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신도 버린 사람들
신도 버린 사람들
저자 : 나렌드라 자다브
출판사 : 김영사
출판년 : 2007
ISBN : 9788934925798

책소개

신조차 내 꿈을 빼앗지 못했다!

전세계적으로 센세이션을 일으킨 '인도의 살아있는 영웅' 나렌드라 자디브의 『신도 버린 사람들』. 인도에는 '불가촉천민(不可觸賤民)', 즉 '달리트'가 있다. 그들은 천민보다 못한 천민으로, 다른 신분의 사람과 닿는 것조차 금지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에게 인정된 권리는 구걸뿐이다. 태어나면서 정해진 신분은 죽어서도 바꿀 수 없는 인도에서, 그들의 삶은 슬프기만 하다.

인도에서 12년간 베스트셀러가 된 이 책은 그러한 불가촉천민에서 세계 경제를 움직이는 지도자가 된 저자의 자유와 희망에 대한 논픽션이다. 3,500여 년이나 묵은 인도의 신분제도, 카스트에서 불가촉천민을 탈출시키기 위해 투쟁한 불가촉천민의 아버지 '암베드카르'를 추종하던 부모의 결심으로 교육을 받게 된 저자가 전세계가 미래의 인도 대통령으로 점치는 '인도의 살아있는 영웅'이 되기까지의 애절한 이야기가 감동적으로 펼쳐지고 있다. 곳곳에는 해맑은 인도 아이들의 사진도 담았다.

저자는 자신은 물론, 아버지 '다무'와 어머니 '소누', 그리고 딸을 화자로 내세운다. '다무'와 '소누'의 이야기는 인도의 사회, 생활, 계급, 그리고 '암베드카르'가 이끈 '불가촉천민'의 투쟁의 역사를 생동감있게 전달하고 있다. 그리고 저자와 그의 딸의 이야기는 사람답게 살지 못하는 1억 7천만 명의 불가촉천민의 '자유'를 향한 뭉클한 도전기다.

〈font color="1e90ff"〉☞〈/font〉 『신도 버린 사람들』에 대해!
『신도 버린 사람들』은 인도에서 12년간 베스트셀러로 선정되었습니다. 그리고 17가지 언어로 번역되어 전세계에 출간되었습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닿는 것조차, 같이 숨쉬는 것조차 금지된 불가촉천민의 위대한 드라마가 시작된다!”
카스트제도의 굴레에서 벗어나 ‘인도의 살아있는 영웅’이 된 나렌드라 자다브가 전하는 희망의 메시지!

우리는 우리의 더러운 발자국을 지우기 위해 허리춤에 빗자루를 매달고 다녀야 합니다. 우물에서 물을 길어 마실 수도 없습니다. 사원에 들어가 신께 기도드릴 수도 없습니다. 신성한 곳이 더렵혀진다는 이유로 그곳에 그림자도 드리울 수 없습니다. 신이 우리에게 주신 권리는 오직 하나, 구걸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우리가 천하게 태어난 것은 전생에 지은 죄 때문이라고 합니다. 사람들은 우리와 닿는 것만으로도 오염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의 이름은 불가촉천민不可觸賤民, 달리트입니다.

▶그림자만 닿아도 오염되는 불가촉천민에서 세계 경제를 좌우하는 지도자가 된 ‘나렌드라 자다브’가
들려주는 인도 역사상 가장 뜨겁고 가장 애절한 순간의 기록!
인간이라는 사실이 불행한 사람들, 개ㆍ돼지보다 못한 취급을 받아야 했던 사람들, 신이 내린 은총은 오직 ‘구걸할 권리’뿐인 사람들 불가촉천민! 태어난 신분을 절대 바꿀 수 없는 인도의 절대적 신분의 족쇄를 풀어버림으로써 전세계적으로 센세이션을 일으킨 한 사람이 있다. 바로 ‘인도의 살아 있는 영웅’ 나렌드라 자다브. 그는 불가촉천민(달리트)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국제적 명성을 지닌 경제학자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중앙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 인도 푸네 대학 총장 자리에 올랐다. 그리고 세계의 언론은 그를 향후 인도중앙은행 총재, 재무장관, 나아가서는 인도의 미래를 이끌어갈 차기 대통령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는 자신의 가족 이야기를 담은 책《신도 버린 사람들(원제 : Untouchables)》을 통해 제도를 넘어 자식들에게 ‘자유’라는 삶의 발판을 마련해준 부모들의 세계와 불가촉천민이 감수해야 했던 배고픔과 무자비한 모욕을 생생하게 전달했다. 자신의 운명을 온몸으로 개척한 자다브와 그의 아버지, 어머니의 삶은 이 시대 최고의 성공스토리이자 한 편의 감동적인 휴먼 드라마다.
인도에서 93년 출간되어 12년 연속 베스트셀러가 되었던 《신도 버린 사람들》은 영어판으로 2002년 출간되었고, 현재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 세계 각국의 언어로 번역 소개되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소설보다 재미있고 역사보다 섬세한 이 책은 나렌드라 자다브의 가족이 겪어낸 투쟁의 스토리를 통해 인도의 역사, 종교, 신분, 생활상 등 인도의 모든 것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다.


