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2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2
저자 : 유용태|박진우|박태균
출판사 : 창비
출판년 : 2011
ISBN : 9788936482589

책소개

동아시아의 역사는 어떻게 흘러왔나?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제2권. 이 책은 17세기 초부터 2010년까지, 한ㆍ중ㆍ일을 중심으로 베트남, 타이완, 필리핀, 몽골 등을 포괄한 동아시아 근현대사를 다룬다. 총 10개의 주제를 2권으로 나누어 해금시기, 제국주의시기, 냉전시기, 탈냉전시기에 걸쳐 살펴본다. 2권에서는 파시즘의 침략과 총동원체제, 한국에서 일어난 냉전하의 열전, 일본의 경제대국화와 사회변화 등에 대해 다룬다. 이밖에도 소수민족, 식민지민족 등의 제국주의하의 문제들과 역사 내내 억압받아온 여성들의 일상도 함께 살펴본다.

☞ 북소믈리에 한마디!
역사학자 3인이 5년여에 걸쳐 집필한 이 책은 각국사의 병렬적 서술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기존의 동아시아 역사서와 달리, 하나하나의 사건들이 한국, 중국, 일본 등 국가 간에 서로 어떻게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상호작용했는지를 드러내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nhn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
[-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머리에



제6장 총력전의 충격과 대중동원의 체계화

1. 파시즘의 침략과 총동원체제

대공황과 일본파시즘의 대두

일본의 남진정책과 ‘대동아공영권’의 허구

동아시아 총동원체제의 연쇄



2. 반파쇼 민족전선의 대항동원

항일민족통일전선의 형성과 전개

약소민족의 국제연대

전후질서의 청사진



3. 식민, 민족동화, 민족이산

식민의 논리와 기구

동화론과 자치론의 갈등

민족이산



제7장 냉전체제의 형성과 탈식민의 지연

1. 두 진영의 대립, 중국혁명과 미일동맹

어그러진 종전 처리

냉전, 분단, 그리고 중국혁명

거꾸로 가는 정책, 그리고 제국의 부활



2. 타율적 전후처리와 탈식민의 지연

토오꾜오재판과 정치세력들의 우향우

쌘프란시스코체제의 형성과 미일안전보장조약

탈식민의 지연과 역사의 이월



3. 냉전 속의 열전과 갈등의 내면화

한국에서 일어난 냉전하의 열전

베트남에서 일어난 미국의 전쟁

동아시아에서 50년간 일어난 전쟁이 남긴 기억과 유산



제8장 자본주의 진영의 산업화와 민주화

1. 전쟁특수와 경제재건

1950~60년대 동아시아의 연쇄적 전쟁특수

한국ㆍ타이완ㆍ베트남의 안보위기와 대미ㆍ대일종속

일본의 경제대국화와 사회변화



2. 개발독재, 성장과 분배의 거리

대미종속의 권위주의체제

신흥공업국의 탄생



3. 민주화와 민중운동의 성장

냉전기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일본의 사회운동

탈냉전을 전후한 시기, 민주화의 급진전

노동자, 농민, 도시빈민 운동



제9장 사회주의 진영의 실험과 궤도수정

1. 신민주주의의 유산

신민주주의 정치, 연합정부

신민주주의 경제, 혼합경제



2. 농민사회주의의 실험과 좌절

사회주의 개조, 국유화와 집단화

농민사회주의 속의 정치와 경제생활

여성노동의 사회화와 여성의 지위



3. 개혁개방과 사회단체의 부활

일당정부하의 개발독재, 다시 혼합경제로

선부론의 명암과 여성

사회단체의 부활과 촌민자치의 실험



제10장 탈냉전시대의 갈등과 시민운동

1. 신자유주의의 확산과 군사대국화

자본주의의 전지구적 확산

동아시아 국가들의 군사대국화와 패권경쟁

동북아 평화를 위협하는 북핵문제



2. 국가주의의 연쇄와 패권경쟁

국가주의의 등장

한중일 역사인식의 갈등과 국가주의 사관

국가주의를 넘어서



3. 사회양극화와 시민운동

사회양극화와 역내 양극화

시민운동의 확산

국경을 넘어선 연대



종장 평화와 민주주의 연대를 향하여

반전평화사상의 유산

평화를 위한 지역질서의 모색

민주주의, 리더십, 역사화해



참고문헌/연표/찾아보기

[kyobo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