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 대중문화사
한국 대중문화사
저자 : 김창남
출판사 : 한울아카데미
출판년 : 2021
ISBN : 9788946072794

책소개

BTS, 기생충 … 세계의 문화가 된 한국 대중문화는
한류라는 이름을 얻기까지 어떤 성장 과정을 거쳤을까

근현대사의 토대 위에 성장·발전해 온 한국 대중문화사 읽기

대중문화사는 단지 영화, 대중음악, TV 등 하위 장르의 역사를 단순히 합한 것만으로 이야기할 수 없다. 시대를 대표하는 다양한 문화 텍스트와 작가, 그를 둘러싼 생산과 소비 혹은 산업과 시장의 문제, 제도와 정책, 이데올로기적 지배와 저항, 기술과 매체, 세대 간 갈등과 차이, 대중의 일상적 삶과 정서 등이 씨줄 날줄로 얽혀 있다.

대중문화평론가 김창남 교수는 (모든 대중문화가 그렇듯) 복잡 다양한 층위의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를 근현대사의 흐름 속에서 읽어낸다. 한반도에 신문물이 도입되고 근대적 대중이 태동한 개화기를 시작으로, 일제강점기를 거쳐 광복 이후 정치적 격변에 따른 10년 단위로 대중문화가 한반도에서 변모해 온 모습을 통찰한다. 출판, 영화, 대중음악, 라디오, TV, 만화, 스포츠 등 각 시대의 대중이 일상 속에서 소비하는 대중문화와 그것을 둘러싼 역사적 상황 및 각 문화 장르 간 유기적으로 연결된 큰 흐름을 볼 수 있다. 저자는 간단하게 정의하기 어려운 대중문화의 역사를 뛰어난 통찰력으로 훑어 내린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손에 든 매체는 달라졌지만 사람들의 행동은 달라지지 않았다’
소비의 대상으로 만나는, 시대별 한국의 대중문화

요즘 지하철을 타면 누구나 할 것 없이 스마트폰을 들여다본다. 스마트폰을 통해 뉴스와 정보를 찾아보기도 하고, E-북으로 재미있는 소설을 읽기도 하고, 게임을 하고, 음악을 듣는다. 유튜브 동영상을 보기도 하고, 영화를 보고, 본방을 놓친 드라마를 찾아보고, 지인과 메시지를 주고받기도 한다. 2000년대 초까지 사람들은 지하철에서 신문을 읽거나 낱말풀이를 하거나 재미있는 소설책을 읽거나 이어폰을 꽂고 음악을 듣거나 지인과 문자를 주고받았다. 사실 손에 든 매체는 달라졌지만 과거나 현재나 사람들이 하는 행동은 크게 달라지지 않은 셈이다. 요컨대 그들은 문화를 소비한다.
저자는 시대별로 한국 대중이 소비한 문화, 그중에서도 출판, 영화, 대중음악, 라디오, TV, 만화, 스포츠 등의 변화상을 살핀다. 대중이 문화를 소비하는 매체 형식이 변화해 온 만큼 시대별로 논의하는 대상은 조금씩 다르며, 각 장르를 가로지르며 그 시기를 특징짓는 주요 주제들도 다르다.
서구의 근대적 신문물이 도입되는 개화기, 근대적 대중문화의 기본이 형성되는 일제강점기, 분단 시대가 개막하고 냉전적 반공주의가 확고히 자리 잡은 해방 후에서 1950년대에 이르는 시기, 군사독재와 함께 근대화 정책이 본격화된 1960년대, 박정희 시대의 모순이 극에 달했던 1970년대, 신군부 치하에서 사회적 갈등과 대립이 폭발했던 1980년대, 민주화의 흐름이 가시화된 1990년대를 각기 별도의 장으로 서술했고, 마지막으로 21세기로 접어들면서 정보화와 지구화의 물결이 거세게 불어닥친 2010년대 말까지의 시기를 한 묶음으로 다루었다. 하지만 문화는 시대에 따라 칼같이 구분되는 것이 아니고 연속되는 것이기에 연대기적 구분은 대체로 느슨하다. 1990년대의 문화를 논하면서 1980년대의 영화를 이야기하기도 하고 1960년대 부분에서 1950년대의 문화가 다루어지기도 한다.
저자는 대중문화의 하위 부문에 관한 역사, 이를테면 영화사, 대중음악사, 방송사 등에 관한 책은 꽤 있는 반면, 이들을 엮어 대중문화라는 프리즘으로 정리한 책은 찾기 어려워 이 책을 집필했다고 밝힌다. 대중문화사라는 큰 흐름을 통해 각 시대를 살았던 이 땅 대중의 내밀한 욕망과 정서를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개화기: 신문물의 도입과 근대적 대중의 태동
철도와 근대적 시공간의 체험
근대 문명의 소리
신문과 출판, 독서 공중의 출현
근대적 문화 공간과 사적 쾌락의 주체로서의 대중

일제강점기: 근대적 미디어의 도입과 소비문화의 성장
새로운 문화 소비층의 등장과 문화적 감각의 변화
영화의 등장과 수용
대중가요 시대의 개막
라디오방송의 시작
대중소설, 서민들의 읽을거리
식민지 근대의 대중 정서: 망향 의식과 신파의 눈물
통제와 감시, 검열 그리고 친일의 역사

1945~1950년대: 분단과 전쟁 그리고 전후(戰後)의 혼란
광복의 감격과 문화의 대응: 해방 정국의 문화 상황
한국전쟁과 대중문화
전후 풍속과 가치의 혼란 그리고 미국화의 욕망
문화 산업과 시장의 성장

1960~1970년대 초, 박정희 집권 전기: 개발독재의 감수성
4·19혁명, 「광장」과 〈오발탄〉, 〈하녀〉의 시간
매스미디어와 대중사회의 도래
산업화의 그림자: 조국 근대화 시대 대중문화의 명암
문화에 대한 통제와 반공주의

1970년대, 박정희 시대 후기: 일상의 억압과 문화 통제
청년 문화의 등장과 퇴출
TV의 일상화와 권력화
건전한 문화, 불건전한 국가

1980년대: 대립과 갈등의 시대
신군부의 문화 정책: 폭력적 통제와 과시적 이벤트
소비문화의 성장과 3
문화적 저항

1990년대: 신세대 문화와 소비문화
문화 환경과 지형의 변화
새로운 세대, 새로운 문화의 등장
세계화의 물결
문화 산업과 시장의 재편

2000년대 이후: 디지털 시대의 일상과 문화
디지털 시대의 문화 정경
한국 영화의 두 번째 전성기
아이돌 팝의 전성시대
21세기 TV
21세기 대중문화의 향방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