▶인간이면서 인간답게 살지 못했던 1억 7천만 불가촉천민의 위대한 도전기!
“내 운명에 손대지 마라. 내 운명은 신이 아니라 내가 만든다.”
오늘 이 지구상에 살고 있는 여섯 명 가운데 한 명은 인도인이고, 인도인 여섯 명 가운데 한 명은 불가촉천민, 즉 달리트다. 이들은 힌두 카스트제도의 맨 밑바닥에서 인간 이하의 취급을 받으며 살아왔다. 우리는 그동안 그들의 이야기를 듣지 못했다. 교과서에서 인도의 카스트제도를 배울 때도 네 가지 신분으로 이루어졌다는 것만 알려 줄 뿐, 그 카스트 안에 속하지도 못하는 사람들이 인도의 15%, 1억 7천만 명이나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가르쳐 주지 않았다. 1억 7천만 명이라는 숫자는 미국 인구의 절반도 넘는 숫자다.
인도의 카스트제도는 신분을 네 가지로 구분하는데 브라만(승려), 크샤트리아(왕이나 귀족), 바이샤(상인), 수드라(피정복민 및 노예, 천민)로 이루어진다. ‘아웃카스트’인 ‘불가촉천민’은 이 네 가지 신분 계급 안에 속하지 못한다. 불가촉천민은 계급 제도 밖의 구성원으로서, 인간 사회의 한 부분으로 포함되지 못하고(천민인 수드라 계급에도 속하지 못한다) 전통적으로 가장 비천하다고 여기는 직업에 종사해 왔다. 오물 수거, 시체 처리, 가죽 가공, 세탁, 마을의 소식을 알리는 일 등이 주로 그들의 몫이었다. ‘불가촉천민’이란 단어는, ‘이들과 닿기만 해도 부정해진다’는 인도인들의 생각이 담겨 있다.
3500년이나 묵은 인도의 카스트제도는 너무나 견고해서 그 신분의 벽을 뛰어넘기가 쉽지 않다. 인도에서는 서로의 이름만 들어도 그들이 속한 계급을 구별할 수 있을 정도다. 1955년 불가촉천민법에 제정되어 공식적으로는 이들에 대한 종교적ㆍ사회적ㆍ직업적 차별을 금하고 있지만 실상 이 법의 보호를 받는 달리트들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도에서 간디와 함께 가장 위대한 지도자로 꼽히는 암베드카르(B.R. Ambedkar)는 불가촉천민 출신으로 운 좋게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그는 1927년 ‘개나 돼지보다도 못한 취급을 받으면서 마실 물도 얻어먹을 수 없는 이 땅을 조국이라 부르겠는가’라며 투쟁을 벌였고 여성과 천민의 자유와 권익을 헌법에 명문화시킨 장본인이다. 그는 천민 1만 명을 이끌고 상수원 저수지로 몰려가 물을 마심으로써 ‘천민의 물 마실 권리’를 세상에 선포했으며, 50만 명의 추종자들과 함께 신분제의 근원인 힌두교를 버리고 불교로 개종하기도 하였다. 1956년 이루어진 이 개종식은 인류 역사상 가장 규모가 큰 단일 개종식으로 알려지고 있다. 불가촉천민은 사원에 들어가 신에게 기도를 드릴 수도 없었던 것이다. 그들의 그림자가 사원에 드리워져 신성한 곳이 더렵혀진다고 믿고 있었다. 이후에도 신분차별과 힌두사원 출입제한에 반발하는 불가촉천민들의 개종이 뒤를 이었다.

