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경세유표 1
경세유표 1
저자 : 정약용
출판사 : 한길사
출판년 : 1997
ISBN : 9788935601905

책소개

우리나라 실학의 집대성자인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경세유표』는 다산이 그의 노작을 말하면서 내세웠던 일표이서(一表二書) 중에서도 제일 먼저 꼽을 만큼 다산의 방대한 저술 가운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경세유표』는 국가 전체의 체제를 전면적으로 개혁하기 위해 쓴 것으로 우리나라의 현실적 사정을 염두에 두며 구체적으로 설계한 이상적 국가형태를 담고 있다. 인습에 인습을 더해온 당시의 현실 정치구조는 어느 것 하나 병들지 않은 것이 없었으며, 이러한 모순을 혁파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약용은 국가 체제 전반의 개혁을 주장한 것이다. 실학의 국가개혁론으로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경세유표』는 우리나라 전근대 역사를 총체적으로 집약해둔 원천적 문헌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각 책의 말미에 원본을 수록하여 연구자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간행사 / 이우성
『경세유표』에 나타난 정약용의 국가개혁론 / 김태영
다산 정약용 연보

방례초본 서(邦禮艸本序)
방례초본 인(邦禮艸本引)

경세유표 제1권

천관 이조(天官吏曹) 제1
치관지속(治官之屬)
지관 호조(地官戶曹) 제2
교관지속(敎官之屬)

춘관 예조(春官禮曹) 제3
예관지속(禮官之屬)

경세유표 제2권

하관 병조(夏官兵曹) 제4
정관지속(政官之屬)
추관 형조(秋官刑曹) 제5
형관지속(刑官之屬)

동관 공조(冬官工曹) 제6
사관지속(事官之屬)

경세유표 제3권

천관 수제(天官修制)
동반관계(東班官階)
서반관계(西班官階)
종친·훈·척(宗親勳戚)
외명부(外命婦)
외관지품(外官之品)
삼반관제(三班官制)
군현 분예(郡縣分隸)

경세유표 제4권

천관 수제(天官修制)
군현분등(郡縣分等)
고적지법(考績之法)

경세유표 제5권

지관 수제(地官修制)
전제(田制) 1
전제(田制) 2
전제(田制) 3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