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구약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구약학 연구 안내서)
구약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구약학 연구 안내서)
저자 : 한스-크리스토프 슈미트
출판사 : 대한기독교서회
출판년 : 2014
ISBN : 9788951117732

책소개

구약학에는 다양한 주석방법론이 존재하기 때문에 구약성서에 대한 기본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이 책은 철저하게 구약성서 본문을 중심에 두고 그것의 저작 배경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책은 구약성서에 대한 역사적인 이해를 추구함으로 이스라엘 역사를 새롭게 조명하고 성서 저자의 본래 의도와 신학사상을 재현한다. 이 책은 문학적 성서 읽기에 치우쳐 있는 한국 교단과 강단이 역사적 읽기를 시도하고 균형 잡힌 이해를 추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구약성서에 대한 엄밀하고 새로운 이해를 위해
구약학에는 다양한 주석방법론이 존재하기 때문에 구약성서에 대한 기본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이 책은 철저하게 구약성서 본문을 중심에 두고 그것의 저작 배경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책은 구약성서에 대한 역사적인 이해를 추구함으로 이스라엘 역사를 새롭게 조명하고 성서 저자의 본래 의도와 신학사상을 재현한다. 이 책은 문학적 성서 읽기에 치우쳐 있는 한국 교단과 강단이 역사적 읽기를 시도하고 균형 잡힌 이해를 추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 출판사 리뷰
슈미트 교수의『구약학연구 안내서: 구약학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Arbeitsbuch zum Alten Testament: Grundz?ge der Geschichte Israels und der alttestamentlichen Schriften)는 근래 한국에 번역 출판된 구약학 연구 안내서들 중에서 단연 눈길을 끄는 작품이다. 이 책의 목적은 원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대로 이스라엘 역사와 구약성서 문헌들에 대한 핵심이론들을 소개하는 데 있다. 책의 첫 번째 부분에서 저자는 이스라엘 역사에 대한 최근 연구 결과물의 핵심을 비판적으로 정리, 검토하고 구약성서의 자료들이 문서화되기 시작한 왕정 시대를 중심으로 이스라엘 역사를 살핀다. 책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구약성서의 문헌들이 어떤 역사적 맥락에서 쓰였으며 각 문헌의 저자가 본래 어떠한 의도를 가지고 있었는지 묻는다. 특히 여기서는 초기 역사비평연구의 대상이었던 오경에 연구 초점을 맞춘다. 저자는 ‘4문서가설’을 시작으로 오경에 대한 역사비평연구가 어떻게 전행되어 왔고 그 성과는 무엇인지 진술하며 각 문서가 지닌 특징 및 신학사상에 대해 밝힌다. 또한 이 책의 각 장 끝자리에는 저자에 의해 선별된 주제들 외에 최근 독일 구약학계의 다양한 쟁점들이 담긴 방대한 참고문헌 목록이 실려 있다.
이 책은 구약학에 관한 최근의 연구와 논쟁점들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무엇보다 강점은 구약성서를 읽는 자세와 방법을 배울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의 저자는 철저하게 구약성서 문헌들을 토대로 자신의 연구를 시작하고 발전시킨다. 저자는 역사적 물음을 가지고 각 문헌을 진지하게 검토하고 분석하여 재구성함으로써 각 저자의 의도나 신학사상, 저작 배경 등을 밝힌다. 구약성서는 신화, 영웅담, 시 등의 다양한 문학 단위들로 이루어져 있지만 그것들은 특정한 시공간을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문학적 읽기뿐만 아니라 역사적 맥락을 따지며 비판적 읽기를 해야만 그 의미를 정당하게 살려낼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구약성서를 읽고 이해한다는 말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배울 수 있으며 구약성서가 지금의 형태를 갖추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쳐 왔는지 알게 될 것이다.
슈미트 교수의 책은 최근 구약학의 근본 문제들을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도움을 줄 것이며, 특히 구약성서를 역사적으로 읽는 방법을 배우고자 하는 신학도들에게 훌륭한 교과서가 될 것이다. 또한 구약성서에 대한 애정을 가지고 진지한 물음을 던지는 모든 이들을 위한 귀중한 학습서가 될 것이다.
슈미트 교수는 독일 아우크스부르크 대학과 에얼랑엔 대학에서 구약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국내에도 잘 알려진 권위 있는 구약학 저널 ZAW(Zeitschrift f?r alttestamentliche Wissenschaft)의 편집장을 지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저자 서문