암베드카르를 불가촉천민의 아버지였다. 그가 나타나기 전까지 불가촉천민은 자신들의 운명을 전생의 죗값으로 생각하고, 자신들의 비천한 처지를 운명으로 받아들였다. 그리고 내세에 더 나은 삶을 살겠다는 생각으로 주어진 천한 신분과 핍박, 굴욕을 견뎌냈다. 하지만 암베드카르는 교육과 세력, 민주주의를 통한 자유와 평등을 주장했고 불가촉천민은 깨어나기 시작했다.
그를 열렬히 추종하던 한 남자는 자식을 교육시키기에 이르렀고, 그 교육의 혜택을 입은 어린 소년은 훗날 인도를 이끌 대통령이 될 사람으로 세계가 주목하는 인물이 되었다. 그 소년이 바로 《신도 버린 사람들》의 저자 나렌드라 자다브이다.
지금껏 불가촉천민에게는 목소리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신도 버린 사람들》, 이 위대한 기록은 지금까지 전례를 찾아보기 힘든 결과물이다. 목소리가 없던 이들에게 안겨준 목소리! 평등과 정의를 위해 싸운 가족의 이야기를 감동적으로 풀어나간 나렌드라 자다브는 신이 정해주지 않은 운명을 스스로 개척하여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새로운 역사를 써낸 것이다.

▶인도를 넘어 전세계인의 가슴을 사로잡다!
눈물과 고통을 딛고 이루어낸 가슴벅찬 자유와 희망 이야기!
《신도 버린 사람들》에는 네 명의 화자가 등장한다. 나렌드라 자다브의 아버지 ‘다무’와 어머니 ‘소누’, 그리고 나렌드라 자다브 자신과 자다브의 딸까지. 다무와 소누의 회상과 대화는 읽는 재미를 줄 뿐만 아니라, 인도의 사회상, 생활상, 계급제도, 그리고 암베드카르를 주축으로 한 투쟁의 역사를 생생하게 전달한다. 또한 진보적인 다무와 전통적인 소누 사이의 의견차이를 통해 불가촉천민 안에서도 신분을 숙명으로 받아들이는 자들과 인간의 존엄성을 외치는 자들로 분분함을 알 수 있다.
‘다무’의 인생이, 나아가 그의 아들 나렌드라 자다브의 인생이 바뀐 순간은 다무가 자신의 신분과 인도의 신분제도에 항거한 날부터 시작된다.
뭄바이에서 살던 ‘다무’는 불가촉천민이 행해야 하는 ‘예스카르’ 의무를 실행하기 위해 고향으로 돌아온다. 하지만 밤새 굶어가며 저수지에 빠진 시체를 지키고, 열심히 일한 대가로 구걸할 권리를 겨우 얻는 등, 인간 대접을 받지 못하는 현실에 항거하다 몰매를 맞는다. 뭄바이에서는 일도, 돈도, 희망도 없었기 때문에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그는 다시 뭄바이로 향한다. 그는 굶어 죽는 한이 있어도 인간답게 살기를 원했다. 뭄바이로 향하는 ‘다무’와 ‘소누’는 아무런 대책도 계획도 없었다. 인간으로서의 존엄성, 자긍심을 지키겠다는 생각만이 있었다.
부모의 깨어있는 의식 덕분에 나렌드라 자다브와 그의 형제들은 어렸을 적부터 교육의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불가촉천민은 그동안 ‘감히’ 자식들에게 교육을 시키는 것은 상상조차 하지 못했고 필요성조차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암베드카르 박사는 “부모는 자녀들을 교육함으로써 그들의 운명을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나렌드라 자다브는 학교에서 1등을 놓치지 않았고, ‘신성한 언어이기 때문에’ 천민들은 배울 수 없었던 산스크리트어 시험에서도 모든 상층 카스트 아이들을 제쳤다. 어떤 교사는 불가촉천민이 공부를 잘 하는 이 나라 교육 제도가 의심스럽다며 한탄했다고도 한다. 교사조차도 차별의식 속에 사로잡혀 있었기 때문에 그는 항상 1등을 하면서도 상층 카스트보다 잘했다는 이유로 선생님들에게 혼이 날까봐 나서지 못했다.
그는 ‘내 운명은 내가 선택했다. 그리고 그 원동력은 바로 교육이었다’고 말한다. 나렌드라 자다브는 자신의 부모세대가 투쟁했던 것처럼 자신 역시 투쟁의 역사를 이어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인도중앙은행 총재가 되어 불가촉천민이 사인한 돈이 인도의 전역에 뿌려지고, 나아가 대통령이 되어 보다 현실적으로 불평등 사회를 무너뜨리고자 한다. 인도의 살아있는 영웅, 이 전설적인 이야기는 《신도 버린 사람들》 그 이후에도 계속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프롤로그

속박의 굴레를 벗고
자유를 향해
권리를 구걸하지 말고 투쟁하라
내 존엄성은 내가 입증한다
내 안에 숨어 있는 백조
꿈을 그려라 네 인생이 그려질 것이다
의지의 사내
어머니의 소박한 세상

에필로그
그리고 손녀가 덧붙이는 말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