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문화이벤트와 기획
문화이벤트와 기획
저자 : 이봉훈
출판사 : 한울
출판년 : 2015
ISBN : 9788946060364

책소개

『문화이벤트와 기획』은 문화예술이벤트의 기획서를 만드는 방식과 기획의 마인드에 대하여 사용되고 있는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하였다. 현장에서 근무하며 느낀 이벤트란 무엇인가 하는 생각들, 기획자로서 생각해야 하는 것들, 기획 단계에 있어 꼭 필요한 기획서 작성 요령과 실례는 기획과 관련된 일을 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발로 쓴 문화이벤트 기획의 모든 것”
- 기획서의 다양한 실례와 기획마인드의 절묘한 결합 -

핵심 요약


문화이벤트에 많은 사람들이 종사하고 있고, 대학교에 예술경영학과 혹은 이벤트학과가 있으나 교재마저 변변히 갖춰져 있는 실정이 아니다. 이 책은 문화예술이벤트의 기획서를 만드는 방식과 기획의 마인드에 대하여 사용되고 있는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하였다. 현장에서 근무하며 느낀 이벤트란 무엇인가 하는 생각들, 기획자로서 생각해야 하는 것들, 기획 단계에 있어 꼭 필요한 기획서 작성 요령과 실례는 기획과 관련된 일을 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기획은 의도를 가지고 얽이를 잡는 일이다.

기획이란 과연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한번쯤 짚어보고 넘어가야 하지 않을까? 기획의 의미를 설명하는데 가장 쉬운 방법은 사전적인 해석을 하는 것이다. 국어사전에 기획은 “얽이를 잡는 일”이라고 적혀있다. 바꾸어 말하면 기획은 생각의 얽이를 만드는 작업이다. 우리가 생각하고 꾸미고 있는 것에 대하여 구성하는 일을 말하는 것이다.
살아가면서 혹은 어떤 상황에 부딪히게 되면서 이런 저런 생각이 많을 것이고 그런 생각의 전후관계나 상관관계를 따져서 날줄과 씨줄을 맞추듯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기획일 것이다. 생각한 것의 얽이를 잡으려면 이런 저런 계산을 하여야 한다. 물론 생각을 현실로 다 표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런 생각을 표현하는 데도 어떤 일반적인 형식이나 구조가 있다. 그 구조나 형식이 바로 얽이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흔히 우리는 “그 사람은 기획력이 있어.” 혹은 “기획력이 없어”라고 말하는 것을 듣게 된다. 그냥 시키는 대로 일하는 사람을 보고 우리는 기획력이 있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럼 기획력이 있다는 사람은 어떤 사람이며 기획력이 없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이 책에서는 문화이벤트에 관심 있는 모든 이들이 “그 사람은 기획력이 있어”라는 말을 들을 수 있도록, 공연기획서, 전시기획서, (국제)회의기획서, 경연기획서, 시상기획서, 축제이벤트기획서, 레포츠이벤트기획서 등의 실례를 통해, 의도를 가지고 얽이를 잡는 법을 기르도록 돕는다. 저자가 30년 가까이 KBS 문화사업 분야에서 줄곧 문화예술이벤트를 진행해 오면서 느꼈던 노하우와 기획자가 가져야할 자세 등이 진솔하게 쓰여 있다.

기획은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일
여러 종류의 기획 중에서도 특별히 문화이벤트 기획은 거의 대부분의 일들이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고 해도 과한 말이 아니다. 교향악단이 정기적으로 공연하는 것을 두고 기획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관객이 줄어서 이를 위한 타개책으로 혹은 특별한 곡을 레퍼토리에 올려 연주함으로 교향악단의 내적 발전을 추구하는 방편으로 새로운 방향이 모색되어질 때, 우리는 기획을 했다고 말하게 된다.

문화이벤트를 기획한다는 것
문화가 둘 이상의 사람 사이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행동양태라는 문화인류학적 정의에 충실 한다면 이 땅에서 문화가 아닌 것이 없다. 이러한 문화양식들은 기획되어져 문화, 예술, 스포츠, 경제활동으로 혹은 일상으로 우리를 지배하고 있다.
어느 날 삶이 무료해 졌을 때, 삶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게 되었을 때, 삶의 질을 생각하고 이를 충족시키는 한 방편으로서 문화이벤트가 필요하게 되었다. 먹고살기 바쁜 시절에는 그저 하루하루의 식생활 해결에 전력을 기울여야 했다. 그러나 시간과 여유가 생기고 경제적으로 형편이 나아지게 되면서 사람들은 ‘왜,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하는 질문을 하게 되었다. 이것을 실현하는 수단으로 문화이벤트가 기획되고 이를 통해 삶을 즐기는 사람들이 생기게 된 것이다.
문화이벤트를 기획한다는 것은 아이디어도 좋아야 하고 그 과정도 좋아야 할 뿐만 아니라 사람들에게 감동과 기쁨을 선물해야 되기 때문에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므로 문화이벤트 기획자는 단순히 기획의 의도를 실현하였다거나, 목표를 달성하는 것 이상의 무엇, 즉 사람들의 삶에 깊은 감동을 선물해 주어야 한다는 사명감을 띠고 일해야 한다. 이 책에서는 바로 문화이벤트 기획 마인드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그 기획을 성공시키기 위한 기획서를 만드는 요령이 실제로 사용되었던 예시 기획서와 함께 상세하게 소개되어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장 기획이란 무엇인가
1. 기획의 의미
2. 기획을 하려면
3. 기획의 대상에 대하여

2장 문화이벤트 기획자가 가져야 할 기획의 마인드
1. 좋은 출연자를 기획의 핵심으로
2. 대상을 연구하자
3. 사람들의 마음을 읽자
4. 사람을 위한 것이다
5. 눈높이를 맞추자
6. 상대의 입장에서 생각하자
7. 사람들을 위로하자
8. 세상이 흐름을 읽자
9.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 가보자
10. 사람들을 만나 수다를 떨자
11. 우리 관심의 공간에는
12. 좋은 장소를 구하자
13. 그 사람이라면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14. 새로운 것에 관심을 갖자
15. 일상을 깨뜨려 보자
16. 고향은 늘 가고픈 곳이다
17. 보물찾기
18. 아름다움을 찾아보자
19. 지나간 순간에는 우리가 찾는 그 무엇이 있다
20. 특별하게 만들어 보자
21. 꼭 좋은 것에만 해답이 있는 것은 아니다
22. 거꾸로 볼 때도 필요하다
23. 최고의 경지엔......
24. 이미지를 만들어 보자
25. 결과를 예측할 수 없게 만들자
26. 관객이 참여하는 프로그램을 생각하라
27. 자연스러운 느낌이 들도록 계산하라
28. 경천동지할 장치도
29. 기획자의 덕목을 가져라
30. 그 밖의 것들

3장 기획서 만들기
1. 기획에서 기획서가 중요한 이유
2. 기획서 만들기에 대하여
3. 문화이벤트의 형태별 기획서
1) 공연기획서
2) 전시기획서
3) (국제)회의기획서
4) 경연기획서
5) 시상기획서
6) 축제이벤트기획서
7) 레포츠이벤트기획서

4장 기획서 늘리기
1. 행사명
2. 일시 및 일정
3. 장소
4. 추진체계
5. 컨셉트 및 내용

5장 좋은 기획서를 만들려면
1. 형태적인 면에서
2. 내용적인 면에서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