한국어판을 위한 저자 서문

역자 서문



제1부: 구약 시대의 이스라엘 역사 개관



제1장 도입

§ 1. 이스라엘 역사의 신학적 과제와 시대 구분

§ 2. 이스라엘 역사의 자료

제2장 왕정 시대

§ 3. 팔레스타인에서의 ‘이스라엘 사람들’의 국가 형성과 사울의 왕정

§ 4. 다윗과 솔로몬 치하의 유다와 이스라엘의 동군(同君)연합

§ 5. 북왕국: 왕국 분열에서 아시리아에 의한 정복까지(926?722년 BC)

§ 6. 남왕국: 왕국 분열에서 요시야 시대까지(926?609년 BC)

제3장 ‘이스라엘’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왕정 시대의 전통들

§ 7. 모세전통

§ 8. 족장들에 관한 전통

§ 9. 땅 정착 전승과 초기 철기 시대의 고고학적, 사회적, 경제적 여건

§ 10. 국가성립 이전의 지파체제에 대한 성서의 진술과 사회사적 유비에

대한 질문

제4장 포로기-포로기 이후 시대

§ 11. 바빌론 포로 시대와 예루살렘 성전제의의 재정립

§ 12. 기원전 5세기와 4세기의 페르시아 왕국과의 협력

§ 13. 헬레니즘의 분쟁과 마카베오 봉기

제5장 이스라엘 역사를 위한 부록

§ 14. 연대 대조표와 복습 주제



제2부: 구약의 문서들



제1장 구약의 신학적 이해와 정경과 본문의 형태

§ 15. ‘구약 개론’의 신학적 과제

§ 16. 구약 정경의 발생

§ 17. 구약 정경의 본문 형태

제2장 오경과 역사서

§ 18. 오경의 구성

§ 19. 오경 연구사

§ 20. 제사장의 오경 문서층

§ 21. 야위스트의 오경 문서층

§ 22. 엘로히스트의 오경 문서층

§ 23. 신명기

§ 24. ‘후기 신명기사가의’오경 편집

§ 25. 신명기 역사서

§ 26. 역대기 역사서

§ 27. 룻기

§ 28. 에스더서

§ 29. 역사서에 수용된 이야기 전승과 법 전승

제3장 예언서

§ 30. 예언 전승의 장르와 예언서의 기원

§ 31. 이사야서: 예언자 이사야와 제2이사야, 제3이사야의 메시지

§ 32. 예레미야서와 예언자 예레미야

§ 33. 에스겔서와 예언자 에스겔

§ 34. 12 예언서

§ 35. 호세아

§ 36. 요엘

§ 37. 아모스

§ 38. 오바댜

§ 39. 요나?노벨레

§ 40. 미가

§ 41. 나훔

§ 42. 하박국

§ 43. 스바냐

§ 44. 학개

§ 45. 제1스가랴(슥 1?8장)

§ 46. 제2스가랴와 제3스가랴(슥 9?11장과 12?14장)

§ 47. 말라기

제4장 시가문학과 시편문학

§ 48. 시편의 기원

§ 49. 시편의 장르와 삶의 자리

§ 50. 애가

§ 51. 아가

제5장 지혜 문학

§ 52. 이스라엘의 지혜와 그 장르들

§ 53. 잠언

§ 54. 욥기

§ 55. 코헬렛(전도서)

제6장 묵시서

§ 56. 다니엘서



색인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