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중국고대사상사론
중국고대사상사론
저자 : 리쩌허우
출판사 : 한길사
출판년 : 2005
ISBN : 9788935656554

책소개

중국의 계몽철학자 리쩌허우의 을 번역한 책. 은 저자가『미의 역정』을 저술하면서 구상한 침적설을 고대사상사에 적용해 중국인의 전체적 주체성으로서의 독특한 문화, 심리구조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탐색한 책이다. 문화심리 구조, 실용이성, 인학모체 구조라는 독특한 관점을 통해 중국의 고대사상사를 종횡으로 분석한다.

이 책은 공자와 묵자, 맹자와 순자, 노자와 한비자, 주역과 동중서, 장자와 선종, 송명 이학 및 명청 시기의 경세치용 등을 논의하고 있다. 문화심리 구조와 실용이성의 관점을 이용하여 중국의 사상사와 전통문화를 해석하는 한편, 동시에 현대 중국이 가야 할 길을 제시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리쩌허우는 문화심리 구조, 실용이성, 인학모체(仁學母體) 구조라는 독특한 관점을 통해 중국의 고대사상사를 종횡으로 분석한다. 그의 이런 독특한 시각이나 관점은 기존의 다른 철학사나 사상사와 확연히 구별되는 점이다. 그것은 중국사상사 전체를 종횡으로 관통하는 주된 맥락을 매우 효과적으로 지적하는 뛰어난 서술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리쩌허우가 주의를 기울여 논의한 문제는 공자와 묵자, 맹자와 순자, 노자와 한비자, 『주역』과 동중서, 장자와 선종, 송명 이학 및 명청 시기의 경세치용 등이다. 제자백가 중에도 묵자와 손자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특히 손자의 사상을 중요하게 다룬 것은 그가 강조하는 실용이성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또한 순자와 『역전』이 공유한 문제를 분석하는 관점 역시 빼어나다. 그러나 이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진한 시기의 철학을 문화심리 구조가 완성되는 단계로 본다는 사실이다. 즉 공자가 제기한 원시유학의 기본정신, 즉 혈연적 기초, 치국평천하의 이상, 실용이성, 중용관념 등은 모두 이 시기 음양오행의 도식을 통해 보존되고 확대되었다고 말한다. 이렇듯 리쩌허우는 문화심리 구조와 실용이성의 관점을 이용하여 중국의 사상사와 전통문화를 해석하는 한편, 동시에 현대 중국이 가야 할 길을 제시하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공자와 맹자의 철학
1. '예'의 특징
2. '인'의 구조
3. 약점과 장점
4. 맹자의 철학

묵가의 철학
1. 소생산 노동자의 사상적 전형
2. 묵가 사상은 사라지지 않았다

손지.노자.한비자의 철학 사상
1. 병가 변증법의 특색
2. 노자 철학
3. 한비자의 철학 사상

순자.역전.중용의 철학
1. 순자 철학의 특징
2. 과 유교 세계관의 형성
3. 의 철학 : 천.도.인

진한 철학의 특색
1. 도가.법가.음양가.유가의 통합
2. 동중서와 천인우주론의 도식
3. 음양오행의 체계론
4. 오행도식의 역사적 영향

장자.현학.선종의 철학
1. 장자 철학과 미학
2. 위진 현학과 인격본체론
3. 선종의 철학

송명이학
1. 우주론에서 윤리학으로
2. 이성본체의 수립과 그 모순
3. '심'의 초월과 감성
4. 유산의 이중성
5. 몇 가지 보충

경세치용과 명청 시기의 철학
1. 내성과 외왕
2. 치인과 치법
3. 경학과 사학

중국의 지혜
1. 시대의 과제
2. 혈연적 토대
3. 실용이성
4. 낙감문화
5. 천인합일

후기

리찌허우 연보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인명
찾아보기.사항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