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중국근대사상사론
중국근대사상사론
저자 : 리쩌허우
출판사 : 한길사
출판년 : 2005
ISBN : 9788935656561

책소개

중국의 계몽철학자 리쩌허우의 '중국사상사론' 3부작 중에서 제일 먼저 씌어진 을 번역한 책이다. 저자가 1950년대에 수행했던 탄스퉁, 캉유웨이에 대한 연구를 근대사 전반으로 확대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캉유웨이를 필두로 하는 청나라 말기 개량파의 변법유신 사상은 혁명에 반대했기 때문에 점차 반동화되어 갔다는 당시 대륙학계의 정설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었다. 리쩌허우는 이 책을 통해 몇십 년 동안 비판받아왔던 왕구웨이, 량치차오를 조심스럽게 최초로 긍정하고 있으며, 그가 90년대 이후 제기한 고별혁명론의 단초를 드러내고 있다.

이 책에서는 태평천국으로부터 신해혁명에 이르는 중국 근대의 주요한 사조와 사상가들을 체계적으로 논술하고 상세하게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과도한 격정의 혁명보다는 이성적인 개량이 중국에 필요했다고 주장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리쩌허우는 이 책에서 태평천국으로부터 신해혁명에 이르는 중국 근대의 주요한 사조와 중요한 사상가들을 체계적으로 논술하고 세밀하게 분석했다. 첫 편은 사상적 각도에서 태평천국을 해부함으로써 농민혁명전쟁의 제반 법칙과 현상을 지적했다. 그 다음 몇 편은 무술변법 유신사상과 인물을 상세하게 분류 해부했고, 특히 캉유웨이(康有爲)의 대동사상(大同思想)과 탁고개제(託古改制) 전략을 높이 평가했다. 그밖에도 중국 근대사상사에서 옌푸(嚴復)의 특수한 위치, 장타이옌(章太炎)의 인민주의적 사상의 특징에 초점을 맞추었고, 애국에서 혁명으로 나아갔던 20세기 지식인의 역정을 다루었으며, 량치차오(梁啓超)와 왕궈웨이(王國維) 등의 독특한 의미와 루쉰(魯迅)의 사상 역정 등을 논술했다. 이 책을 관통하고 있는 핵심 기조는 ‘이성적인 개량’이다. 리쩌허우는 20세기를 관통하며 진행되었던 중국 혁명이 격정적인 정서에 휩싸였다는 점을 인식하면서 ‘과도한 격정의 혁명’보다는 ‘이성적인 개량’이 중국에 필요했다는 자신의 학문적 결론을 책의 기조로 삼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실용이성.서체중용.개량 | 임춘성

내용 요약

홍슈취안과 태평천국 사상 산론
1. 개조된 상제
2. 공구의 위패를 부수다
3. '네 가닥의 큰 밧줄'을 공격
4.
5.

19세기 개량파 변법유신 사상 연구
1. 개량파 변법유신 사상의 선구자
2. 개량파 변법유신 사상의 발생과 발전
3. 개량파 변법유신 사상의 곶와 정점
4. 개량과 변법유신 사상의 쇠퇴

캉유웨이 사상 연구
1. 철학 사상
2. '대동'공상
부록 :
3. '탁고개제' 사상

탄쓰퉁 연구
1. 탄쓰퉁 사상 탄생의 역사적 배경
2. 탄쓰퉁의 철학 사상
3. 탄쓰퉁의 사회.정치 사상

엔푸론
1. 중국 근대사에서의 지위
2. 과 독창성
3. 경험론과 그 귀결
4. '자유를 본체로 삼고 민주를 작용으로 삼다'

20세기초 부르주아 혁명파 사상 논강
1. 두 가지 주요 고리
2. 네 명의 대표적인 사상가
3. 역사적 교훈

순중산의 사상
1. 민족주의와 민권주의
2. 민생주의
3. 철학 사상

장타이엔 해부
1. 문제의 복잡성
2. 사회.정치 사상의 특색
3. '자신에게 의존하되 타인에게 의존하지 않음'의 철학 사상

랑치차오와 왕궈웨이에 대한 간략한 논의
1.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2. 계몽선전가
3. 신사학의 대표인물

루쉰 사상발전에 대한 약론
1. 초기의 두 단계
2. 전기의 두 단계
3. 지식인이라는 주체

후기 : 중국 근대사상의 교훈

리찌허우 연보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인명
찾아보기.사항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