 詩法의 실제 4. 결론

燕巖 小說 『兩班傳』과 『穢德先生傳』에 나타난 선비精神
1. 서론 2. 작품에 나타난 선비정신 3. 결론

3부 漢文學과 漢文 文法 論理의 相關性
語助辭 ‘之’字를 目的語로서의 代名詞로 볼 수 없는 理由
1. 문제제기 2. 어조사 ‘之’자를 목적어로서의 대명사로 볼 수 없는 이유 3. 결론

『訓民正音』「序文」의 ‘者’ㆍ‘놈’의 意味와 관련한 古典 再檢討의 必要性 論議
1. 서론 2. 몇몇 사례로 본 고전 자료 재검토의 필요성 3.『훈민정음』「서문」에서의 ‘者’와 ‘놈’의 의미 4. 결론

4부 傳統 人文學으로서의 漢文學의 文化 理論的 活用
文化觀光 産業의 발전을 위한 傳統 人文學의 역할
1. 문화와 문화관광 2. 문화관광 산업과 전통 인문학의 역할 3. 외국에서 행해지는 인문학과 문화관광 산업의 접목 사례 4. 전통 인문학과 문화관광 산업의 접목을 위한 종합적 제언

참고문헌/찾아보기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